쎌바이오텍은 맑은 피부를 위한 프로바이오틱스 솔루션 ‘락토클리어(LACTOClear)’를 전면 리뉴얼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리뉴얼은 자사 기술력을 기반으로 제품 경쟁력을 높이고자 대표 제품 ‘블레미쉬 클리어 스팟 앰플’의 품질·향취를 개선하고, 인체적용시험을 통해 피부 트러블과 피지량 개선 효과를 입증했다. 락토클리어는 30년간 한국산 유산균만을 연구, 대한민국 대표 유산균 브랜드 ‘듀오락(DUOLAC)’을 전개해 온 쎌바이오텍의 트러블 진정 케어 브랜드다. 유산균 발효 과학을 피부에 적용해 스킨 마이크로바이옴을 관리하며, 유산균에서 유래한 천연 성분인 ‘락토패드(LACTOPAD)’가 피부 트러블을 개선하고, 자극 없이 건강한 피부를 가꿔준다. 락토클리어는 이번 리뉴얼을 통해 제품 포트폴리오를 재정비하고, 단계적으로 라인업을 확대할 계획이다. 리뉴얼된 제품은 여드름성 피부 사용 적합성 및 피부 자극 테스트를 모두 통과했다. 42명 대상 인체적용시험 결과, 4주 사용 후 피부 트러블 점수는 약 19% 감소(12.95점→10.48점), 피지량은 약 35% 감소(143µg→93µg)하는 개선 효과를 보였다. 또한, 피부과 전문의가 평가한 피부 자극도는 ‘0.
센트룸이 경희대학교 교수진과 함께 한국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를 바탕으로 신규 브랜드 캠페인 ‘건강한 이들의 이유 있는 선택’을 시작한다.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의학영양학과 임현정 교수팀과 IQVIA 조사 기관은 센트룸 멀티비타민 제품 섭취 경험이 있는 한국 소비자 1천여 명을 대상으로 ‘실사용 데이터를 활용하여 건강기능식품의 소비자 경험을 평가하기 위한 단면, 후향적 설문조사 연구’를 진행했다. 이번 연구에서는 건강한 한국인을 대상으로 멀티 비타민 섭취에 대한 인지된 이점, 사용자의 반응 및 인식을 평가하였다. 센트룸 종합비타민 제품(센트룸 맨 더블업, 센트룸 우먼 더블업, 센트룸 실버 맨, 센트룸 실버 우먼)을 주 3회 이상 섭취한 경험이 있고, 심각한 만성질환이 없는 30세 이상 65세 이하 성인 남녀 총 1,053명(남성 508명, 여성 545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이번 연구는 한국 소비자 전용 조사로서 헤일리온 코리아가 연구비를 전액 지원했다. 조사에 따르면, 소비자들은 “하루 한 번, 한 알로 간편하게 영양을 채울 수 있는 점(86%)”에 대해 가장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뒤를 이어 응답자의 81%는 “하루 한 알로 부족한
원광대학교병원(병원장 서일영)이 몽골 환자 대상 원격협진센터 개소를 위해 지난 14일부터 18일까지 몽골 울란바토르, 바얀울기 지역을 방문하였다고 밝혔다. 몽골 바얀 울기 지역은 몽골 최서단에 위치해 있으며, 카자흐스탄, 중국, 러시아와 인접하고 있으며, 인구 약 10만 명 규모이고, 주민의 대부분(약 90% 이상)이 카자흐족이다. 이번 방문은 지난해 7월 몽골 ACH 국제병원 원격협진 개소 이후, 10월 카자흐스탄 종합 의료기업 텡그리 그룹(TENGRI LLC) 과의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몽골 내 원격협진 확대 진행을 위해 이뤄졌다. 15일 바얀울기 출신 몽골 줄프카르(ZULPKHAR Sarkhad), 장가빌(JANGABYL Khajyekbyer) 국회의원을 만나 몽골의 발전과 보건의료, 교육 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두 의원은 몽골 국회에서 각각 외교와 보건의료, 교육 등의 중책을 맡고 있다. 또한, 16일 바얀울기 주지사 장가르 (ZANGAR)를 만나 울기 지역의 보건 서비스 발전을 위한 논의를 진행했다. 이후 TENGRI Med Clinic을 방문하여 알샤벡(Arshabek) 대표와 원격협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원광대학교병원과 원격협진 시스템
