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9 (금)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덥고 습한 여름철, 유난히 무릎이 쑤시다면...'이질환' 의심

퇴행성관절병증 환자, 겨울보다 여름에 더 많아

덥고 습한 여름철, 유난히 무릎 통증을 호소하는 이들이 있다. 관절은 기압과 습도, 온도 변화 등 환경에 큰 영향을 받아, 기압이 낮아지고 습도가 올라가면 관절 내부 압력 상승으로 염증 부위가 부어오르기 때문이다. 또한 냉방기 사용으로 찬바람에 관절 부위가 자주 노출될 경우 관절에서 윤활유 역할을 하는 관절액이 굳을 수 있는데, 이에 따라 관절염이 심해질 수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발표한 ‘2022년 퇴행성관절병증 월별 환자 추이’를 살펴보면 1월 815,317명, 2월 779,406명이지만, 6월 956,041명, 7월 922,329명, 8월 908,767명으로 겨울보다 여름에 퇴행성관절병을 겪는 이들이 많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올여름은 ‘장마괴담’에 이어 무더운 날씨까지 예고돼 퇴행성관절염을 비롯한 관절 통증을 겪는 이들이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하해찬  정형외과 전문의는  “관절은 기압과 습도, 온도 변화에 큰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여름철 관절 건강 수칙’을 유념해 관절을 잘 관리해야 한다”며 여름철 관절 건강 수칙을 소개했다. 

1. 적정 실내 온도 유지하기
무더운 여름, 실내외 온도 차이가 클수록 관절통을 겪기 쉽다. 따라서 관절을 보호하려면 실내 온도를 26도로 유지하는 것이 좋다. 만약 과도한 냉방을 피할 수 없는 상황이라면 통증 부위가 찬바람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담요나 스카프, 양말 등을 활용하는 것도 방법이다.

2. 적정 습도 유지하기
습도 역시 관절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 관절 통증을 줄이려면 50% 이하 습도를 유지해야 한다. 자주 환기하는 것만으로도 습도를 낮출 수 있지만, 장마철과 같이 환기가 어려운 경우에는 숯, 습기 제거제, 제습기 등과 같은 습도를 관리할 수 있는 용품을 활용하는 것이 좋다. 

3. 찜질 활용하기
관절 부위에 통증이 심하면 온찜질을 통해 통증을 완화할 수 있다. 퇴행성관절염의 경우 온찜질이 적합하지만, 류마티즘성 관절염과 같이 염증성 관절염이거나 급성 손상의 경우 냉찜질을 해야 한다. 다만 찜질은 일시적으로 통증을 완화할 뿐, 근본적인 치료법은 아니므로 통증이 지속된다면 반드시 전문의를 찾아 정확한 진단,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하 정형외과 전문의는“퇴행성관절염의 경우 증상이 경미하거나 통증이 간헐적으로 나타나 치료 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많다”며 “관절염을 방치하거나 스스로 판단해 잘못된 방법으로 관리할 경우 증상이 악화하거나 심할 경우 뼈 변형을 초래할 수 있어 통증이 있으면 전문의를 찾아 치료해야 한다”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다산제약,리포좀 기술 개발 이어 특수제형 의약품 연구 개발 탄력 받나 주식회사 다산제약(대표이사 류형선)은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이하 KBIOHealth, 이사장 이명수)과 8월 27일 다산제약 아산공장에서 특수 제형 의약품의 공동연구 및 활성화를 위해 전략적 업무협약(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체결식에는 다산제약의 류형선 대표이사, 정인성 생산본부장, 김수진 제조기술실장, 류호준 개발본부장을 비롯해 KBIOHealth의 이명수 이사장, 김지훈 바이오공정개발부 부장 등이 참석했다. 이번 협약은 양 기관의 연구 인프라와 전문성을 기반으로 ▲첨단·특수제형 의약품 공동연구 및 타당성 평가 ▲공동개발 및 국내외 사업화 전략 수립 ▲기술이전 및 생산 인프라 활용 ▲글로벌 시장 진출 협력 강화 등을 주요 내용으로 담고 있다. 이를 통해 바이오의약품, 나노의약품, 장기지속형 주사제 등 특수 제형 의약품 분야와 더불어 다산제약의 DDS 고유 기술을 활용한 펩타이드 의약품 분야에서 공동연구와 사업화를 적극 추진한다. 양사는 이러한 기술 협력 강화를 통해 지속 가능한 성장과 상호 이익을 도모하고, 첨단 의약품의 경쟁력 강화와 글로벌 상용화에 기여한다는 데 목적이 있다. 류형선 대표이사는 “KBIOHealth와의 협력을 통해 다산제약의 연구개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코로나19 팬데믹, 국내 불면증 환자 수면제 사용 큰폭 증가..."부작용 모니터링 필요” 코로나19 팬데믹이 국내 불면증 환자의 수면제 사용을 크게 증가시킨 것으로 확인됐다. 서울대병원·서울의대 공동 연구팀은 전국 814만여 명의 불면증 환자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팬데믹 기간 전체 연령대에서 수면제 처방량이 기존 예측치를 초과했으며, 여성과 70세 이상 고령층은 절대 처방량이 많고, 18~29세 젊은 성인층은 예측치 대비 증가폭이 가장 컸다고 밝혔다. 불면증상은 10명 중 3~5명이 생애 어느 시점에서든 겪을 만큼 흔한 증상이다. 특히 잠들기 어렵거나, 자주 깨거나, 새벽에 일찍 깨는 증상이 반복되는 대표적인 수면 장애인 불면은 장기화될 경우 우울·불안 등 정신건강 문제뿐 아니라 신체 질환 악화와 삶의 질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 그동안 해외에서는 팬데믹 동안 수면제 사용이 증가했다는 연구들이 있었지만, 국내에서 팬데믹 이전 처방 추세를 기반으로 예측치와 실제 처방량을 비교한 대규모 분석은 이번이 처음이다. 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이유진 교수와 서울의대 예방의학교실 신애선 교수 공동 연구팀(공동 제1저자: 서울시보라매병원 신지윤 교수, 서울의대 전소연 연구원)은 국민건강보험 데이터를 활용해 2010년부터 2022년까지 국내 18세 이상 불면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