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한약재·한약(생약)제제 제조·수입업체를 대상으로 ‘한약 등 제조·수입업체 대상 정책설명회’를 오는 22일 서울 LW컨벤션에서 개최한다. 설명회에서는 한약재·한약(생약)제제 관련 ▲2023년 주요 정책 방향·업무 계획 ▲제조·유통관리 및 갱신 등 관리방안 ▲GMP 적합판정 및 운영방안 ▲동시정량분석법 개발 계획 등을 안내한다. 3월 13일부터 3월 17일까지 사전등록을 직접 신청해야 참석할 수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와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원장 오정완)은 마약류 취급보고 관련 세부적인 업무절차와 보고 시 주의사항 등을 담은 ‘의료용 마약류 취급보고 안내서’의 2023년 개정판을 3월 13일 발간·배포했다. 안내서는 마약류취급자별로 각 업무 수행에 필요한 행정절차와 매뉴얼을 맞춤형으로 제공하고자 ① 제약회사용, ② 도매업체용, ③ 의료기관용, ④ 약국용, ⑤ 동물병원용, ⑥ 학술연구자 및 취급승인자용 등 6종으로 제작됐다. 주요 내용은 ▲마약류 취급 기본정보 ▲마약류 취급보고 업무 안내 ▲업종별 업무 흐름에 따른 취급보고 매뉴얼 ▲양도·폐기에 따른 행정 처리 절차 등을 담았다.
시지바이오(대표이사 유현승)가 인도네시아 발리(Bali)에 메디칼 에스테틱 클리닉인 ‘뉴룩(NULOOK)’을 설립하고, 동남아시아 의료 관광 거점으로 조성하겠다고 13일 밝혔다. 뉴룩은 바이오 의료 기술을 기반으로 종합적인 미용성형 시술을 제공하는 메디칼 에스테틱 클리닉으로 크게 두 가지의 목적을 가지고 운영된다. 먼저 뉴룩은 한국의 우수한 미용성형 시술을 인도네시아에서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여, 더 이상 한국을 방문하지 않고도 현지에서 ‘고품질의 K-뷰티’를 경험할 수 있는 곳으로 포지셔닝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시지바이오의 미용성형 제품들과 함께 한국의 최신 장비 및 기구들을 도입했으며, 특히 복합시술 및 SVF(Stromal Vascular Fraction) 활용 시술에 특화된 클리닉으로 거듭날 예정이다.
대한결핵협회(회장 신민석, 이하 협회)는 지난 10일, 성애병원(의료원장 장석일)과 함께 적극적인 의료봉사와 사회공헌으로 건강과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는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양 기관은 국내외 보건의료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의료봉사, 사회공헌 등 결핵에 국한하지 않고 건강 전반에서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며 각자의 특장점을 발휘할 것을 약속했다. 특히 몽골 현지 혹은 초청을 통한 검진, 연수, 봉사 등 다양한 보건의료 사업을 전개한다는 공통점을 지닌 양 기관은 이번 업무협약을 계기로 보다 적극적인 사업 확대에 협력할 예정이다.
