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코사무역 주식회사(인천 중구 소재)’가 수입∙판매한 ‘염장굴’과 이를 원료로 ‘토담식품(인천 중구 소재)’이 제조∙판매한 ‘어리굴젓(식품유형: 양념젓갈)’에서 A형간염 바이러스* 유전자가 검출되어 해당 제품을 판매 중단하고 회수 조치했다. - 회수 대상 제품 정보 회수 대상은 포장일자가 ‘2020.10.20.’로 표시된 염장굴과 제조일자가 ‘2023.04.17.’로 표시된 어리굴젓 제품입니다.
대한의사협회, 대한치과의사협회, 대한약사회 등 3개 단체는 건강에 밀접한 비대면 진료 시범사업은 의료계와 충분한 논의와 협의를 거쳐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19일 국민이 안전하고 효과적인 진료를 받을 수 있는 권리를 보장하는 것을 최우선 가치로 두고 비대면 진료 제도화와 관련한 사회적 논의에 적극적으로 의견을 개진해 왔다고 지적하고 공동 입장문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지난 5월 17일 오후 당정협의회를 거쳐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비대면 진료 시범사업 추진 방안’의 주요 내용으로 소아청소년과 야간(휴일) 및 감염병 확진자 비대면 진료 초진 허용, 병원급 비대면 진료 재진 허용 등이 담겨있다. 하지만 이들은 "비대면 진료는 지금까지 국민의 건강을 증진하고 수호해 온 검증된 방식인 대면 진료와 비교하여 동등한 수준의 효과와 안전성을 담보할 수 없다."는 입장을 견지해 오고 있다. 특히, 소아청소년은 표현이 서투르고 그 증상이 비전형적인 환자군의 특성상 반드시 환자안전을 최우선 가치로 한 대면진료가 이뤄져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이들은 "소아청소년과 야간(휴일) 비대면 진료 초진이 허용되어서는 안 된다.비대면 진료 초진 허용 대상자(섬, 도서벽지, 거동불편자
보훈복지의료공단 이사장과 중앙보훈병원장이 지난 17일 서울에서 부산-대구-대전-광주-인천의 지방보훈병원장과 만나 보훈의료의 현안과 미래전략을 심도있게 논의했다. 보훈부 승격에 따른 보훈의료체계의 혁신에 대해서도 깊이 공감했고, 두달후 대구에서 2차 병원장 회의를 갖기로 했다. 사진 유근영원장 페이스북 갈무리.
30대에 성인 당뇨병이 발병한 사람은 유전적 영향에 의한 심혈관질환 발생위험이 크지만, 건강한 생활습관을 지키면 그 위험을 줄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젊은 나이에 진단된 성인 당뇨병 환자는 합병증 예방을 위해 생활습관에 각별히 주의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서울대병원 내분비대사내과 곽수헌·박경수 교수와 이현석 전문의 연구팀이 30대~60대 성인 당뇨병 환자 1만3486명을 대상으로 당뇨병 진단 연령에 따른 심혈관질환의 유전적 위험을 비교하고, 생활습관에 따른 유전적 위험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가 19일 발표됐다. 성인 당뇨병(제2형 당뇨병)은 혈당을 조절하는 인슐린 기능이 떨어져 혈당이 비정상적으로 높아지는 질환이다. 국내 30대 이상 인구 6명 중 1명이 당뇨병 환자로, 최근에는 비만인구의 증가로 40대 미만에 조기 진단받는 환자가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조기 진단된 당뇨병은 늦은 나이에 발병했을 때보다 진행 속도가 빠르고 심혈관질환 합병증 위험이 높아지지만, 그 원인에 대해서는 명확히 알려진 바 없었다. 연구팀은 당뇨병 조기 발병에 유전적 요인이 강하게 작용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유전적 요인이 조기 발병 당뇨병 환자의 심혈관질환 위험을 높일 것이
