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장제약회사인광동제약(주)이 알보젠코리아에 위탁해 생산 판매하고 있는 '다콤시타정10/100밀리그램'이 불순물(NTTP) 초과 검출 우려에 따라 시중 유통제품의 회수 조치가 내려졌다. 식약처는 최근 제조번호 23001에 대해 사전예방적 조치 차원에서 영업자 회수 조치를 내렸다. -회수 조치 내려진 다콤시타정 다콤시타정은 시타글립틴과 다파글리플로진의 병용투여가 적합한 제2형 당뇨병 환자의 혈당 조절을 향상시키기 위해 식사요법 및 운동요법의 보조제로 사용되고 있다
(주) 메디셀(대표 박원옥)이 생산 판매하고 있는 메디플러스제로겔 등 패키지 손소독제 13품목이 약사법 위반 혐의로 제조정지 1개월 행정처분을 받았다. 식약처에 따르면 메디셀은 이들 메디플러스제로겔(손소독제·에탄올),닥터셀퓨어메디겔(에탄올),코코겔(에탄올),카타리스핸즈겔(에탄올),네츄럴 크린 등의. 손소독제를 패키지로 생산하면서 변경사항을 제때 신고하지 않은 것으르 드러났다. -행정처분 내용 따라서. 메디셀은 오는 21일부터 다음달 20일까지 이들 품목에 대해 생산을 할수 없게됐다.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 국립보건연구원(원장 박현영) 국립감염병연구소(소장 장희창)는 2024년 환태평양 신종감염병 국제컨퍼런스(International Conference on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in the Pacific Rim, 이하 ‘EID’)를 3월 5일(화)부터 8일(금)까지 4일간 그랜드하얏트인천 호텔에서 개최됐다. 행사는 미국 국립알레르기·감염병연구소(NIAID) 요청에 따라 일본 의료연구개발기구(AMED)와 함께 한국 질병관리청 국립감염병연구소(NIID)가 공동으로 주최하며, 국제백신연구소(IVI)가 파트너기관으로 참여했다. 이 행사의 일부로 국립감염병연구소는 국내외 연구기관 간 협력체계 강화를 위해 제2회 감염병연구기관 국제심포지엄(International Symposium for Infectious Diseases Research Institutes Cooperation, 이하 ‘IDRIC’)을 3월 8일(금)에 개최됐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다음 팬데믹은 우리가 개발한 백신, 치료제를 가지고 대응하겠다는 각오로, 신종감염병 대유행 대비 백신·치료제 개발 프로젝트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 mRNA 플랫폼
근 손실을 최소화하면서도 25% 이상 체중 감량 효과가 기대되는 한미약품의 차세대 비만 치료 삼중작용제(LA-GLP/GIP/GCG, 코드명 : HM15275)가 임상 1상에 진입한다. 한미약품은 지난 2월 29일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에 국내 성인 건강인 및 비만 환자를 대상으로 HM15275의 안전성과 내약성, 약동학, 약력학 특성 등을 평가하는 임상시험계획(IND)을 제출했다고 8일 밝혔다. 한미약품은 한국 식약처에 이어 3월 중 미국 FDA에도 IND를 제출할 계획이다. HM15275는 한미의 전주기적 비만치료 신약 프로젝트 ‘H.O.P(Hanmi Obesity Pipeline)’에포함된 혁신신약 후보물질로, 현재 임상 3상 개발이 진행 중인 ‘에페글레나타이드’의 혁신을 이어나갈 차세대 신약이다. HM15275는 한미의 기존 바이오신약 플랫폼 ‘랩스커버리’가 아닌 ‘아실레이션(Acylation)’ 기술이 적용된 비만 신약으로,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GLP-1)와 위 억제 펩타이드(GIP), 글루카곤(Glucagon, GCG) 등 각각의 수용체 작용을 최적화해 비만 치료에 특화되며, 부수적으로 다양한 대사성 질환에 효력을 볼 수 있도록 설계된 것이 특징이
