2025.10.23 (목)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제노레이, IDS 2021 참가

 제노레이(대표 박병욱)가 9월 22일부터 4일간 독일 쾰른에서 개최되는 IDS 2021(독일 쾰른 치과기자재 전시회)에 참가한다. 제노레이는 자사의 CBCT(치과용 CT 엑스선 촬영장치)인 “PAPAYA 3D Premium Plus”와 휴대용 엑스선 촬영 장비인 “PORT X-Ⅳ”를 비롯, 다양한 제품을 전세계 고객들에 선보인다.


올해로 창사 20주년을 맞이한 제노레이는 CBCT, 휴대용 촬영 장비와 더불어, C-ARM(이동형 엑스선 투시 촬영장치), MAMMOGRAPHY(유방 촬영 장치)의 연구개발, 제조, 판매, 고객서비스 전 과정을 수행해내는 영상진단 의료기기 전문기업이다. 제노레이는 원천 핵심기술과 제조 역량을 보유하여 세계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 매출의 70%이상을 수출에서 거둔다.


올해로 39회를 맞이한 IDS는 2년에 한 번씩 개최되는, 전세계에서 가장 큰 규모의 덴탈 전시회로, 유럽, 중동, 아프리카 등 전세계의 치과 산업 관계자들이 방문한다. 올해는 COVID-19의 영향으로 56개국 약 800개 기업이 참가하여 비교적 작은 규모로 진행된다. 그러나, 독일 치과산업협회(VDDI)의 회장인 마크 스테판 페이스氏는 시장 회복을 기대하며 “이 시기에 치과 산업 관계자들이 투자를 결정하면 큰 성과를 낳을 것”이라 하고, 이번 IDS 2021이 그 시작점이 되리라 예상했다.


이번 전시회에서 선보이는 PAPAYA 3D Premium Plus는 제노레이를 대표하는 4 in 1 제품(CBCT, Panoramic, Cephalometric, Model Scanning)이다. 촬영포지션 메모리 기능, 대면적 CBCT, 원샷 세팔로 기능, 모드별 전용 센서를 탑재하여 임플란트 시술, 교정진단 등에 영상을 제공한다. PORT X-Ⅳ는 휴대용 배터리로 생성한 엑스선을 치아에 투사하여 영상을 제공한다. 여기에 LCD패널, 트랙볼을 탑재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돕는다.


제노레이 관계자는 “코로나에도 불구하고, 전시회가 무사히 개최돼 기쁘다”면서, “고객분들을 만나 뵐 만반의 준비를 했다. 어려운 시기지만, 두려움 없이, 세계 시장에 당사의 제품을 알려야 한다. 시장 회복에 대비해 앞으로 나아가겠다”고 각오를 다졌다.


제노레이는 이번 IDS 2021에 이어, ADF(프랑스 치의예 협회 전시회, 11/23~11/27), GNYDM(미국 뉴욕 치의예 협회 전시회, 11/26~12/01)에도 참여하여 적극적으로 자사 덴탈 제품을 홍보할 예정이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의약분업 시행이 언젠데..."아직도 불법 대체조제 등 제도 운영 심각하게 왜곡" 대한의사협회(회장 김택우)는 최근 불법 대체조제 실태에 대한 회원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대체조제가 의료현장에서 빈번하게 이뤄지고 있으며, 관련 제도 운영이 심각하게 왜곡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는 ‘닥터서베이’를 통해 2025년 9월 29일부터 10월 19일까지 진행됐으며, 총 3,234명의 회원이 참여했다.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86%가 현행 대체조제 제도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해당 제도가 성분명 처방으로 이어질 가능성에 대한 우려도 95.7%로 매우 높았다. 특히 약사가 의사에게 사전 동의나 사후 통보 의무를 이행하지 않을 경우 형사처벌 및 행정처분 대상이 된다는 사실을 모르는 응답자가 55.9%로 가장 많았고, 사전 동의나 사후통보가 없는 경우 실제로 보건소 등 관계기관에 통보 등 조치하는 경우는 2.4%에 불과했다. 별도의 조치를 하지 않는 경우는 36.1%였다. 의협은 “회원 대상으로 대체조제로 인한 약화사고 등 대체조제 사후통보 문제점을 적극 홍보하고 교육할 필요가 있다. 법률을 개정해 불법 대체조제 처벌을 강화하고 정부와 협의해 행정처분 강화하는 등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또한 “이번 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