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웅제약(대표 박성수∙이창재)이 보건복지부로부터 2024년도 혁신형 제약기업 인증을 받았다고 3일 밝혔다. 대웅제약은 지난 2012년 혁신형 제약기업으로 첫 선정된 이후 5회 연속 인증에 성공했다. 혁신형 제약기업 인증 기간은 3년이다. 혁신형 제약기업은 ‘제약산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연구개발(R&D) 투자 비중이 일정 수준 이상이고 신약 R&D 실적, 해외 진출 역량 등이 우수한 기업들을 보건복지부가 평가해 인증하는 제도다.
청담해리슨병원의 김현성 병원장이 제29회 서울특별시의사회 의학상 ‘개원의 학술상’을 수상했다. 이는 작년 허동화 대표원장이 제28회 서울특별시의사회 의학상 ‘개원의 학술상’을 수상한 데 이어 연속으로 이루어진 쾌거로, 청담해리슨병원의 우수한 의료 역량을 다시 한번 입증하는 계기가 됐다. 서울특별시의사회는 매년 의학 발전에 기여한 의사들을 선정해 의학상을 수여하고 있다. 김현성 병원장은 다양한 연구 활동을 통해 학문적 기여를 했을 뿐만 아니라, 환자들에게 최선의 치료를 제공하기 위해 항상 노력해 왔다.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마약류통합관리시스템*으로 보고된 의료용 마약류 취급내역을 분석해 ‘2023년 의료용 마약류 취급현황 통계’(국가승인통계)를 7월 2일 발표했다고 밝혔다. 식약처는 2019년부터 매년 의료용 마약류 취급현황을 발표하고 있으며, 이번에는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의료용 마약류 처방・조제(투약) 현황, 마약류 취급자 수, 마약류 제조・수입・수출 실적 등 국내 의료용 마약류 취급현황과 변화 등을 제공하였다. -마약류 처방・조제(투약) 현황 지난해 의료용 마약류를 처방받은 환자는 1,991만 명, 처방량은 18억 9,411만 개로 집계되어, 전체 환자 수는 전년 대비 45만 명이 증가했으며, 처방량도 2천 51만 개가 늘어났으나 1인당 처방량은 약간 감소했 연령별 처방받은 환자는 50대가 21.2%(418만 명)로 가장 많았고, 60대 19.7%(389만 명), 40대 19.7%(388만 명), 30대 12.5%(246만 명) 순이었다. -효능군 및 주요 성분 처방・조제(투약) 현황 효능군별 처방량은 항불안제(9억 1,824만 개, 48.5%)가 가장 많았고, 최면진정제(2억 9,879만 개, 15.8%),
인천의료원(조승연 의료원장)은 2일 의료원에 하노이 의과대학 병원의 타잉 부원장과 링 영상의학 인터벤션 센터장이 방문했다고 밝혔다. 이번 방문은 하노이 의과대학 병원이 공립 대학병원으로서 지역 사회 보건 향상을 위한 성공 운영 사례를 경험하기 위해, 하노이 의과대학 병원과 교류 중인 에이치플러스 양지병원 관계자와 동행하였다. 하노이 의과대학 병원은 선진국 의료기관과의 활발한 협력 사업을 통해 베트남의 의료 서비스 질 향상에 힘쓰고 있다. 특히 하노이를 대표하는 공공 병원으로서 지난 십여 년간 병원의 눈부신 양적 성장과 함께 의료의 질과 지역 사회의 의료 복지 개선을 위해 다양한 사업을 전개하고 있으며, 이번 인천의료원에서의 운영 사례 경험이 의료 서비스 개선을 통해 보다 많은 베트남 국민들에게 공공의료의 사명을 다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대한적십자사(회장 김철수)가 7월 2일부터 4일까지 국제적십자사연맹(이하 IFRC)과 공동으로 개최하는 도시협력플랫폼(Urban Collaboration Platform, UCP) 국제회의가 오늘 막을 열었다. 서울시와 한국의 집이 후원하는 이번 회의에는 전 세계 도시들의 재난 대응 및 회복력 강화를 위해 27개국의 적십자사, 국제기구, 민간 기후 및 재난위험경감 전문가 등 총 100여 명이 한자리에 모였다. 