질병관리청(청장 임승관)은 말라리아 위험지역에서 31주차(7월 27일~8월 2일)에 채집된 말라리아 매개모기(얼룩날개모기류)에서 삼일열원충 감염이 확인됨에 따라 전국에 말라리아 경보를 8월 19일자로 발령하였다. 질병관리청은 국방부 및 지자체와 협력하여 말라리아 매개모기 조사감시사업을 통해 매년 4월부터 10월까지 위험지역을 중심으로 개체수 변화 및 감염률 감시를 수행하고 있다. 올해 누적 매개모기 일평균 개체수는 전년 대비 54.4%(모기지수 82.4→37.6) 감소하였으나, 29주차에 많은 비가 내린 후부터 매개모기 밀도가 증가하여 31주차에는 평년 동기간 대비 46.9%(4.9→7.2), 전년 동기간 대비 24.1%(5.8→7.2) 증가하였다. 올해 6월 20일 매개모기 증가로 전국에 주의보가 발령된 이후, 8월 13일 기준 군집사례 발생 및 매개모기 개체 수 증가에 따라 총 8개 지역(인천 강화군, 경기 파주시·연천군·고양시·양주시·김포시, 강원 양구군·화천군)에 경보가 발령되었고, 현시점에서는 말라리아 양성 모기 확인에 따라 전국에 경보를 발령하게 되었다. 현재까지 국내 말라리아 환자는 총 373명(1월 1일~8월 13일)으로 전년 동기간(443명)
한국드레가는 신형 마취 기기 ‘Dräger Atlan A100’을 한국 시장에 공식 출시한다고 19일 밝혔다. 이번 신제품은 일상적인 외과 업무 요구사항에 최적화돼 수술실(OT) 환경의 복잡성과 자원 제약을 효과적으로 완화하도록 설계됐다. Atlan A100은 드레가의 독자 기술인 고정밀 피스톤 환기장치 ‘E-Vent plus’를 탑재해 신생아를 포함한 다양한 환자에게 정밀하고 안전한 폐 보호 환기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또한 기계적 유량계(flow tube)를 기반으로 한 가스 혼합 장치를 적용해 최소·저유량 마취를 원활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고 전했다. 이와 함께 위급 상황 대응과 운용 신뢰성을 높이는 다양한 안전 백업 기능도 갖췄다. Atlan 제품군은 독일 뤼벡 본사의 Drägerwerk AG & Co. KGaA에서 제조된다.
코아스템켐온(대표 양길안)은 자사가 개발한 루게릭병(근위축성측삭경화증, ALS) 줄기세포 치료제 ‘뉴로나타-알주’가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품목허가 심사 절차의 일환인 임상시험 실태조사 계획을 통보받았다고 19일 밝혔다. 이번 조사는 오는 9월 초부터 중순까지 진행될 예정으로, 뉴로나타-알주의 국내 상용화를 앞당기기 위한 중요한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실태조사는 품목변경허가 신청 이후 필수적으로 거치는 절차로, 임상시험 데이터의 신뢰성과 적합성을 검증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조사 항목에는 △임상시험 계획의 타당성 △환자 안전성 관리 체계 △임상 수행 기록과 자료 관리의 완결성 △의약품 품질 및 관리 △모니터링 체계의 적합성 등이 포함된다. 코아스템켐온은 요구된 자료 제출과 현장 대응까지 철저히 준비해 조사가 원활히 마무리될 수 있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한편 코아스템켐온은 이번 국내 허가 절차를 신속히 추진함과 동시에 미국 FDA와의 품목허가 논의에도 대비하고 있다. 이와 맞물려 회사는 뉴로나타-알주의 연구와 상용화 준비에 필요한 재원을 확보하고, 교환사채와 오송 ATMP 부채를 줄여 재무구조를 개선하기 위해 최근 유상증자를 단행했다. 이번 조치는 FDA BL