한국화이자제약(대표이사 사장 오동욱) 염증 및 면역질환 사업부는 ‘세계 염증성 장질환의 날(World IBD Day)’을 맞아 궤양성대장염(Ulcerative Colitis, UC) 환자들을 위해 최신 질환 정보를 제공하는 통합 디지털 플랫폼 ‘유캔두잇(UCan do it)’을 19일 런칭한다고 밝혔다. 유캔두잇(UCan do it)이라는 웹사이트 명은 궤양성대장염의 영문 약자인 ‘UC’를 활용해 ‘함께 노력하면 궤양성대장염을 극복할 수 있다’는 응원의 의미를 담고 있으며, ‘세계 염증성 장질환의 날’인 오늘부터 접속이 가능하다. 유캔두잇은 △‘궤양성대장염이란?’(질환 및 치료, 증상과 진단, 발병 추이 등 질환 소개) △‘궤양성대장염과 함께 살아가기’(국내외 환자 대상 설문조사 인포그래픽 및 환자 스토리 영상) △‘생활의 팁’(일상에서 실천할 수 있는 질환 관리 방법) △‘강의 및 영상’(소화기내과 전문의들의 질환 관련 궁금증 해소 영상) 등 4가지 탭으로 구성되어 있다. 런칭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콘텐츠가 업데이트될 예정이며, 카카오톡 채널(@유캔두잇_UCanDoit) 친구 추가를 통해 푸시 알림으로 손쉽게 신규 콘텐츠를 확인할 수 있다.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손태혜 교수가 최근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우수포스터상을 수상했다. 손태혜 교수는 지난달 20일에 개최된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23년도 춘계학술대회’에서 디지털 표현형을 활용한 공황증상예측에 관한 연구‘Machine learning prediction of impending panic symptoms using digital phenotypes: From prospective longitudinal data of patients with mood and anxiety problems’를 통해 우수포스터의 주인공이 됐다. 특히 이번 연구에서는 기분 및 불안 문제를 가진 환자들로부터 스마트워치와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디지털 표현형을 측정하고, 그 데이터를 머신러닝을 통해 분석하여 공황 증상을 예측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개발한 결과를 담아 큰 주목을 받았다.
REM 수면은 건강한 성인의 총 수면 시간의 약 1/2을 차지한다. REM 수면 동안 몇 가지 요인이 합쳐져 수면무호흡증 및 저호흡증이 심해져 산소포화도가 더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위스콘신 수면센터 연구에 따르면 수면무호흡증 환자의 경우 고혈압의 위험성이 높고, 이로 인해 심근 경색, 심부전 및 뇌졸중 등의 위험이 높은데, 특히 호흡기능이 떨어지는 렘수면 기간 동안 호흡장애가 심해지면서 위험도가 크게 오르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고 발표했다. 한진규 전문의는 "렘수면 호흡 장애인 경우 2~3시간 간격으로 렘수면 발생 때에만 호흡이 엉켜 각성하게 되고, 특히 마지막 꿈인 새벽 4시경 잠꼬대나 행동장애가 발생된다면 렘수면행동장애를 의심해봐야 한다. 나이가 들면 신경성이나 심리적인 원인만 생각하는데 반복적인 수면 중 각성이 반복된다면 꼭 수면다원검사를 통해 원인을 찾아 치료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렘수면호흡장애의 또 다른 특징은 야뇨증상이다. 미국수면무호흡협회 메리 움라우프 박사에 따르면 수면무호흡증 환자의 84%가 야간 배뇨증상이 자주 발생한다고 한다. 수면무호흡증은 잠을 자다 순간 순간 숨이 멎는 병이다. 호흡이 멈춰 산소