스트라우만 그룹(이하 스트라우만)이 자사의 2023년 연 매출액이 24억 스위스프랑(한화 약 3조 6,407억 원)으로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스트라우만은 지난 2월 27일(스위스 바젤 현지 시각 기준) 2023년 연간 보고서를 발표하고 자사 실적 및 주요 성과, 지역별 매출을 공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연 매출액은 전년 대비 9.8% 증가했으며, 유럽과 아시아 태평양 지역, 특히 중국에서 전반적으로 성과가 향상되었다. 이에 따라 2023년 스트라우만의 세계 임플란트 시장 점유율은 약 32%로, 세계 1위 자리를 더욱 공고하게 유지했다는 분석이다. 스트라우만은 2023년 임플란트 분야에서 스트라우만 BLT 임플란트, 네오덴트(Neodent) 등 프리미엄 및 밸류 세그먼트 부문 모두에서 두 자릿수 규모의 성장을 기록하며 견고한 실적을 유지했다. 특히, 치과 투명교정 장치 클리어코렉트(ClearCorrect) 사업에서는 임상 교정 장치와 소프트웨어 측면에 새로운 기능이 도입되면서 더 많은 임상의에게 큰 호응을 얻었다. 스트라우만 AXS, 코디엑스(CoDiagnostix) AI 어시스턴트 등 디지털 덴티스트리 분야 성장스트라우만은 디지털 덴티스트리
한미사이언스(이하 한미그룹)는 6일 수원지법에서 열린 가처분 1차 심문에서 “OCI그룹과의 통합은 한미의 정체성과 로열티를 지키면서, 한미의 미래가치를 높여 주주 전체의 이익을 도모할 수 있는 결단이었다”고 말했다. 한미그룹은 3자 배정 유상증자의 정당성과 양 그룹간 통합 이후의 구체적 시너지, 상속세 재원 마련을 하면서도 한미를 지킬 수 있었던 결단이었다는 점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면서, 상대측에서 제기한 비방에 대해서는 적극적으로 반박했다. 반면 상대측은 이번 통합을 반대하는 여러 이유들을 제시했지만, 정작 ①상속세 재원을 마련하면서도 ②경영권을 지키고 ③한미의 미래가치를 높일 수 있는 다른 ‘대안’은 제시하지 못해, 이번 소송 제기가 ‘반대를 위한 반대’라는 점을 스스로 실토한 셈이 됐다. 실제 상대측 변호인은 심문 과정에서 ‘대안 제시’에 대한 재판부 요청에 대해 “오랜 기간 경영권에서 배제돼 있던 상황이라 대안에 대해서는 논의조차 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경영권을 확보하고 있다가 이번 통합으로 경영권을 빼앗기게 됐다고 주장하면서도, 대안 제시 필요성에 대한 질문에는 ‘애초에 경영권이 없었다’는 취지로 답변을 빠져나간 모습도 의아할 뿐더러, 정작 대안 제
자신에게 다가올 수 있는 질병의 효과적인 대처, 예방법은 꾸준한 ‘정기 건강검진’이다. 건강검진은중증질환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는 효율적인 대안으로 정부가 추진하는 국가건강검진과 함께 개인맞춤형 건강검진 콘텐츠가 병원 별로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다. 현재 의료계가 전공의 파업과 필수의료 공백 등 각종 이슈로 혼란스러운 상황인데 이럴 때 일수록 국민들은 자신의 건강을 지키기 위해 질병 유무를 점검하고 예방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에이치플러스 양지병원 건강증진센터는 국민 필수검진항목을 중심으로 개인 맞춤형 건강검진 이벤트 “통큰검진’ 을 4월30일까지 펼친다. 최근 국제학술지 BMC 메디신(Medicine) 의 발표 자료에 따르면 영국 옥스퍼드대 연구팀에서 14개 질환 대상으로 국민보건서비스(NHS) 건강검진 프로그램 참여자와 비 참여자 등 9만7000여명을 9년간 추적 관찰한 결과 검진 받은 사람이 받지 않은 사람보다 질환 사망률이 23%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 별 분석을 보면 검진 수검자는 비 수검자보다 간경변 진단율이 44% 낮게 나왔다. 이 밖에도 급성 신장 손상 23%, 치매 18% , 지방간 17%, 심근경색 15%, 심방세동 9%로 발병률이 낮게