토니모리가 홍콩 정관오의 로하스 파크 주거단지 중심에 위치한 ‘로하스 몰’(The LOHAS)에 홍콩 18호점 매장을 신규 오픈했다고 밝혔다. 로하스 몰은 약 44,600㎡ 크기의 대형 쇼핑몰로 홍콩 최대 규모의 실내 아이스링크가 들어서 있으며, 6관 영화관과 대형 슈퍼마켓, 외식·헬스케어 서비스 등 총 150여 개 상점이 입점한 복합 문화공간이다. 신규 매장에는 ‘타임리스 링클 리프팅 이펙터’ 제품을 비롯, 바이오 EX와 레드 레티놀 등 홍콩에서 널리 인기를 얻고 있는 프리미엄 제품군까지 총 850여 제품을 판매한다. 또한 국내외에서 대용량, 가성비 토너로 입소문을 타면서 올해 상반기에 누적 판매량 총 300만 개를 돌파한 ‘원더 세라마이드 모찌 토너’도 적극 영업할 계획이다. 토니모리는 최근 글로벌 시장의 K-뷰티 성황에 힘입어 보다 적극적으로 판매 채널과 소비자 접점을 확대해 나간다는 전략이다. 특히 홍콩 시장은 북미 시장에 이어 토니모리의 수출 비중이 높은 지역 중 하나로, 토니모리 브랜드에 대한 높은 고객 충성도와 브랜드 입지에 힘입어 단일 브랜드 매장을 지속 오픈하고 있다.
서울특별시 환경보건센터(센터장 홍윤철)는 지난 8월 14일,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국제관에서 어린이 환경보건 출생코호트 사업(Korean CHildren’s ENvironmental health Study, Ko-CHENS, 이하 ‘코챈스’)에 참여 중인 학부모를 대상으로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번 간담회는 코챈스 참여 가족 간 유대감을 강화하고, 어린이 눈높이에 맞춘 환경보건 교육자료 개발을 위해 학부모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자 “엄마 아빠와 함께 만드는 환경보건 첫걸음”이라는 주제로 마련됐다. 특히, 코챈스 참여 학부모 중 초등학교 교사, 환경교육 전문가, 환경보건에 관심 있는 학부모 15명이 참석해, 교육 현장의 경험과 실질적인 아이디어를 공유하는 뜻깊은 소통의 장이 마련됐다. 간담회는 ▲코챈스 연구 개요 소개 ▲환경보건 교육자료 개발 배경 발표 ▲학교 환경교육 사례 공유 ▲교구 활용 경험 및 개선 제안 ▲코챈스 참여 소감 나눔 등의 순서로 진행됐으며, 다양한 관점에서 활발한 의견교류가 이루어졌다. 또한, 학부모와 함께 방문한 아동들을 위한 체험 프로그램도 별도로 운영되었다. ▲기후위기 교육 ▲스칸디아모스 지구 액자 만들기 ▲에너지 절약 컬러링 부채 만들
제테마(216080)의 보툴리눔 톡신 ‘JTM201’이 미국에서 진행된 미간주름(glabellar lines) 2상 임상(J-001-US) 탑라인 결과에서 유의미한 유효성과 빠른 발현을 확인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번 분석에 사용된 GLS(Glabellar Line Scale, 미간주름척도)는 0점(없음)~3점(중증) 4단계로 구성되었으며, 본 2상 탑라인은 최대 찡그림 시(최대 수축) 상태에서의 연구자 평가 결과를 기준으로 산출됐다. 자료에 따르면, 연구자 평가 기준 투여 30일차 GLS ≥ 2점 개선 비율이 81.1%로 집계됐으며, 위약군(가짜 약을 먹은 집단) 5.8% 대비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회사 자료에 따르면 총 360명의 JTM201 투여군을 분석했으며, 투여 7일차에 71.1%에서 눈에 띄는 주름이 거의 없는 상태로 개선이 진행됐다. 14일차 최대반응 83.9%에 도달한 뒤 30일차에도 81.1% 수준을 유지, 빠른 발현과 효과 지속을 동시에 확인했다.