'관절질환' 하면, 보통 노화로 인한 퇴행성 질환인 경우가 많다. 특히 임신, 출산으로 뼈가 약해지고 오랜 시간 가사활동을 해 온 중년 여성에게서 빈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대퇴 골두 무혈성 괴사는 20~40대 젊은 층, 특히 남성에게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은 질환이다. 어느 날 아침 일어나려고 하는데 갑자기 허리 밑 부분과 엉덩이가 아파 일어 날 수가 없었다. 억지로 일어나 출근을 하기는 했지만 통증은 계속되었다. 할 수 없이 휴가를 내고 병원에 방문해 검사를 받은 결과 대퇴 골두 무혈성 괴사라는 진단을 받았다. 허벅지 뼈를 대퇴골이라고 한다. 이 뼈의 가장 윗부분은 둥그런 머리처럼 되어 있어, 대퇴골 두(頭)라고 한다. 골반뼈의 아래쪽 부분과 맞물려 엉덩이 관절인 고관절을 이루고 있다. 대퇴 골두 무혈성 괴사는 대퇴 골두로 가는 혈액 공급이 차단되어 뼈조직이 괴사하는 질환이다. 괴사된 뼈에 지속적으로 압력이 가해지면, 괴사 부위가 붕괴되면서 통증이 시작된다. 발생 원인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진 바 없지만, 지나친 음주와 흡연 그리고 스테로이드 제제 오•남용이 위험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20~40대 남성에서도 빈발하는 것이다. 강남베
코카-콜라사의 저칼로리 스포츠음료 브랜드 ‘파워에이드’가 한층 더 칼로리를 낮춘 ‘파워에이드 제로’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새롭게 선보이는 ‘파워에이드 제로’는 운동 중 손실되기 쉬운 수분을 칼로리 부담 없이 보충할 수 있는 음료다. 또한 ‘파워에이드 제로’는 자사의 인기 제품인 저칼로리 파워에이드 ‘마운틴 블라스트’의 깔끔한 맛은 유지하고 칼로리는 더 줄였다. 파워에이드 제로는 기존 파워에이드의 블랙 라벨과 달리 가볍고 시원한 이미지를 주는 화이트 라벨로 적용됐다.
종근당바이오는 에브리바이옴 릴렉스가 출시 6개월 만에 2만 5000여개가 판매됐다고 13일 밝혔다. 에브리바이옴 릴렉스는 지난 9월 출시된 MZ세대를 위한 유산균 제품이다. 수험생부터 직장인까지 20·30 MZ 세대를 타깃으로 하는 에브리바이옴 릴렉스는 종근당바이오 장내미생물은행(IMB, Intestinal Microbiome Bank)만의 밸런스포뮬라™로 완성된 100억 유산균이다. 스트레스로 인한 긴장 완화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능성 원료 L-테아닌이 함유되어 릴렉스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출시 3개월 만에 전체 매출의 50%가 MZ 세대에서 발생한 에브리바이옴 릴렉스는 6개월만에 2만 5000여개 이상 판매되는 쾌거를 이뤘다. 업계에서는 경쟁이 치열한 유산균 시장에서 MZ 세대의 라이프스타일을 분석, 듀얼케어 제품으로 차별화한 것이 주요했다는 평이다.
대상웰라이프㈜의 건강기능식품 브랜드 ‘웰라이프’가 성장기 아이들의 필수 영양소 섭취를 돕는 ‘마이키즈’ 3종을 출시하며 키즈 건강기능식품 시장 공략에 나선다. 이번에 출시된 신제품은 ▲마이키즈 멀티비타민미네랄 구미 ▲마이키즈 칼슘D 구미 ▲마이키즈 오메가3 츄어블 3종이다. 영양사가 직접 성분을 배합해 성장기 아이들에게 꼭 필요한 최적의 영양소를 담은 것이 특징이다. 구미∙츄어블 캡슐 형태로 재밌는 식감을 더하고, 인기 애니메이션 ‘브레드 이발소’의 베이커리 타운 캐릭터를 패키지 디자인에 적용해 즐겁게 영양을 챙길 수 있다. 이산화규소∙합성향료∙착색료를 넣지 않아 더욱 안심할 수 있다. ‘마이키즈 멀티비타민미네랄 구미’는 비타민B군∙비타민C∙셀레늄 등 편식하는 아이들에게 부족하기 쉬운 9종의 비타민과 미네랄을 엄선해 담았다. 항산화, 체내 에너지 생성에 필요한 기초 영양을 오렌지 맛으로 간편하게 섭취할 수 있다. L-아르지닌과 칼슘∙아연∙엽산 등 건강에 좋은 부원료도 첨가해 균형 잡힌 성장 발달을 돕는다.