분당서울대병원 호흡기내과 임성윤·가정의학과 정세영 교수 연구팀(제1저자 디지털헬스케어연구사업부 이하은 연구원)은 중증 급성 호흡부전 환자에서 에크모(ECMO,체외막산소공급장치)를 적용함에 있어 인공지능(AI) 기술인 기계 학습(머신러닝)으로 사망률을 예측하는 모델을 개발하고 유용성을 확인했다. 에크모는 심장과 폐의 기능을 대신해서 혈액을 환자 몸에서 빼내어 체외 산화장치에서 산소를 혈액에 주입하는 동시에 혈액에 있는 이산화탄소를 제거하고 다시 환자의 몸 속으로 돌려보내는 생명유지 장치이다. 허벅지, 사타구니 등 큰 혈관에 삽관하며 정맥에서 혈액을 빼내 정맥으로 다시 넣는 VV-ECMO, 정맥에서 혈액을 빼내어 동맥으로 넣는 VA-ECMO가 있다. 에크모는 환자의 생명을 유지하는 최후의 보루로 여겨지지만 치료를 받는 동안 전신의 염증반응, 감염, 응고 질환, 대사 문제 등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는 만큼 신중한 접근이 요구된다. 특히 에크모는 중증 급성 호흡부전 환자에게 중요한 치료방법으로 여겨지지만 에크모 치료에도 불구하고 사망률은 60% 이상으로 높은 편이다. 에크모 치료 진행 시 사망률을 보다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다면 의료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24년 2월 29일부터 김해공항(B입국장)에서 자동검역심사대 시범사업을 시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 자동검역심사대 시범사업은 디지털 플랫폼 정부 구현에 맞춰 ‘제1차 검역관리기본계획’의 일환으로 추진되며, 효과성을 평가한 후 ’24년 이후부터 단계적으로 확대 예정이다. 지금까지는 검역관리지역을 방문한 후 국내 입국 시 검역관에게 Q-CODE(또는 건강상태질문서)를 제출하고 발열확인 및 증상 여부를 심사받는 등의 번거로움이 있었으나, 이번 시범사업에서는 무인심사대를 통과하며 입국자 스스로 여권 또는 Q-CODE 스캔을 통해 비대면으로 간편하게 검역조사를 마칠 수 있게 된다. 시범사업 첫 시행일인 2월 29일에는 대만발 CI188편 승객 179명 중 109명인 60.9%가 자동검역심사대를 이용하였고, 입국자 평균 검역완료 시간은 약 14분이 소요되었다. 이는 기존 검역심사대에서 검역에 소요되었던 시간(약 20분)보다 1.4배 빠른 것으로 자동검역심사대가 확대되면 많은 수의 여행객이 일시에 입국할 때 더욱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아울러 자동검역심사대를 이용한 입국자의 전산화된 검역정보를 통해 신속한 역학조사 등이 가능해 국내 감염병
한국문학세상(회장 김영일)은, 지난 1월 1달간 ‘종이 없는 작가등용문’으로 「제23회 한국문학세상 신춘문예」를 '공모전 투명심사 시스템'으로 공모해, 신인 7명을 당선자로 선정했다. 당선자로는 ▲시부문에 정아름(26세, 인천), 정윤선(38세, 성남), 권유정(33세, 수원), 김혜령(57세, 서울) ▲소설부문에 유효준(26세, 용산구청), 김미화(62세, 서울), ▲수필부문에 고영희(54세, 제주) 등이다. 당선작으로는 ▲정아름의 시 ‘마침표 닮은 악보’ 외 2편, 정윤선의 시 ‘밤놀이’ 외 2편, 권유정의 시 ‘사랑 고백’ 외 2편, 김혜령의 시 ‘사랑이 오면’ 외 2편, ▲ 유효준의 소설 ‘심야타작’, 김미화의 소설 ‘불 꺼진 객석’, ▲고영희의 수필 ‘익숙함에 대하여’가 각각 높은 평가를 받아 당선됐다.
동성제약(대표이사 이양구)의 피부 각질 케어 제품 ‘유그린에프 크림’이 중국 위생 허가(NMPA)를 취득했다. 동성제약 유그린에프는 진행성 지장 각피증(주부 습진의 건조형), 손발바닥 각피증 등의 완화에 도움을 주는 피부 각질 특화 일반의약품이다. 건조하고 각질이 일어난 신체 부위에 간편하게 바를 수 있어 소비자들의 많은 사랑을 받아온 유그린에프는 유커(중국인 관광객) 사이에서 자연스럽게 입소문이 나, 인기 관광 제품으로 자리 잡았고 따이궁(보따리상)의 사재기로 이어져 중국 현지 오픈마켓에서 제품이 판매되고 있다. 동성제약은 이러한 수요에 발맞춰 정식 수출입 절차를 밝게 되었고 제품의 원활한 판매를 비롯, 중국 현지 소비자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일반의약품에서 ‘유그린에프 크림’으로 중국 시장에 진출할 예정이다.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이사장 황태연, 이하 재단)과 중앙사회서비스원(원장 조상미, 이하 중서원)은 3월 6일(수), 중서원 교육장에서 사회서비스 분야 생명존중문화 조성 및 종사자 처우개선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였다. 양 기관은 이번 협약을 통해서 △사회서비스 분야 자살고위험군 발굴 및 연계 네트워크 구축 △자살예방사업 종사자 심리상담 지원 프로그램 협력 △사회서비스 분야 자살예방을 위한 협력 등을 진행하기로 했다.