(평가 조건: 최대 찡그림 시, 연구자 평가) 환자경험 지표도 긍정적이다. 투여 14일차 만족도 조사에서 87.5%(315/360명)가 7점(매우 만족) 또는 6점(만족)으로 응답했다. 또한 ‘효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의약품 허가특허연계제도 관련 제약업계 실무자 등을 대상으로 9월 4일부터 5일까지 2일간 포스코타워 역삼(서울시 강남구 소재)에서 ‘2025년 하반기 의약품 허가특허연계제도 교육’을 실시한다. 허가특허연계제도 교육은 제약업계의 제도 이해도를 높이고, 의약품 특허 대응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2016년부터 매년 개최해 오고 있다. 이번 교육은 신규 담당자들을 대상으로 실무경험이 많은 변리사, 업계 전문가 등이 제도 기본 전략과 실무 절차를 안내하는 일반과정(9월 4일)과 세부 쟁점과 동향 분석 등 제도와 관련된 심층 강의들로 구성한 심화과정(9월 5일)으로 진행된다. <과정별 주요 교육 내용> 과정 내용 일반과정 (9.4) 후발 제약사 관점에서 허가특허연계제도 전략 오리지널사 관점에서 허가특허연계제도 전략 특허 관련 부서의 의약품 허가특허연계제도 실무 심화과정 (9.5) 우선판매품목허가 전략 및 국내 허가특허연계제도 동향 바이오의약품 특허 동향 및 전략 국내외 의약품 특허정보 사이트 및 검색방법 소개 일반과정에서는 후발의약품의 신속한 시장 진입과 오리지널 의약품의 특허권 보호라는 제도의 운영 원리를 명확히 이해할 수 있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지난 7월 한 달간 의료제품 총 185개 품목을 허가했다고 밝혔다. 25년 7월 의료제품 허가 품목 수는 지난해 월평균(124개) 대비 149.2%, 올해 반기 월평균(117개) 대비 158.1% 수준이었다. 식약처는 신약으로 전립선암을 진단하는 ‘프로스타시크주(플로투폴라스타트(18F)액)’, 유방암 치료제인 ‘이토베비정 3밀리그램(이나볼리십)’, ‘이토베비정 9밀리그램(이나볼리십)’ 허가했다. 희귀의약품으로 원발성 담즙성 담관염 치료제인 ‘아이커보정 80밀리그램(엘라피브라노)’를 허가했다. 또한 디지털 의료기기로는 호환되는 웨어러블 전자기기(AirPods Pro 2 이상)를 통해 경도에서 중도의 청각장애가 있는 사람에게 소리를 증폭시켜 주는 이비인후과학 진료용 소프트웨어 ‘Hearing Aid Feature(HAF)’를 허가했다. -7월. 허가 품목 연번 구분 품목명 업체명 제조/수입 허가일자 1 의약품 코미나티제이엔원프리필드시린지(브레토바메란)(사스코로나바이러스-2 mRNA 백신) 한국화이자제약(주) 수입 2025-07-01 2 의약품 휴디앙듀오서방정12.5/1000밀리그램(엠파글리플로진,메트포르민) (주)휴온스 제조 2
종합 미생물 진단 기업 퀀타매트릭스(317690, 대표이사 권성훈) 와 서울대학교병원 연구부문 융합의학기술원 첨단세포유전자치료센터(센터장 고영일)가 세포치료제의 신속 무균 검증 연구 및 사업화를 위해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9일 밝혔다. 양 기관은 이번 협약을 통해 ▲연구개발 관련 기술 및 인프라 지원 ▲교육 협력 ▲사업화 지원체계 구축 ▲기타 공동 발전을 위한 상호 협력 등 다방면에서 긴밀히 협력할 예정이다. 