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0 (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회전근개파열 치료 골든타임 놓치면... 완전 파열로 진행될 수 있어

빨래를 널기 위해 건조대를 펼치다 순간적으로 극심한 어깨 통증을 느낀 조민희(49세. 서울 군자동)씨. 잠깐 찾아온 통증일 거라 여기며 ‘침을 맞으면 괜찮아지겠지.’라는 생각에 한의원을 찾았지만 소용이 없다. 이젠 손끝까지 찌릿한 통증에 옷을 입고 머리를 감는 것조차 편하게 할 수 없어진 조씨는 뒤늦게 심각성을 느껴 급히 정형외과를 찾았다. 하지만 이미 회전근개가 파열된 상황. 심지어 회전근개 위에 ‘견봉’이라는 뼈까지 자란 상태였다. 조씨는 서둘러 관절내시경을 이용한 수술을 받았다.

극상근, 극하근, 견갑하근, 소원근 네 개의 힘줄로 이뤄진 회전근개는 어깨 관절을 감싸고 있는 힘줄이다. 이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힘줄이 파열되는 경우 ‘회전근개파열’로 진단한다. 이는 보통 퇴행성 변화로 50세 이상 연령층에서 발생하는 노인병으로 알려져 있지만, 최근 2030 젊은 층에도 흔히 나타나는 추세이다. 

문제는 회전근개가 파열되면 처음엔 통증이 심하지 않고 관절운동 제한이 적어 조씨처럼 방치하기 쉽다는 점이다. 하지만 파열된 조직을 오래 방치하고 치료의 때를 놓치면 증상이 점점 악화될 뿐만 아니라 향후 어깨관절염으로 이어질 수 있다. 

정형외과  하해찬 전문의는 “실제로 회전근개가 파열된 지 모른 채 치료의 때를 놓친 환자들을 자주 본다”며 “이를 방치하면 파열 부위가 점점 커져 주변 인대나 힘줄의 변형으로 이어질 수 있고 심할 경우 어깨 힘줄이 굳어지면서 완전 파열로 진행될 위험이 있어 어깨 통증이 느껴지면 조속히 정형외과를 찾아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처럼 회전근개파열은 치료의 때가 중요하다. 제 때 치료하지 않으면 수술을 받더라도 파열 부위에 변성이 생겨 다시 파열될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증상이 느껴지면 가능한 빨리 X-Ray, MRI와 같은 진단장비를 통해 정밀한 진단 후 치료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

주요 증상은 ▲팔을 어깨 위로 들어 올릴 때 불편하다. ▲서 있을 때보다 누워있을 때 통증이 더 심하다. ▲어깨가 쿡쿡 쑤시는 듯한 통증이 느껴진다. ▲어깨 주변이 화끈거린다. ▲밤만 되면 통증이 심해져 잠에서 깬다. ▲팔의 근력이 점점 약해지는 듯하다.

회전근개파열은 증상과 파열 범위에 따라 치료 방법이 달라진다. 통증이 심하지 않고 가벼운 파열의 경우 물리치료와 약물 치료 등 보존적 치료를 적용한다. 다만 이러한 치료에도 통증이 지속되거나 일상 생활이 어렵다면 파열 부위를 봉합하는 수술적 치료를 고려해야 한다. 

정형외과  하해찬  전문의는 “회전근개파열은 자연 치유가 어려움으로 정확한 진단 후 치료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며 “파열 범위가 넓은 경우 관절내시경을 활용해 수술적 치료를 진행하는데, 1cm 미만으로 절개해 출혈이 거의 없고 국소마취로 진행해 고령자나 기저질환자도 부담 없이 치료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김안과병원, 제20회 포스터 공모전, 글 공모 시상식 진행 건양의료재단 김안과병원(원장 김철구)은 지난 16일 망막병원 7층 명곡홀에서 제20회 ‘눈이 행복한 포스터 공모전’과 ‘마음으로 보는 세상 글 공모’ 시상식을 개최했다. 김안과병원은 눈 건강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한 사회공헌 활동의 일환으로 2006년부터 그림 공모전과 글 공모를 진행해오고 있다. 올해 20회를 맞아 기존 어린이 대상이었던 그림 공모전을 청소년과 성인까지 참여할 수 있도록 확대한 포스터 공모전에는 창의적 표현과 눈 건강의 중요성을 시각적으로 전달한 다양한 작품들이 출품됐다. 통합 대상은 ‘눈에 좋은 식단으로 가족의 눈 건강을 지키자’는 메시지가 담긴 포스터를 출품한 김주원 어린이가 차지했다. 일반부 최우수상은 김기현 씨의 ‘눈이 행복해야 손주가 선명합니다’, 어린이부 최우수상은 하서진 어린이의 ‘검진으로 밝은 세상’이 선정됐다. (사)한국저시력인협회(회장 미영순)와 공동주최한 ‘제20회 마음으로 보는 세상 글 공모’ 시상식에서는 다양한 시선과 따뜻한 경험이 담긴 작품들이 높은 평가를 받은 가운데, 강용관 씨가 ‘그는 마음으로 보았다’라는 작품으로 대상을 수상했다. 금상은 김민태 씨(어둠이 내게 가르쳐 준 빛)에게, 은상은 김병진 씨(나의 첫 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