현대인의 수면건강을 위한 글로벌 수면솔루션 브랜드 레즈메드(ResMed) 코리아는 수면의 질 중요성을 알리는 ‘최고의 순간을 경험하세요(Awaken Your Best)’ 캠페인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각종 스트레스와 만성 피로감을 호소하는 현대인들은 코골이, 수면무호흡증 등 다양한 수면장애를 겪게 된다. 하지만 수면장애가 미치는 심각한 문제에 대한 인식은 정작 저조한 편이다. 한국인의 수면 만족도는 세계에서 낮은 편에 속하며, 이로 인한 생산성 감소 등 삶의 질 하락에 막대한 영향을 미친다. 이에 레즈메드 코리아는 ‘최고의 순간을 경험하세요(Awaken Your Best)’ 캠페인을 수면 장애에 고통받는 이들에게 ‘양질의 수면을 경험(Discover the power of good sleep)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한다. 이번 캠페인은 평소 알아두면 유익한 수면 관련 지식을 널리 알리는 동시에 올바른 수면 치료로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마련됐다. 셀프케어(self-care)를 통해 건강한 삶을 주체적으로 이끌어 나갈 수 있도록 30년 이상 수면 솔루션을 연구해온 전문기업 레즈메드는 ‘세계 수면의 날(World Sleep Day)’을 기념해 오는 17일 전
㈜툴젠(대표 김영호 · 이병화, KOSDAQ 199800), Johns Hopkins 대학교, 연세대학교 연구팀은 23년 3월 10일 Nature Chemical Biology지에 “Sniper2L is a high-fidelity Cas9 variant with high activity”라는 제목의 연구성과를 게재하였다고 밝혔다. 유전자 가위 치료제는 표적 서열 (on-target) 이외에 비표적 서열 (off-target)에도 교정이 될 수 있는 부작용이 존재한다. 따라서 표적 서열은 교정하면서 비표적 서열은 교정하지 않는 높은 특이도의 유전자 가위 개발은 전 세계적으로 큰 화두였다. 대표적으로 Harvard 대학 Feng Zhang 교수의 eSpCas9, Harvard 대학 Keith Joung 교수의 Cas9-HF1, Harvard 대학 David Liu 교수의 xCas9, Berkeley 대학 Doudna 교수의 Hypa-Cas9, Max Planck 연구소 Charpentier 교수의 R63A/Q758A-Cas9, 툴젠의 Sniper-Cas9등 다수의 Cas9변이 단백질들이 높은 특이도를 가진 것으로 발표된 바 있다. 그러나 이후 진행된 연구에서
한국아스텔라스제약(대표 김준일)은 ‘파드셉®(PADCEV, 성분명: 엔포투맙 베도틴)’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이전에 백금기반 화학요법제 및 PD-1 또는 PD-L1 억제제의 치료 경험이 있는 국소진행성 또는 전이성 요로상피암 환자를 위한 단독요법으로 지난 10일 허가를 받았다고 밝혔다. 국내 최초의 전이성 요로상피암 표적 치료제인 파드셉®은 넥틴-4(Nectin-4)를 표적으로 하는 항체약물접합체(Antibody-Drug Conjugates, ADC)로, 미국종합암네트워크(NCCN) 가이드라인에서 Category 1로 우선 권고되고 있다. 면역항암제와 백금기반 화학요법제 투여 후에도 암이 진행되거나 재발한, 기존의 표준 치료법이 없었던 요로상피암 환자를 위한 새로운 치료옵션이다. 파드셉®의 이번 허가는 이전에 백금기반 화학요법제 및 PD-1/L1 억제제 치료 경험이 있는 국소진행성 또는 전이성 요로상피암 환자 608명을 대상으로 파드셉과 기존의 화학요법제를 비교 평가한 글로벌 3상 임상연구 EV-301 결과를 바탕으로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파드셉® 투여군은 기존 화학요법 대비 사망 위험을 약 30% 감소시켰으며, 파드셉 투여군의 전체생존기간(OS) 중앙