대한골대사학회(회장 이수영∙이사장 하용찬)가 정책토론회를 열고 ‘국가건강검진 골밀도검사 실효성 제고를 위한 사후관리 강화 방안’을 제언했다. 현재 국민건강보험공단이 국가건강검진을 통해 54세, 66세 여성에게 제공하고 있는 골밀도검사로 골다공증을 발견한 국민들이 적극 치료에 나서게 하여 골절 예방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서다. 대한골대사학회는 지난 18일 오후 3시, 제11차 Seoul Symposium on Bone Health(SSBH 2023)제34차 춘계학술대회에서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백종헌 국회의원과 공동으로 주최한 <’노인 골절 예방’ 선순환을 위한 골다공증 정책 개선 토론회>의 두번째 세션 ‘국가건강검진 골밀도검사 실효성 제고를 위한 사후관리 강화 방안’ 토론회를 진행했다. 이 자리에서 학회는 ‘2023 골다공증 대국민 인식조사 결과’를 발표하며 골밀도검사 활성화의 중요성을 환기하고, 국가건강검진 골밀도검사의 골다공증 사후관리 방안을 제언했다. -골다공증 고위험군 5070 여성 “골다공증 위험하지만 내 뼈 수치는 몰라” 정책토론회 세션2의 첫번째 연자로 나선 대한골대사학회 총무이사 이유미 교수(연세의대 세브란스병원 내분비내과)는 ‘
동국제약의 더마코스메틱 브랜드 센텔리안24가 오는 22일 롯데홈쇼핑에서 탄력 저하의 시그널, 처진 모공을 집중 케어해 풀페이스 탄력타이트닝 효과를 선사하는 신개념 탄력 관리 신제품 ‘마데카 더블 타이트닝 앰플 패드’를 선보인다고 19일 밝혔다. ‘마데카 더블 타이트닝 앰플 패드’는 스킨케어 첫 단계에서 사용하는 패드로 2만 개가 넘는 얼굴 모공의 탄력과 모공 주변의 탄력, 나아가 얼굴 전체의 탄력에 도움을 주는 프리미엄 탄력 관리 제품이다. 동국제약 핵심성분인 TECA(센텔라아시아티카 정량추출물), 특허받은 크라이오(Cryo) 기술로 추출한 얼음병풀, 청량감을 선사하는 쿨링에이전트가 배합된 동국제약의 새로운 독자성분 ‘TECA-TIGHT(테카-타이트)™’를 함유해 피부를 건강하게 가꿔준다. 제품은 찬물로 마무리 세안한 듯 피부를 시원하게 해 주는 효과도 있어 여름철 더위로 인해 열 오른 피부에 사용하기도 제격이다. 제품 사용 단 7초 만에 더위로 열 오른 피부의 온도를 7.4℃ 낮추고 열로 인해 넓어진 모공을 급속 수축시키는 것이 인체적용시험을 통해 확인됐다. 모공 둘레, 깊이, 넓이 등 25가지 항목의 모공 부위 개선 효과와 피부 탄력, 피부 리프팅, 피부
㈜휴온스(대표 송수영, 윤상배)가 진행 중인 셀러리 씨 추출물을 활용한 건강기능식품 소재 개발 연구가 정부 과제에 선정됐다. 휴온스는 최근 중앙연구센터 천연물연구실에서 진행 중인 '체지방 감소 근력 개선, 셀러리 씨 과제(HUN2-506)'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담당 전문기관: 과학기술사업화진흥원, 한국연구재단)에서 진행하는 ‘차세대 유망 Seed 기술실용화 패스트트랙사업’ 신규과제에 선정됐다고 19일 밝혔다.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이 주관(연구책임자 권은영 교수)하고 휴온스가 공동연구하는 이번 선정 과제는 셀러리 씨 추출물의 연구 가치와 상업화 필요성 및 가능성에 대해 인정받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과제는 최대 4년간(1단계 2년+2단계 2년) 연구비 총 18.4억원을 지원받을 예정이다. 휴온스는 이번 과제를 통해 오는 2027년 3월까지(최대 2단계 포함)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과 셀러리 씨 추출물의 체지방 감소와 근력 개선에 대한 인체적용 시험을 거쳐 효과를 검증하겠다는 목표다. 또한 표준화 및 안전성 평가를 통해 이중기능성 건강기능식품 개별인정원료 소재로 개발해 △체지방 감소 △근력 개선에 도움을 주는 차세대 건강기능식품을 선보일 계획이다.
분당서울대병원 산부인과 김슬기 교수는 지난 5월 14일 개최된 ‘제 84차 대한생식의학회 춘계학술대회에’서 ‘대한생식의학회-머크 학술상’ 및 ‘대한생식의학회-머프 피인용상’을 수상했다. 학술상은 분당서울대병원 산부인과 김슬기 교수와 지병철 교수가 공동 교신저자로 등재된 난임 분야 연구 논문 ‘Correlation of oocyte number and serum anti-Müllerian hormone level measured either by Access or Elecsys in fresh IVF cycles(체외수정시술에서 향뮬러관 호르몬과 난자 수와의 관계)’의 우수성을 인정받았다.