이번 업무협약의 핵심이 되는 신속무균검증 기술은 서울대병원 이은주 교수,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권성훈 교수가 공동으로 개발한 것으로 2025 MEDITEK Innovation Awards에서 Best 10 기술로 선정되며 혁신성을 인정받았다. MEDITEK은 국내외 의료기기 및 헬스케어 산업의 지속 가능한 기술혁신과 성장을 위한 오픈 이노베이션 플랫폼이다. 대학, 병원, 연구기관의 혁신 기술과 비즈니스 모델을 시장에 공개하고, 산업계와의 파트너링 및 네트워킹을 통해 기술이전, 투자 연계, 글로벌 진출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플랫폼에서 Best 10 기술로 선정되었다는 것은 해당 기술이 연구개발 단계에 그치지 않고 산업적 활용 가능성,
동아에스티(대표이사 사장 정재훈)는 스텔라라(Stelara) 바이오시밀러 ‘이뮬도사(IMULDOSA, 프로젝트명 DMB-3115, 성분명 우스테키누맙)’를 파트너사인 다국적 제약사 인타스 및 어코드 바이오파마를 통해 미국에 출시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뮬도사는 얀센이 개발한 스텔라라의 바이오시밀러로 판상 건선과 건선성 관절염, 크론병 및 궤양성 대장염과 같은 염증성 질환의 치료제다. 스텔라라는 전 세계적으로 약 215억 5,200만 달러(아이큐비아 2024년 누적 매출액)의 매출을 기록했다.이뮬도사는 독일, 영국, 스페인 등 총 14개 국가에 출시됐으며, 사우디아라비아, 카타르, 아랍에미리트 등 MENA 지역에서는 품목허가를 획득했다. 한편, 이뮬도사는 지난 2013년부터 동아쏘시오홀딩스와 메이지세이카파마가 공동 개발했고, 2020년 7월 효율적인 글로벌 프로젝트 수행을 위해 동아에스티로 개발 및 상업화에 대한 권리가 이전되어 동아에스티와 메이지세이카파마가 공동 개발을 진행했다. 2021년 7월에는 다국적 제약사 인타스와 이뮬도사의 글로벌 라이선스 아웃 계약을 체결했다. 인타스는 미국의 어코드 바이오파마와 유럽, 영국 및 캐나다의 어코드 헬스케어를 포함한 전
동화약품은 신임 생활건강본부장에 조영한 본부장을 선임했다고 19일 밝혔다. 조영한 본부장은 경상대학교 교육학과를 졸업하고 연세대 경영전문대학원 유통전문 경영자과정과 영업마케팅 최고위과정을 수료했다. 1993년 LG생활건강에 입사해 화장품사업부 영업, 마케팅, 유통기획 등 주요 직무를 두루 거쳤으며, 중국법인 프리미엄 사업부문장, 에이블씨엔씨 영업부문장(COO), 종근당건강 화장품사업부장을 역임했다. 조 본부장은 음료, 의약외품, 화장품, 건강기능식품 등 다양한 제품과 유통 채널 사업 전반을 총괄하며, 부문 경쟁력 강화와 성장 전략 추진에 나설 계획이다.
인스코비 그룹 자회사인 바이오 의료기기 전문 제조기업 셀루메드(049180, 대표유인수)가 의료현장의 실사용자인 전문 의료진의 피드백을 반영해 자사의 피부이식재 ‘CELLUDERM HD IMPLANT’의 공정 개선을 완료, 제품 업그레이드를 마쳤다고 19일 밝혔다. 이번 개선 작업은 유방재건 수술에 주로 사용되는 ‘CELLUDERM HDIMPLANT’의 절삭 공정 정밀도와 제품 마감 품질을 높이는 데 초점을 맞췄다. 특히 실제 시술에 제품을 사용하는 성형외과 및 유방외과 의료진의 의견을 바탕으로, 조작성과 직관적 사용성을 향상시키고, 환자의 이물감 최소화를 위한 구조 설계 및 표면 처리도 최적화했다. 셀루메드는 이와 같은 개선을 통해 수술 시간 단축과 합병증 발생률 감소 등의 임상적 이점을 기대하고 있다. 그간 셀루메드는 성형외과, 유방외과, 정형외과, 비뇨기과 등 다양한 전문 분야 의료진과의 협업을 통해의료현장 중심의 기술 고도화를 추진해 왔다. 이번 제품 업그레이드를 통해 ‘CELLUDERM HD IMPLANT’의 적용 범위와 사용 편의성이 크게 향상되었고, 하반기에는 국내외 공급 확대와 함께 매출 성장세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