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4 (금)

  • 맑음동두천 14.1℃
  • 맑음강릉 15.4℃
  • 맑음서울 14.8℃
  • 맑음대전 15.3℃
  • 맑음대구 17.2℃
  • 맑음울산 17.9℃
  • 구름조금광주 15.5℃
  • 맑음부산 19.4℃
  • 맑음고창 14.7℃
  • 맑음제주 17.9℃
  • 맑음강화 12.7℃
  • 맑음보은 14.2℃
  • 맑음금산 14.9℃
  • 맑음강진군 17.0℃
  • 맑음경주시 17.7℃
  • 맑음거제 16.6℃
기상청 제공

필립스, 전‘미래건강지수(Future Health Index) 2023’ 발표

로열 필립스(Royal Philips, 필립스)가 ‘새로운 의료 제공 모델을 통해 의료진 부족 및 다양한 환자 요구 문제 해결’(Taking healthcare everywhere: Addressing staff shortages and patient needs with new care delivery models)을 주제로 한 미래건강지수2023 보고서(Future Health Index 2023)를 발표했다. 

제8회 필립스 미래건강지수 연례 보고서는 세계 각국의 헬스케어 리더들을 대상으로 새로운 의료 제공 모델이 재정 부담과 인력 부족 등 현재 의료 환경의 과제들을 어떻게 해결할 수 있는지 분석했다. 올해는 호주, 인도네시아, 싱가포르 등 아시아태평양 국가를 포함한 전 세계 14개국의 헬스케어 리더 약 3,000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했다. 

업무 방식과 효율성, 임상 결과 향상하는 새로운 의료 제공 모델에 대한 높은 기대감
올해 필립스 미래건강지수 보고서에 따르면, 새로운 의료 제공 모델은 의료 접근성 및 임상 결과를 개선하도록 도울 뿐 아니라, 효율적이고 지속 가능한 업무 방식을 제시할 수 있다. 아태지역 헬스케어 리더 66%는 새로운 의료 제공 모델을 활용할 준비가 되어있으며, 이 중 63%는 해당 모델을 통해 의료가 더욱 환경 친화적이고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제공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러한 관점은 전 세계 평균인 각각 59%와 57%보다 높은 수치이다. 

새로운 의료 제공 모델은 의료진들의 근로 의욕 및 근속 유지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보여줬다. 아태지역 헬스케어 전문가들의 대부분은 새로운 의료 제공 모델이 이전보다 더 나은 삶과 일의 균형(58%)과 더 큰 직무 만족도(56%)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었다. 또한, 환자들의 순응도 및 적응도 증가(44%), 개선된 환자 교육(36%), 효율성 증가(예: 대기 시간 단축, 더 많은 환자 진료), 지역 사회와의 협력을 통한 지역 사회 건강개선(35%) 및 보다 기술적으로 발전된 의료(35%)도 주요 이점이라고 응답했다. 

AI, 데이터, 비대면 의료 서비스 및 교육에 대한 투자 증가로 성공적인 도입 추세
디지털 헬스 기술에 대한 투자 증가와 비대면 의료 서비스 확대를 근간으로 아태지역 내 새로운 의료 제공 모델 도입이 확대되고 있었다. 

아태지역 헬스케어 리더 48%는 디지털 건강 기록(Digital Health Record)이 가장 우선적인 투자 분야이며 74%는 향후 3년 안에 AI 분야에 투자할 계획이 있다고 답했다. 주로 결과 예측(예: 환자에게 치료 과정을 더 자세히 안내하기 위해 환자가 치료 계획에 어떻게 반응할지 예측)에 활용(39%), 임상 의사 결정 지원(예: 진단 또는 치료 권고, 조기 경보 점수, 자동 질병 검출, 임상 의사 결정 지침 등)에 활용(35%), 그리고 진단의 통합 (예: 영상의학, 병리, 임상 기록 등 다양한 정보를 활용하여 진단 결과에 기여)에 활용(33%)하는 것이 주요한 목적이라고 응답했다. 

또한, 아태지역 헬스케어 리더들은 진단뿐만 아니라 다양한 의료영역에서 비대면 의료 (Virtual care) 서비스를 확대하여, 병원 안팎으로 언제 어디서나 의료를 제공할 수 있도록 돕는 분산형 모델로 전환하고 있었다. 아태지역 헬스케어 리더들 중 절반 이상(51%)은 이미 집중 치료 또는 중환자 치료에 비대면 의료 기술을 접목하고 있으며, 42%는 앞으로도 비대면 의료 기술을 이용할 계획이라고 응답했다. 아태지역 헬스케어 리더 62%는 환자에게 급성 치료를 가정에서 비대면 의료를 통해 진행하거나 직접 방문하여 제공하고 있으며, 이 중 31%는 향후 3년 동안에도 그렇게 할 계획이라고 답변했다. 

이러한 새로운 방식의 의료 제공을 위해, 아태지역 헬스케어 리더58%는 현재 이용할 수 있는 교육이 의료진들에게 필요한 기술을 제공한다는 데 동의했다. 또한 새로운 의료 서비스 제공 모델을 성공적으로 안착시키기 위해 데이터 해석 기술(29%)과 새로운 기술 도입에 대한 직원들의 선호(29%)가 중요하다고 답했다. 젊은 의료 전문가들 중 44%는 환자 치료 개선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새로운 기술에 대한 더 나은 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첨단 진단 지원 기술의 접근성(41%)과 줄어든 행정적 책임(40%)도 의료 전문가들이 환자 치료 개선 능력을 갖추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답변했다. 