메디스태프가 강력한 보안 방식으로 리뉴얼한 채팅 서비스를 선보인다.메디스태프는 리뉴얼한 보안 채팅 서비스가 포함된 ‘메디스태프 3.1’을 지난 10일 출시했다. 메디스태프가 이번에 새롭게 선보이는 서비스는 시그널의 종단 간 암호화(End-To-End Encryption) 기술을 접목시킨 보안 채팅 서비스로, 모든 메시지를 개인의 휴대전화에서 암호화하고 복호화한다. 메시지는 메시지를 생성한 본인만 알 수 있는 방식으로 저장되기 때문에 메디스태프 내부에서도 해석할 수가 없다. 현재까지 알려진 가장 강력한 보안 기술이 적용돼 있어 어떤 메신저 플랫폼보다 안전하다. 암호화 메신저 앱인 텔레그램보다 우수한 메시지 보안 방식이라는 평가다. 메디스태프가 이렇게 강력한 보안 방식의 채팅 서비스를 출시한 가장 큰 목적은 의료 정보 보안에 대한 규제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다. 의료 분야에서도 정보 보안에 대한 규제 또한 빠른 속도로 바뀌고 있다. 미국의 경우 HIPAA(Health Insurance Portability and Accountability Act, 건강 보험 양도 및 책임에 관한 법)에 따라 의료인은 비의료인도 모두 사용할 수 있는 보편적인 채널이 아닌 H
현대바이오는 범용 항바이러스제 CP-COV03의 코로나19 임상2상에서 채혈 참여자의 최고혈중약물농도(Cmax)가 모두 코로나19 바이러스를 억제하는 항바이러스 효능농도(IC50, 100ng/ml)를 상회했다고 13일 발표했다. 현대바이오는 CP-COV03의 이번 임상에서 나온 탑라인 핵심 내용과 약동학(PK) 데이터를 공개했다. CP-COV03의 PK 데이터를 보면 투약후 3시간 뒤 채혈 대상자 중 CP-COV03의 혈중약물농도가 가장 낮았던 사람도 129.39ng/ml로 IC50을 상회했다. 평균 혈중약물노출도(AUC)는 고용량(450mg)군이 저용량(300mg)군보다 높았다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심폐소생술 교육 영상 12종을 제작하여 누구나 쉽게 배우고, 활용할 수 있도록 질병관리청 누리집 등에 배포했다. 심폐소생술이란 심장 기능이 급격히 저하되거나 멈췄을 때, 정지된 심장을 대신하여 뇌에 산소가 포함된 혈액을 직접 공급해주는 응급처치로, 급성심장정지 환자의 생존 여부를 결정하는 첫 단계이기 때문에 국민들이 심폐소생술을 배울 수 있도록 교육 기회를 확대하는 것이 중요하다. 2021 급성심장정지조사 결과, 병원 밖에서 발생한 급성심장정지 환자 33,235명 중, 구조대원 및 의료인이 아닌 일반인이 목격한 경우는 29,076건으로, 이 중 심폐소생술이 시행된 경우는 8,381건(28.8%)이었다(그림 1 참고). 일반인 심폐소생술이 시행된 경우에는 11.6%가 생존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5.3%만 생존하여, 심폐소생술 시행 시 생존율이 2배 이상 높았다. 이번 영상자료는 「생명을 살리는 심폐소생술」이라는 주제로 「일반인 심폐소생술 표준 교육 프로그램 2022년 개정판」을 기반으로 제작되었고,일반인, 어린이, 영아 등 시행 대상을 세분화하여, 12개 영상으로 구성하였다 .제작된 영상은 질병관리청 누리집 및 유튜브 채널,국
커피 프랜차이즈인 ‘커피볶는 집’ 이정민 대표가 전남대학교병원에 발전후원금 1500만원을 기탁했다. 이로써 이정민 대표는 전남대병원에 총 누적액 1억원을 기부하게 됐다. 전남대병원은 지난 8일 오전 11시 행정동 2층 접견실에서 안영근 병원장과 박창환 진료부원장, 김영민 사무국장 등 병원 관계자와 커피볶는 집 이정민 대표, 의진 천송이 대표, 광주사회복지공동모금회 김진곤 사무처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발전후원금 전달식을 가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