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4 (일)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기타

건강검진 수검자 10명 중 6명“생활습관 변화”

1위는 운동, 식습관개선∙건강기능식품 구입 뒤이어

건강검진이 생활습관에 끼치는 영향은 얼마나 될까?

디지털 헬스케어 스타트업 피어나인(대표 안광수, https://medilinx.co.kr)이 건강검진에 관련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10명 중 6명은 검진결과를 받은 후 운동시작 등 생활습관의 변화가 일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검진 결과를 받은 후 생활습관의 변화가 있었다고 응답한 비율은 전체의 58%에 달했다. 생활습관 변화 중 가장 많은 것은 ‘운동 시작’으로 ‘생활습관을 바꿨다’는 응답자 중 40.2%를 차지했다. 다음의 습관변화로는 ‘식습관 개선’이 32.6%로 뒤를 이었다. 습관변화 응답자 중 18.4%는 ‘건강기능식품 섭취’라고 답해 세번째로 많았다. 이어 ‘금주’와 ‘금연’이라고 답한 응답자도 각각 4.0%와 3.4%로 뒤를 이었다.

건강검진 결과지의 이해도에 대해선 56.7%가 ‘보통’이라고 답했지만, ‘어렵다(22.5%)’와 ‘매우 어렵다(3.2%)’ 등 결과지를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응답자도 전체의 25.7%에 달했다. 검진결과지가 어려운 이유에 대해서는 ‘결과 수치에 대한 설명 부족’이 54.1%로 가장 많았으며, ‘어려운 전문용어(32.3%)’, ‘복잡한 구성(9.3%) 등이 뒤를 이었다.

검진결과를 현재 수령하는 방식은 ‘우편 수령’이 58.5%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휴대폰(21.1%)’, ‘이메일(13.9%)’ 순으로 나타났다. 향후 검진결과를 받고 싶은 방식에 대해서는 ‘휴대폰(39.5%)’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우편(32.1%), 이메일(24.7%) 순으로 집계됐다. 특히 20대는 휴대폰, 이메일 등 디지털 기기를 통한 수령을 원하는 비율이 전체의 73.2%에 달했고, 30대와 40대에서도 휴대폰을 통한 검진결과 수령을 원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다.

현재 운영되고 있는 건강검진 결과지에 추가 받고 싶은 내용은 ‘발병 위험성’을 예측하는 분석자료(60.9%)’가 가장 많았다. 이어 ‘식습관 개선 방법(30.1%)’, ‘건강기능식품 안내(9.2%)’, ‘운동방법 안내(8.6%)’ 등도 뒤를 이었다. 발병위험성을 예측하는 분석리포트는 AI기반의 ICT기술을 건강검진에 접목해 최근 주목을 받고 있는 것으로 ‘10년 내 생존율’, 특정 질병에 대한 발병 위험성 등을 예측하는 기술이다.

예전 건강검진 결과 보관 여부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57.2%가 종이형태 등으로 보관하고 있다고 답했으며, 42.8%는 ‘보관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기존 결과지를 보관하는 형태는 ‘종이 결과지44.1%)’가 가장 많았으며, ‘PC보관(8.6%)’, ‘휴대폰 저장4.5%)’ 순으로 나타났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식약처,건강기능식품 소규모 개인 간 거래 시범사업 올해 말까지 연장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지난해 5월 8일 시작하여 오는 5월 7일 종료 예정이었던 건강기능식품의 소규모 개인 간 거래 허용 시범사업의 종료 시한을 올해 12월 31일까지 연장한다. 식약처는 식품안전과 유통질서가 보장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국민의 불편 해소를 위해 중고거래 온라인 플랫폼에서 건강기능식품의 개인 간 거래를 허용하는 시범사업을 추진해 왔다. 그간 개인 간 거래된 제품에서 이상사례 발생 등 안전성 문제는 보고되지 않았으나, 향후 ‘건강기능식품 개인 간 거래 시범사업 운영 가이드라인(이하 가이드라인)’을 합리화하고 시범사업에 참여하는 온라인 플랫폼을 추가로 확대하여 소비자 안전과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좀더 살펴보기 위한 목적이다. 가이드라인에서 소비자의 안전과 관련된 기준은 유지하되, 건강기능식품 가격 다양성과 소비자 거래 편의를 고려, 누적 거래액 상한과 소비기한이 6개월 이상 남아야 한다는 기준은 합리화한다. 반면 중고거래 플랫폼상의 불법거래 금지 조항이나 이상사례 신고 안내 사항을 추가하는 등 소비자 안전과 선택권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가이드라인을 정비한다. 아울러 식약처는 당근, 번개장터 이외 시범사업에 참여의사를 밝힌 ‘중고나라’ 등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