눈은 우리 몸에서 가장 중요한 감각 기관 중 하나로 시각 정보를 뇌에 전달하는 중요한 정보원 역할을 한다. 외부의 물체 크기와 형태, 밝기 등을 감지하고 공간의 위치 등을 인지하게 한다. 다른 신체가 건강하더라도 눈 건강에 문제가 생기면 거동에 문제가 생겨 일상생활에 큰 지장을 끼치게 된다. 예로부터 오복 중의 하나로 시력을 일컬을 만큼 눈 건강의 중요성은 이루 말할 수 없다. 매년 3월 둘째 주는 녹내장 조기발견을 위한 정기검진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세계녹내장협회(WGA)와 세계녹내장환자협회(WGPA)에서 지정한 ‘세계 녹내장 주간’이다. 녹내장은 시신경이 눌리거나 혈액 공급 장애가 생겨 시신경 기능에 이상이 생기는 병으로 당뇨병성망막증, 황반변성과 함께 3대 실명 질환으로 꼽힌다. 시신경은 망막에서 감지된 시각 정보를 눈 뒤편의 작은 통로를 통해 뇌로 전달하는 신경이다. 녹내장은 초기에 뚜렷한 증상이 없어 알아차리기 어렵고 실명에 이를 무렵에서야 시야가 흐릿해지는 증상이 나타나는 특징이 있다. 국내 녹내장 환자 수는 2021년 100만여 명을 넘어섰다. 노년 인구의 비중이 높지만, 스마트폰 이용 증가와 고도 근시, 당뇨 등의 영향으로 젊은 환자도 증가하
핑거(대표 안인주, 163730)는 휴니버스글로벌과 의료 및 금융이 결합된 웰리스 플랫폼 구축을 위한 전략적 업무 협약(MOU)을 체결했다고 7일 밝혔다. 이번 협력을 통해 핑거는 자사의 금융 IT 솔루션 경험과 금융데이터 기술력과 휴니버스글로벌의 의료 데이터 분석 및 처리 능력이 결합된 차세대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양사는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해 의료 데이터의 효율적인 관리 및 분석, 맞춤형 서비스 제공에 중점을 둘 예정이다. 양사는 기술력과 노하우를 결합해 국내 헬스핀(Health+Fintech) 시장에 새로운 변화를 일으킬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휴니버스글로벌의 의료IT 전문성과 핑거의 금융IT 기술의 융합으로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인 헬스핀 서비스가 탄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개인 맞춤형 의료 정보는 물론 금융 서비스까지 종합적인 정보가 제공된다. 향후 지속적인 기술 개발과 협력을 통해 국내외 헬스핀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것은 물론 사용자의 건강과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계획이다.
오는 14일 잠실학생체육관에서 ‘제2회 국제스타영화제’ 가 열린다. 국제스타영화제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에도 어려운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성대하게 개최하게 됐다. 현재 공개 된 올해에 수상작품들은 독립영화 ‘신의선택’ 에 신성훈 감독이 독립영화 감독상을 수상하게 됐다. 이어 TV드라마로 방영 예정이였던 ‘미성년자들’이 방송불가 판정을 받으며 영화 개봉되면서 OTT영화 부문 여우주연상에 김이정이 수상자로 확정됐다. 이어 ‘미성년자들’에서 문선희 역을 맡은 영화배우 이진이 여우조연상 수상자로 이름을 올렸다. 독립영화 ‘신의선택’ 으로 여우주연상에는 배우 김해인 영광의 트로피를 거머쥔다. 이어 남우주연상에는 서주형이 트로피를 거머쥐게 됐다. 이어 여우조연상에는 배우 김혜선이 수상하는 영광을 안게 됐다. 또한 다큐멘터리 작품상에는 무속신앙을 다룬 리얼리티 다큐멘터리 ‘신이 선택한 사람들’(김성완,김종숙)이 올해에 다큐멘터리 작품상으로 선정됐다. 영화 공로상에는 배우 이동진과 허진이 공로상을 받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