올해 회의 주제는 지난 2022년 국제적십자회의 대표자회의 결의문(도시 지역사회의 복원력 강화 : 우리의 미래 방향)을 기반으로 하여, 「도시복원력 관련 지역사회 기후위기 대응 활동의 발전 방안」으로 정해졌다. 세부적으로 △재난 관리, △기후 변화 대응, △신기술, △사회적 포용 등 다양한 분야에서 도시 간 협력 방안을 논의하게 된다. 2일 한국의집에서 열린 개회식에는 대한적십자사, IFRC, 서울시, 한국방재협회, ICLEI, UNDRR, MERSK 등 다양한 기관의 인사가 참여하였다. 대한적십자사 홍보대사인 나승연이 개회식 사회를 맡았으며, 기후복원력 홍보대사인 이승기는 ‘도시 기후 복원력: 함께 만들기’를 주제로 발표에 나섰다. 또한 김철수 회장의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 김유미 차장은 최근 마약범죄 단속‧수사가 증가하며 보호관찰 및 수강·이수 명령 대상 마약류 사범도 증가함에 따라 법무부 소속 서울보호관찰소(서울 동대문구 소재)를 7월 2일 방문해 마약류 사범 재활 현황을 살펴보고, 부처 간 효과적인 업무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날 현장 방문에서는 보호관찰 대상자에 대한 지도·감독 및 수강명령 집행 등을 통해 범죄성을 개선해 재범을 방지하는 보호관찰소의 역할과 업무, 마약류 사범 보호관찰 대상자 지도·감독 과정, 프로그램 현황 등이 논의됐고, 현장 목소리 청취를 위한 업무 담당자 간담회도 진행됐다. 김유미 차장은 “지금은 투약사범‧중독자에 대한 사법-치료-재활까지 빈틈없는 관리를 토대로 건강한 사회 구성원으로 신속하게 복귀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하는 시기로 이를 위해 부처 간 유기적인 업무 연계가 중요하다.”며, “사법 처분 등의 종료 후에도 건강한 일상을 회복할 때까지 사회재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업무협조 체계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겠다.”고 밝혔다.
AI 신약개발 분야의 선도적인 전문가들이 멘토로 참여해 교육생들에게 실무 지도와 컨설팅을 제공하는 ‘AI 신약개발 융합인재 양성 프로그램’이 작년에 이어 두 번째 개설됐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회장 노연홍) AI신약융합연구원은 ‘도전 LAIDD, AI 신약개발 멘토링 프로젝트’를 개설하고, 프로젝트에 참여할 교육생 모집에 나선다고 1일 밝혔다.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의 ‘인공지능(AI) 활용 신약개발 교육 및 홍보사업’의 일환으로 진행하는 LAIDD 멘토링 프로젝트는 AI 신약개발 현장에 즉시 투입이 가능한 융합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사업이다. LAIDD 멘토링 프로젝트는 ▲신약개발에 AI를 활용 중이거나 직무 전환을 고려 중인 제약바이오기업 재직자 ▲AI 신약개발을 학습하고 싶은 AI 개발자 ▲AI 신약개발 관련 대학(원)생 및 취업준비생을 대상으로 진행한다. 멘토와 멘티들은 인공지능(AI), 생물학, 화학, 약학, 의학 등을 바탕으로 파이썬(Python), 파이토치(Pytorch), R프로그래밍, 리눅스 등을 활용한 AI 신약개발 프로젝트를 수행한다. 멘토들은 산업계의 수요가 높은 프로젝트 주제를 선정, 팀 프로젝트 형식의 멘토링을 지원한다. 주제별
