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8 (월)

  • 맑음동두천 21.6℃
  • 구름많음강릉 20.1℃
  • 맑음서울 19.7℃
  • 구름조금대전 22.3℃
  • 맑음대구 23.9℃
  • 맑음울산 21.0℃
  • 맑음광주 20.8℃
  • 맑음부산 19.9℃
  • 맑음고창 17.7℃
  • 구름많음제주 18.4℃
  • 맑음강화 17.6℃
  • 구름조금보은 21.0℃
  • 구름조금금산 20.8℃
  • 맑음강진군 22.0℃
  • 구름조금경주시 23.7℃
  • 맑음거제 20.0℃
기상청 제공

의료ㆍ병원

베스티안재단, 바이오 소재부품장비기업과 바이오혁신세미나 개최

(재)베스티안재단(이사장 김경식)은 교육부 RIS사업을 수행중인 한국교통대학교 정밀의료/의료기기사업단(단장 박성준)와 충북창조경제혁신센터 주최로 ‘바이오 소부장’을 주제로하는 제23회 바이오 혁신 세미나를 오는 8월 13일(화) 오후3시부터 청주SB플라자 3층 회의실에서 온, 오프라인 동시 진행한다.


이번 세미나는 바이오산업분야에서 생태계를 이루는 소재, 부품, 장비 기업인 ㈜움틀, 비욘드셀, ㈜이셀 등 3개 기업 연사를 중심으로 기획 되었다. 이번 행사에 참가하는 기업은 지난 7월 개최된 바이오플러스-인터펙스코리아에서 바이오소재부품장비협의회로 함께 부스에 참가한 기업이기도 하다.  

 

첫 번째 발표로는 ㈜움틀 박성률 대표가 “바이오 소부장 분야 중 멤브레인 필터의 개발과정과 글로벌 진출을 위한 제품 개발 전략”이라는 주제로 발표에 나선다. 박 대표는 바이오 의약품 분야의 실험실용부터 생산용까지 멤브레인 필터의 국산화와 글로벌 진출을 위한 개발과정과 제품개발 전략에 대한 내용을 소개할 예정이다. 박성률 대표는 롯데케미칼 연구원, KEIT 선임연구원을 역임하였으며, 2019년 12월 바이오용 필터, 멤브레인 소재 전문 기업인 ㈜움틀을 설립하였다. 


두 번째 발표는 비욘드셀 김상정 사장이 Next generation 항체를 위한 비욘드셀의 솔류션’이라는 주제로 발표에 나선다.  김 대표는 이번 발표에서 배지의 국내생산이 주는 이익과, next generation 항체에서 문제되는 aggregation, 반감기, titer, 정제공정을 소개하고, 비욘드셀의 해결방법을 소개한다. 비욘드셀은 세포 배양 배지 회사로 송도에 완공한 아미코젠의 GMP grade 배지 생산공장을 이용하여, fresh한 배지를 국내 공급 중이며, CHO 배지 생산, 세포 치료제등의 배지 OEM, 맞춤형 배지 개발서비스를 진행 중이다. 김상정 대표는 노보자임스 코리아 사장, 아미코젠 효소제약 본부장을 거쳐 현재 비욘드셀 사장으로 재직하고 있다.  

배지는 세포가 먹는 음식과 같은 것으로 바이오의약품의 생산성 향상에 필수적이며, 연구단계에서부터 연구개발기업과의 협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바이오벤처기업과 연구개발 초기부터 협력이 필요하다. 


세 번째 발표는 ㈜이셀 김두현 대표가 바이오 소부장 자립화를 위한 일회용백 및 배양기의 국산화와 대기업 납품여정”이라는 주제로 발표에 나선다. 김 대표는 이번 발표에서 셀트리온과 국산 바이오 부품 장기 공급계약을 이끌어낸 이셀의 경쟁력과 전략, 향후 글로벌 진출을 위한 성장 방안을 소개한다. ㈜이셀은 국내 최초 Single Use Bioreactor를 제작한 바 있으며, cGMP Process Engineering에 강점을 가진 회사다. 싱글유즈백은 일회용 세포배양 용기로, 세포배양시 이물질이 용출되지않아야 하기 때문의 진입장벽이 높은 분야이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오해와 편견 큰 조현병, 가족력 있다면? 조현병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아직 사회에 만연하다. 하지만 조현병은 생각하고 느끼고 행동하는 방식에 영향을 주는 정신질환일 뿐, 치료를 잘 받으면서 관리하면 충분히 일상생활이 가능하다. 조현병에 대해 순천향대 부천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고유진 교수와 알아본다. 고유진 교수는 “조현병의 국내 유병률은 약 0.5~1%다. 주로 10대 후반에서 20대 초반에 시작되며, 남성 환자가 여성 환자보다 조금 더 많다. 최근에는 정신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조기에 진단되는 경우가 늘고 있다”고 말했다. 조현병은 현실과 비현실을 구분하기 어려워지는 것이 특징이다. 대표적인 증상은 환청과 망상, 혼란스러운 말과 행동이다. 감정이 무뎌지거나 사람들과 어울리기 어려워져 사회생활이 위축되고 감정 기복이 심해지는 증상도 동반될 수 있다. 조현병은 유전적인 요인과 환경적, 신경생물학적 요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한다. 부모나 형제가 조현병을 앓고 있는 경우, 태아 바이러스 감염, 출생 시 산소 부족, 극심한 스트레스, 사회적 고립, 약물 남용 등이 발병 위험을 높일 수 있다. 뇌의 신경전달물질, 특히 도파민의 불균형이 조현병 증상과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조현병의 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