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7 (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종근당건강,CKD ‘괄사 목주름크림’..출시 1년 만에 33만개 이상 판매 돌파

“목주름 개선 크림” 등 수식어 얻으며 제품력 호평



종근당건강(대표 김호곤)의 ‘건강을 바르다’ 뉴트리컬 코스메틱 브랜드 CKD Guaranteed(씨케이 
개런티드)의 ‘레티노콜라겐 저분자 300괄사 목주름크림’이 누적 판매량 33만 개를 돌파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 9월 출시 후 약 1년 만에 달성한 성과다

특수 스틸 재질의 괄사, 저분자 콜라겐과 레티날 포뮬러의 우수한 제품력과 슬로에이징 트렌드가 맞물려 CKD 괄사 목주름크림은 출시 1년 만에 주요 뷰티 어워즈 3관왕 수상이라는 쾌거까지 달성했다.

주간신문CMN의 2022 대한민국 베스트 화장품, 시장경제신문의 2022 대한민국 뷰티 브랜드 대상, 2023 글로우픽 어워즈 나이트/넥크림 위너 제품 등 총 3개 기관에서 수상하는 성과를 이루어 냈다. 

슬로에이징(Slow-aging)은 노화를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되 건강한 아름다움을 유지하면서 피부 노화의 징후를 완화하는 것을 의미하며, 최근에는 올리브영에서도 강조하고 있는 트렌드이다.

괄사 목주름크림은 지난해 9월 출시 이후 자사몰 3차 완판 신화를 달성한 종근당건강 CKD의 대표 제품이다. 괄사와 목주름크림이 일체형으로 설계되어 굵은 목주름부터 미세 목주름 개선뿐만 아니라 피부 혈행 개선까지 도와주는 스페셜 넥케어 제품이다. 공식몰 고객 리뷰가 누적 7천 개 이상, 리뷰 평점 4.7점* 이상을 기록하고 있으며, 현재는 온라인 자사몰 뿐만 아니라, 홈쇼핑, 올리브영 온/오프라인 매장, 이마트 트레이더스 등 주요 유통채널에서 인기 제품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종근당건강 화장품 조영한 사업부장은 “목과 얼굴의 주름 관리를 위해 전용 크림, 괄사 등 다양한 도구를 구매하는 고객이 증가했다”며 이에 CKD 괄사 목주름 크림은 “사용의 편리함, 합리적 비용을 모두 잡기 위해 저분자 콜라겐 크림과 특수 재질의 괄사를 하나로 결합한 제품을 출시했다. 앞으로도 슬로에이징 트렌드가 지속될 것이므로 소비자의 피부관리 고민을 도와줄 수 있는 혁신적인 제품을 선보이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폐 세포 딱딱하게 굳어지고 마땅한 치료 방법 없는 '폐 섬유증'...새로운 치료 길 열리나 호흡장애를 초래할 수 있지만 마땅한 치료 방법이 없던 폐 섬유증의 새로운 치료 가능성이 제시됐다. 섬유화 억제 유전자 ‘TIF1γ’가 간경변·신장섬유증에 이어 폐 섬유증에서도 치료 효과를 보인다는 사실을 국내 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규명해 ‘Molecular Therapy(IF;12)’에 게재했다. 폐 섬유증은 폐 세포가 딱딱한 섬유조직으로 변화하는 난치성 호흡기 질환이다. 진행될수록 폐 기능이 떨어져 저산소증이 발생하며, 심각한 호흡장애로 이어질 수 있다. 그러나 한 번 섬유화된 폐 조직은 회복이 어렵고, 섬유화를 막을 방법이 존재하지 않아 치료에 한계가 있었다. 서울대병원 의생명연구원 김효수·이은주 교수(서울대 문도담 박사) 연구팀은 동물모델과 체외배양 환자 폐조직을 분석해 폐 섬유증의 유전자 치료 가능성을 확인했다고 최근 발표했다. 연구팀은 항섬유화 유전자 ‘TIF1γ’를 잠재적 치료제로 주목했다. 이 유전자는 연구팀의 기존 연구를 통해 간·콩팥에서 섬유화 억제 효과가 확인된 바 있으며, 실제 폐 섬유증 환자의 폐조직을 분석하자 TIF1γ 발현이 건강한 사람보다 현저히 낮아져 있었다. 이후 코돈 최적화로 발현을 극대화하고, 벡터 백본과 나노지질체를 적용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