EGFR 돌연변이 폐암 1차 치료로 사용하는 기존 3세대 표적치료제보다 우수한 치료제 병용 3상 결과가 나왔다. 연세암병원 폐암센터 조병철 센터장<사진> 연구팀은 치료력 없는 EGFR 돌연변이 폐암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다국가, 무작위 배정 3상 연구에서 아미반타맙과 레이저티닙 병용 요법이 기존 표준치료제 오시머티닙보다 무진행생존기간을 30% 정도 높인다고 1일에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뉴잉글랜드 저널 오브 메디신’(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IF 176.082)에 실렸다. 종양학 분야 저자로 NEJM 2번 게재는 조병철 교수가 국내 최초다. 또 국산 항암제 임상 결과가 NEJM에 게재된 것도 처음이다. EGFR 돌연변이 폐암은 전체 폐암 25~40%를 차지하며 전세계적으로 매년 45만명의 신규 환자가 발생할 정도로 폐암의 가장 큰 아형이다. 1차 치료제로 미국 FDA 승인을 받은 약제는 오시머티닙이 유일하다. 오시머티닙은 반응률 80%와 무진행생존기간 16~18개월을 보이고 이후 환자 대부분이 내성을 갖는다. 조병철 교수는 아미반타맙과 레이저티닙 병용 요법의 효과와 안전성을 확인했다. 아미반타맙과
㈜씨알에스큐브(대표 김기돈)는 글로벌 사업 확장을 위해 글로벌 CRO(임상시험수탁기관) 및 임상시험 IT컨설팅 기업에서 운영 부사장을 역임한 Juan Munoz-Pujol과 마케팅 전문가인 Sylvain Berthelot을 7월부터 파격적으로 영입했다. 이들의 합류로 인해 회사는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더욱 강화할 계획이다. 씨알에스큐브의 솔루션은 지난 14년간 국내외 5,000여개의 임상시험에 활용되었으며, 30여개 국가에서 400건 이상의 임상시험에 활용되고 있다. 이미 일본과 미국, 중국에 별도 법인이 운영되며 활발히 해외시장을 개척하고 있으나, 아직은 국내에서의 자사 솔루션 활용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만큼 글로벌 경쟁력 제고에 박차를 가하기 위해 이 같은 인재 영입을 진행하였다. Juan Munoz-Pujol은 글로벌 CRO인 Parexel과 임상시험 IT컨설팅 기업인 Calyx에서 운영부사장을 역임했으며, 21년의 경력을 보유하고 있다. 그는 글로벌 고객 중심의 전문 서비스 팀과 제품 개발 조직을 구축, 개발, 확장하는 데 탁월한 전문성을 보유하고 있다.
유한양행(대표이사 조욱제)은 고셔병 치료용 신약으로 개발 중인 YH35995의 임상1상 시험계획(IND)을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6월 28일자로 승인 받았다고 밝혔다. 고셔병은 유전적 돌연변이의 영향으로 특정 효소 결핍으로 인해 생기는 리소좀 축적 질환(Lysosomal Storage Disease,LSD)의 한 종류로, 혈액학적, 장기, 골격계 등 전신에 걸친 증상이 나타나는 희귀 질환이다. YH35995는 글루코실세라마이드(Glucosylceramide; GL1)의 생성을 낮추는 글루코실 세라마이드 합성효소(Glucosylceramide Synthase, GCS) 억제제로, 기질감소치료법 (Substrate Reduction Therapy, SRT)에 해당하는 저분자 화합물로 경구 투여용으로 개발 중인 약물이다. 전임상 시험을 통해 우수한 유효성 및 안전성이 확인되었으며, 특히 혈액뇌장벽(Blood-Brain Barrier, BBB)을 투과할 수 있도록 개발되어 동물에서 높은 BBB 투과율과 기존 치료제 대비 뇌에서의 GL1 수치를 더 크고 오래 억제하는 특징을 보였다. 따라서, 신경학적 증상에 대해 선택할 수 있는 치료 옵션이 제한적인 제3형 고셔병 환
365mc가 ‘제18회 대한민국 보건산업대상 시상식’에서 '지방흡입 특화부문 최우수브랜드종합대상'을 수상했다.365mc는 국민의 건강 증진과 보건산업 발전에 헌신하고, 글로벌 시장에서 ‘K-지방흡입’의 위상을 높인 공로를 인정받았다. 