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2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의료ㆍ병원

세종병원 인공지능빅데이터본부, 스마트워치 이용 심부전 진단 연구 논문 국제 학술지에 게재

스마트워치에 탑재된 심전도 기능을 활용하여 심부전 진단하는 인공지능 기술 개발

세종병원(부천세종병원·인천세종병원·부천시립노인전문병원, 이사장 박진식) 인공지능빅데이터본부와 세종병원에서 스핀오프된 스타트업이자 의료 인공지능(AI) 전문기업 메디컬AI(메디컬에이아이, 대표 박상현)에서 수행한 스마트워치를 활용한 심부전 진단 연구 논문이 세계적 학술지인 Diagnostics(IF:3.706)에 게재되었다고 12일(화) 전했다.


Diagnostics는 헬스케어 분야에서 권위를 지니고 있는, 스위스에서 발행하는 국제학술지다.

이번에 게재된 논문은 갤럭시워치, 애플워치 등 스마트워치에 탑재되어 있는 심전도 기능을 이용하여 측정한 후, 인공지능 기술을 통해 결과값을 생성하여 이를 통해 심부전을 진단하는 연구로 전세계적으로도 시도된 바 없는, 최초의 연구이기도 하다.


의료기관에서 통상적으로 시행하는 심전도 검사는 가슴과 사지에 전극을 붙여 시행하며, 12개의 심전도를 얻을 수 있는 ‘12유도 심전도’를 표준으로 한다. 최근 시중에서 판매하고 있는 스마트워치에 탑재된 심전도는 단일 유도를 통해 1개의 심전도만을 기록하기 때문에 심장질환을 진단하기 보다는 리듬이 어떠한지 정도만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충분한 정보량을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한계가 있는 셈이다.


세종병원 인공지능빅데이터본부와 메디컬AI는 총 700여 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세계 최초로 개발한 인공지능 기술을 통해 스마트워치 심전도로 기록된 결과값을 12유도 심전도로 변환하고, 이를 토대로 심부전을 진단했다. 그 결과 95%라는 높은 정확도를 보였다.


인천세종병원 김경희 심장이식센터장(심장내과 과장)은 “심부전은 빠른 진단과 치료가 중요한데 병원에 늦게 방문하거나 검사들이 늦어지는 경우들이 종종 있다”며, “최근에는 스마트워치 등 웨어러블 기기를 통해 간편하게 심전도를 체크할 수 있어 큰 주목을 받고 있는데, 이러한 기능을 이용하여 심부전을 조기 진단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한 것은 큰 성과”라고 말했다.


이어 “본 연구진은 심부전 인공지능 분야에서의 꾸준한 연구를 통해 많은 성과를 내고 있으며, 향후 환자들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보다 도움이 될 수 있는 인공지능 툴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세종병원 권준명 인공지능빅데이터본부장(메디컬AI 기술이사)는 “심장내과나 중환자의학과 전문의도 12유도 심전도만 판단하여 심부전으로 진단내리기 어렵다는 현실을 고려하였을 때, 스마트워치에 탑재된 심전도 측정 기능을 이용하여 심부전을 진단했다는 것은 세계적인 성과”라며, “앞으로도 더 좋은 성과를 도출해낼 수 있도록 심장질환 분야 인공지능 연구를 활발하게 시행해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힙하게, 감도 높게! MZ세대 일상에 스며드는 ‘요즘 캠페인’ 최근 유통업계를 중심으로 MZ세대의 라이프스타일에 자연스럽게 스며드는 ‘생활 밀착형’ 캠페인이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 단순한 광고가 아닌, 일상 속에서 브랜드를 자연스럽게 경험하게 하려는 움직임이 늘고 있는 것이다. 특히 트렌드에 민감한 젊은 세대와의 접점을 넓히기 위해, 감각적이면서도 실용적인 캠페인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제품만을 강조하던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 계절감과 공간, 그리고 체험 요소들을 유기적으로 결합해 소비자와의 심리적 거리를 좁히고자 하는 전략이 눈에 띈다. 무엇보다 주목할 점은 오프라인 공간의 적극적인 활용이다. 팝업스토어나 전시 등 오프라인 현장에서 브랜드를 노출시키면서, 자연스럽게 인지도를 높이고 캠페인 효과를 극대화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MZ세대의 일상에 감각적으로 스며든 브랜드들의 캠페인 사례를 함께 살펴보자. ■ 동아제약 파티온, 대학 축제 현장에 뜬 트러블 케어 순찰대 과제와 시험, 잦은 음주 등으로 피부 고민이 많아지는 대학생들에게 다가가기 위해 동아제약의 트러블 케어 브랜드 파티온은 대학 축제 시즌을 활용한 오프라인 캠페인을 진행한다. 캠퍼스 스쿨어택 형식으로 기획된 ‘트러블 최강 순찰대전’ 캠페인은, 홍익대학교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