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0 (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카티스템 줄기세포 치료로..."아픈 무릎 연골 살려라"

중년을 넘어서면 무릎 연골이 닳아 뼈끼리 부딪히고 염증이 생기는 퇴행성 무릎 관절염이 서서히 찾아온다. 기존에는 무릎 연골이 심하게 벗겨져서 속에 있는 뼈가 드러난 환자들의 경우 무릎 인공관절 수술 외에 대안이 없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이런 연골의 한계를 극복한 새로운 치료법으로 무릎 관절의 재생치료로 알려져 있는 카티스템 치료가 주목을 받고 있다. 

카티스템이란 연골을 뜻하는 Cartilage와 줄기세포를 뜻하는 Stem cell을 어원으로 해서 만들어진 합성어다. 카티스템에서 사용되는 줄기세포는 ‘동종 제대혈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인데, 쉽게 얘기하면 신생아 출산 때 기증받은 탯줄, 태반에서 채취한 줄기세포를 말한다. 이렇게 채취한 줄기세포를 배양해서 세포 수를 늘리고 이 중에서 좋은 세포들을 골라서 환자에게 사용하게 된다.  무릎 연골 손상의 정도가 심한 중증도 이상의 환자가 해당되는 만큼 시술을 결정하기 전 정확한 진단과 무릎 전문의 진료가 우선이다. 

최한결 정형외과 전문의는  “무릎 연골손상에 시행할 수 있는 수술적 치료는 미세골절술, 다발성천공술 등이 있다”며 특히 “미세골절술과 다발성천공술은 연골이 일부 재생되긴 하나 상대적으로 그 강도가 약하고 엉성한 섬유연골의 형태로 재생이 되는 반면, 카티스템을 사용하면 정상 관절연골의 형태인 초자연골의 형태의 좀 더 질이 좋은 연골이 생긴다”고 설명했다. “카티스템 치료도 관절내시경을 이용한 수술적 치료로, 무릎 앞쪽에 1cm 정도의 작은 절개를 통해 무릎 관절 내부를 전체적으로 확인하면서 결손 부위가 재생이 잘 되도록 깨끗하게 정리한 뒤, 해당 부위에 줄기세포를 주입해 수술을 마친다”고 덧붙였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분당서울대병원, 고위험 산모·신생아 진료·전원 공백 해소 협력 방안 논의 분당서울대병원은 지난 10월 17일 병원 대강당에서 「2025년 분당서울대병원 권역모자의료센터 네트워크 구축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이번 심포지엄은 ‘경기도 산모·신생아 안전분만 네트워크’를 주제로 열렸으며, 지역 간 의료 인프라 격차로 인한 진료·전원 공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권역 단위의 실무 협력 방안을 논의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첫 번째 세션에서는 ▲통계로 본 경기도 내 고위험산모신생아 진료 현황(이희영 경기도공공보건의료지원단장·분당서울대병원 임상예방의학센터장) ▲고위험산모신생아 치료 인프라 확충과 미래(분당서울대병원 소아청소년과 정영화 교수) ▲권역 고위험산모신생아 전원 네트워크 사업(분당서울대병원 산부인과 정다은 교수) ▲고위험산모신생아 모바일 전원 시스템 구축 사례(김용혁 에이식스티 대표이사)를 주제로 발표가 이어졌다. 이후 토론 세션에서는 경기도소방재난본부, 경기도 보건건강국, 분당서울대병원,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등 관련 기관 전문가들이 참여해 권역과 지역 간 협력 체계 강화 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심포지엄은 경기도 내 고위험 산모·신생아의 안전한 진료·전원 체계 시스템을 통합하고 효율적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