올해로 개원 21주년을 맞은 365mc는 지방 연구와 치료에 전념한 결과, 연간 3만 건 이상의 비만 치료 케이스와 99% 이상의 초고객만족도를달성하했다 특히 KAIST와의 공동 연구 끝에 개발한 '초고효율 지방흡입 캐뉼라', 미국 특허를 취득한 인공지능 지방흡입 시스템 'M.A.I.L System(Motion capture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ssisted Liposuction)' 등은 지방흡입 수술의 초격차를 실현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서울대치과병원(병원장 이용무) 인체유래물은행은 지난 6월 28일(금) ‘제3회 학술 구강바이오뱅크 네트워크 공동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이번 심포지엄은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 후원을 통해 진행됐다. 서울대치과병원, 연세대치과병원, 사과나무치과병원, 부산대치과병원 등 4곳의 질병관리청 주관 인체자원은행 특성화 지원 사업 4기(2021~2025년) 협력은행들이 참가했다. 서울대치과병원은 앞서 지난 5월 31일(금)에 제2회 행사를 개최했다. 이날 오후 5시부터 비대면 화상회의 방식으로 진행된 행사는, 부산대 치의학대학원 구강미생물학교실 나희삼 교수의 발표를 시작으로 질의응답, 구강바이오뱅크 네트워크 운영 논의 등이 이어졌다. 나희삼 교수는 ‘바이오뱅크 샘플을 활용한 구강 미생물군집 데이터 연구(Oral microbiome data studies using BioBank samples)’를 주제로 발표했다.
케이메디허브(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이사장 양진영)가 국내 신약개발 활성화를 위해 약물 수송체 평가기술을 고도화하고 기술서비스 지원을 확대한다. 약물 수송체(Drug transporter)란 세포막을 통해 약물을 이동시키는 단백질로 외부물질의 체내 흡수, 분포, 소실을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는 물질의 약동학 및 약리학적 특성 변화를 야기할 뿐만 아니라 약물이 수송체의 발현이나 활성을 조절하는 경우 조직 내 약물 농도 변화를 통해 약물의 독성이나 효능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 현재까지 알려진 약물 수송체는 400여종으로 장, 간, 신장 등 다양한 장기에서 발현된다. 이 중 미국 FDA에서는 임상적 결과 효능이나 독성에 영향을 준다고 알려진 SLC 수송체* 7종과 ABC 수송체** 2종에 대해 신약 후보물질의 기질성이나 저해능을 평가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케이메디허브 신약개발지원센터는 국내 제약기업의 신약개발 활성화를 위해 SLC·ABC 약물 수송체의 활성평가 기술서비스를 신약 초기 개발단계의 스크리닝 시험뿐만 아니라 식품의약품안전처 허가용 시험까지 확대 지원한다. 기술서비스는 미국 FDA, 유럽 EMA 등 국제 가이드라인을 준용하며 다년간 신약 후
대상웰라이프가 전북대학교병원(이하 전북대병원) 기능성식품임상시험지원센터와 ‘맞춤형 기능성식품 및 메디푸드 상용화 플랫폼 구축’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30일 밝혔다. 체결식은 지난 28일 전북대병원 임상연구지원센터에서 이진혁 대상웰라이프 FM MI실장과 채수완 전북대병원 기능성식품임상시험지원센터장 및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양사는 전략적 파트너십을 통해 마이크로바이옴 사업 분야에서 국내 식품산업의 진흥 및 발전을 위한 협력에 나선다. ▲인체적용시험 및 임상연구 ▲식품∙임상 DB 활용 마이크로바이옴 발굴에 대한 상호 협력을 추진할 예정이다. 대상웰라이프와 전북대병원은 향후 대상웰라이프에서 검토하는 기능성식품 및 원료의 임상시험에 적극 협력할 예정이다. 또한 맞춤형 기능성식품 및 원료에 대한 정보를 교류하고, 다수의 임상연구로 제품의 우수성을 입증해 온 균형영양식 ‘뉴케어’ 임상시험을 통해 제품 연구 및 개발에도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