고려대 구로병원 개방형실험실 구축사업단(단장 조금준)은 지난18일 본원 개방형실험실 스마트워크센터에서 대한응급의학회(이사장 최성혁)와 응급의료기기개발 및 응급의료서비스구축개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날 협약식에는 고려대 구로병원 개방형실험실 구축사업단 조금준 단장, 이민우 운영기획실장, 신태호 선임팀장, 대한응급의학회 최성혁 이사장, 박성준 총무이사, 이순홍 사무총장 등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양 기관은 이번 협약을 통해 ▲응급의료기기개발 ▲응급의료서비스 플랫폼 연구 ▲응급의료규제자문 등 응급의료와 관련된 기기 및 시스템 개발을 위해 협력하기로 했다. 조금준 단장은 “응급의료의 중요성이 화두가 되고 있는 요즘 대한응급의학회와 협약을 맺게 되어 기쁘게 생각한다”며 “개방형실험실 구축사업단은 응급의료서비스 및 응급의료기기 관련 참여 기업들이 단순히 제품개발만이 아닌 실제로 활용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돕겠다”고 말했다. 최성혁 대한응급의학회 이사장은 “대한응급의학회는 국민의 건강과 안전을 지키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 왔다”며 “고려대 구로병원 개방형실험실과의 협약을 통해 응급의료가 발전하는 데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다림 바이오텍(대표 정종섭, 김상기)은 지난 15일 독일 하노버의 디자인 기관, iF 인터내셔널 포럼 디자인(iF International Forum Design GmbH)이 주관하는 세계 3대 디자인 어워드 ‘iF 디자인 어워드’에서 ‘커뮤니케이션 부문 본상’을 수상했다고 18일 밝혔다. 다림 바이오텍은 ‘커뮤니케이션 부문’에 출품해 본상을 수상했다. 출품작 ‘그래픽 셀즈(GRAPHIC CELLS)’는 시각적 혼동에 따른 의약품 조제 오류를 방지하는 아이콘 디자인 시스템으로 세계 각국 전문가들로 구성된 133명의 심사위원단으로부터 우수한 평가를 받으며 수상작으로 선정됐다. 이번 어워드에서는 56개국, 1만1000여개의 출품작과 경쟁해 얻은 성과로 디자인 경쟁력을 인정받았다.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산·학·관이 함께 처 승격·출범 10주년을 맞아 규제과학 혁신 전략을 모색하기 위해 ‘규제과학 혁신, 지금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를 주제로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제6회 규제과학 혁신포럼’을 지난 18일 개최했다. 이번 포럼에서는 ❶FDA의 규제과학 혁신 전략으로 바라본 우리의 나아갈 길, ❷규제과학 혁신과 디지털헬스케어 산업 전망, ❸규제과학 전문인력 양성의 현재와 미래에 대한 전문가 발표와 ‘미래 10년 규제과학혁신을 이끌어갈 식약처의 역할과 과제’에 대한 토의가 진행됐다.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건강사회개발원(원장 조비룡)은 ‘코로나19 교훈과 미래 대비’를 주제로 5월 22일(월) 오후 2시에 제3회 SNU Medicine Forum을 개최한다. 포럼은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행정관 3층 대강당에서 진행되며, 오프라인 참석이 어려운 대상을 위해 사전등록 신청자에 한해 포럼라이브 시청이 가능하다. 포럼 주제 발제는 2명의 발제자가 나눠서 발표한다. 첫 번째 발제는 ‘감염병 관리 측면에서의 성찰과 미래 대비’라는 주제로 정은경 연구위원((전)질병관리청장, 분당서울대학교병원 공공부문 연구위원)이 발표한다.두 번째 발제는 홍석철 교수(서울대 경제학부)가 ‘사회경제적 측면에서의 성찰과 미래 대비’를 주제로 발표한다. 패널토론은 오명돈 교수(서울대 의과대학 내과학교실)를 좌장으로 김남중 대한감염학회 이사장, 조성일 보건대학원 교수, 홍정익 질병관리청 단장, 이진한 동아일보 기자, 정지연 소비자연맹 사무총장 등이 참석해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