디지털 기술 활용 확대하여 인력 부족 업무 만족도 문제 해결 노력
이번 보고서에 따르면, 아태지역 헬스케어 리더들은 전 세계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는 데 앞장서고 있다. 이들 중 67%는 이미 디지털 의료 기술을 사용 중이거나 사용할 계획이라고 답했다(전 세계 응답자 평균: 56%). 인력 부족 문제를 완화하는 3대 기술로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클라우드 기반 기술(44%), 병원 밖 환경과 연결되는 기술 및 솔루션(37%), 워크플로우 기술(예: PACS, 디지털 의료 기록, 환자 흐름 자동화)(35%)을 꼽았다. 

디지털 전환과 새로운 의료 서비스 제공 모델의 수용은 인재 유치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시사했다. 젊은 의료 전문가들은 직장을 선택할 시, AI 분야를 선도하고 있는지(39%), 다양한 치료 환경을 연결하는 새로운 의료 제공 전달 모델(33%)을 갖추었는지를 중점적으로 확인한다고 응답했다. 이외에도 기본적인 진료 관련한 환자의 질문에 응답하는 채팅 봇(33%), 병원 간 주고받는 의료 데이터 기술(28%), 어디서나 진단이 가능하도록 접근할 수 있는 기능(26%)은 젊은 의료 전문가들이 업무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주요 기술로 꼽았다. 

친환경적이고 지속 가능한 의료 산업을 위한 다각적인 전략 모색 
의료 부문의 지속가능성은 아태지역 헬스케어 리더들의 최우선 고려 사항이나 적절한 기술에 대한 접근성 부족(43%), 업계 전반의 표준화 부족(37%), 직원들의 관심 부족(32%) 등이 지속가능성 이니셔티브 실행을 방해하는 요소로 꼽혔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아태지역 헬스케어 리더들은 이니셔티브 실행을 위한 비즈니스 사례 생성(42%), 모범 사례 공유(38%)가 중요하다는 데 동의했다. 

또한 제3자 기관과 협력을 통해 지속 가능성 프로그램을 제공 및 지원하거나(35%), 더 많은 전문 기술 갖춘 직원 채용(35%)이 지속 가능성 목표를 달성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답변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휴메딕스, 3분기 매출액 409억원∙영업이익 90억원 기록 휴온스그룹 ㈜휴메딕스(대표 강민종)는 3분기 개별 재무제표 기준 매출 409억원, 영업이익 90억원, 당기순이익 227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0%, -3%, 231% 달성했다고 14일 밝혔다. 휴메딕스는 엘라비에 리투오의 활발한 학술 마케팅 효과와 화장품 사업의 유통채널 다각화를 통해 매출 성장을 이끌었다. 다만, 국내 에스테틱 기업 간 경쟁 심화가 지속되는 가운데 보툴리눔 톡신 ‘리즈톡스’의 성장이 둔화했다. 영업이익 측면에서는 영업마케팅 광고선전비와 지급수수료 등 판매관리비 증가 영향으로 소폭 감소했다. 당기순이익은 금융자산 평가이익에 따른 효과가 반영되며 증가했다. 휴메딕스는 오는 4분기 실적에 대해 에스테틱 신제품 ‘리들부스터’, ‘올리핏주’ 등의 학술 마케팅 강화와 ‘엘라비에 리투오’ 신규 거래처 확대, 국내 영업조직 개편을 통한 시장 경쟁력 확보, 전문의약품 품목 다변화를 통한 위탁생산(CMO) 추가 수주 등을 기반으로 매출 성장을 이끌겠다는 목표다. 한편, 휴메딕스는 지난 10일 이사회를 통해 3분기 배당을 실시하기로 했으며, 주당 배당금은 570원 현금배당이며 배당기준일을 오는 11월 25일로 설정했다. 금번 배당은 휴메딕스 최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스텐트 시술 후 출혈 고위험 환자...서울대병원,최적의 이중 항혈소판제 투여 기간 규명 관상동맥 스텐트 시술 후에는 스텐트 혈전증과 시술부위 재발을 막기 위해서 시술 직후부터 일정기간 강력한 이중(二重) 항혈소판제를 투여한다. 그러나 혈전을 예방하기 위해서 처방하는 항혈소판제는 부작용으로 출혈을 동반할 수 있어, 스텐트 시술을 받았지만 출혈 위험이 높은 환자들은 이중 항혈소판제를 얼마나 투여해야 할지 정하기가 어려웠다. 이런 환자들을 위한 최적의 투여 기간이 대규모 임상연구를 통해 밝혀졌다. 특히 기존에 적절하다고 여겨졌던 1개월보다 ‘3개월 유지 요법’이 심혈관사건 예방 효과가 우수하다는 결과가 나타나, 출혈 고위험군을 위한 새로운 치료 기준을 제시해 국제학술지 ‘란셋(The Lancet, IF;88.5)’에 게재됐다. 서울대병원 의생명연구원 김효수 교수와 순환기내과 박경우·강지훈 교수(사진 좌부터)팀은 스텐트 삽입술 환자 4897명을 대상으로 한 무작위배정 임상연구(HOST-BR)에서 이 같은 사실을 입증했다고 13일 발표했다. 허혈성 심장질환은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좁아지는 병이다. 표준 치료법은 약물용출 스텐트를 삽입해 좁아진 부위를 넓히는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PCI)이다. 이 시술 후에는 일생동안 한 가지의 항혈소판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