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23 (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종근당,올해 3분기 국내 주요 제약사 중 온라인서 가장 높은 소비자 관심도 기록

한미약품이 3만7738건의 포스팅으로 2위 차지

종근당이 올해 3분기 국내 주요 제약사 중 온라인에서 가장 높은 소비자 관심도를 기록했다. 

한미약품과 대웅제약이 뒤를 이었다.

16일 여론조사기관인 데이터앤리서치는 뉴스·커뮤니티·블로그·카페·X(옛 트위터)·인스타그램·유튜브·페이스북·카카오스토리·지식인·기업/단체·정부/공공 등 12개 채널 23만 개 사이트를 대상으로 지난 7월부터 9월까지 국내 10개 제약사에 대해 관련 게시물 수(관심도=포스팅 수)를 빅데이터 분석했다고 밝혔다.

조사 대상은 대형 제약사 중 임의 선정했으며 △종근당(185750) △한미약품(128940) △대웅제약(069620) △일동제약(249420) △동국제약(086450) 동아제약 △휴온스(243070) △GC녹십자 △광동제약(009290) △JW중외제약(001060) 순이다.

이번 분석에서 종근당이 총 5만559건의 온라인 정보량을 기록하며 조사대상 제약사중 관심도 1위를 차지했다.

지난 7월 온라인 커뮤니티 '더쿠'의 한 작성자는 "종근당 이뮨샷 1박스 4만9900원"이라는 제목으로, "종근당 이뮨샷 진짜 좋은데 이번에 쿠폰 적용하면 30병짜리 1박스에 보조배터리까지 주는거 딜 떴다"라며 상품 정보를 공유했다. 이를 본 또다른 유저는 "오 안그래도 종근당 이뮨샷 몇개 안남았는데 잘됐다"라며 댓글을 달기도 했다.

8월 온라인 커뮤니티 '루리웹'에서는 "종근당 이거 피로회복에 도움 많이 되나"라는 제목으로, 종근당의 '이뮨 듀오 멀티비타맥스' 제품의 이미지를 공유하며 "전에 부모님 몇번 사드렸는데 이거 괜찮다면서 또 없냐고 찾으시길래 또 주문했음"이라고 말했다.

이어 9월 또다른 커뮤니티 '언니의파우치'에서는 "멀티비타민 미네랄올인원"이라는 제목과 함께 "종근당 제품으로 23종 비타민과 미네랄을 하루 한알 케어해요, 하루 권장량 충족하면서 피로회복과 면역력에 도움 받아요"라며 자신이 복용하고 있는 제품의 사진을 공유하는 모습도 포착됐다.

분석 기간 한미약품이 3만7738건의 포스팅 수로 2위를 기록했다.

지난 7월 블로그 커뮤니티 '티스토리'의 한 유저는 "우리 아이 열날 때는 덱시부프로펜 성분의 어린이 해열제 '맥시부키즈'로 빠르게 잡아요"라는 제목으로, 한미약품의 '맥시부키즈' 제품에 대해 소개하며 "덱시부프로펜 성분은 이부프로펜에서 활성 성분만을 추출한 것으로, 적은 용량으로도 빠른 효과를 볼 수 있으며 위장 장애 등의 부작용도 적습니다"라고 추천했다.

이어 9월 같은 채널에서는 "피로회복제 추천, 내가 쓰고 효과 봤어"라는 제목으로 한미약품의 '에너지 드링크'에 대해 소개하며 "이 음료는 카페인과 타우린이 포함돼 있어 피로를 빠르게 회복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대웅제약은 2만8356건의 정보량으로 3위를 차지했다.

지난 8월 온라인 커뮤니티 '38커뮤니케이션'의 한 작성자는 "대웅제약 보툴리눔 톡신, 호주 출시...5개 대륙 진출"이라는 제목의 언론 뉴스를 공유했다. 대웅제약이 글로벌 보툴리눔 톡신 파트너사 에볼루스를 통해 자사 보툴리눔 톡신 제제를 호주에 정식 출시했다는 내용이다.

이어 9월 온라인 커뮤니티 '디시인사이드'의 한 유저는 "메트포르민 대체 약"이라는 제목으로, 대웅제약의 '엔블로'라는 전문의약품 이미지를 공유하며 "대웅제약에서 만든 신약인데 메트포르민보다 더 좋은거 같아서 소개함, 안전성은 당연히 입증됐고 임상 3상까지 성공, 메트포르민과 병용 복용도 가능"이라고 말했다.

이어 일동제약이 2만1251건의 정보량으로 4위를 기록했으며 동국제약이 2만45건으로 5위를 차지했다.

동아제약이 1만5834건의 포스팅 수로 뒤를 이었다.

이외에도 △휴온스 1만5771건 △GC녹십자 1만2447건 △광동제약 1만1388건 △JW중외제약 1만328건 순으로 나타났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식약처 의료기기 제조‧품질관리 특별심사 대상 20군데 업체는 어디?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의료기기 제조‧품질관리(GMP) 미준수 가능성이 있는 취약 분야를 집중적으로 확인하고, 3등급 의료기기의 GMP 심사가 품질관리심사기관*으로 이관됨에 따라 운영이 적절한지 검증하기 위한 특별심사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의료기기 제조‧품질관리 특별심사는 의료기기 적합인정서 유효기간(3년)이 만료되기 전이라도 관리의 필요성이 있는 제조소를 불시에 방문하여 심사하는 것으로, 올해 9월부터 12월까지 4개월 동안 추진된다. 올해 의료기기 GMP 특별심사는 ▲ 작업소의 청정구역 모니터링 미흡 등 GMP 기준 미준수로 보완‧시정 조치가 많은 제조소 ▲ 해외 규제기관(FDA 등)의 GMP 관련 지적이 있었던 제조소 ▲ 심사기관의 심사 적정성 검증이 필요한 제조소 등 20개를 대상으로 한다. 이번 특별심사는 제품 품질에 영향이 있을 수 있는 제품의 설계‧개발의 변경 관리, 부적합의 재발 방지와 시정‧예방 조치 분야 등을 중점 심사하여 제조소의 GMP 운영 역량을 확인하고 미흡한 사항에 대해서는 보완‧개선 조치할 예정이다. 특별심사는 의료기기 분야 국제협력체인 의료기기공동심사프로그램(MDSAP)에 참여하는 정회원 국가에서도 제조소의 품질관리의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휴온스, 공익적 책임 빛나....ESG 차원 공급 차질 우려, 필수의약품 2종 개발 휴온스그룹 휴온스가 희귀∙필수의약품의 공급 안정화를 위해 국책 과제를 수행하며 국내 희귀질환 환자들의 치료 권리 확대에 나섰다. ㈜휴온스(대표 송수영)는 한국희귀∙필수의약품센터에서 주관하는 ‘국가필수의약품 안정공급 관리연구’ 2단계 3차 생산기술 개발기관으로 최종 선정됐다고 22일 밝혔다. 국가필수의약품 안정공급 관리연구는 환자들에게 꼭 필요하지만 수급이 불안정한 의약품을 국가 차원에서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기술 개발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국책과제 선정 품목은 ‘아세트산나트륨 용액주사제’와 ‘플레카이니드 용액주사제’다. 휴온스는 각 품목당 연간 약 1억7000만 원 규모의 정부출연금을 지원받아 1년간 연구를 진행한다. 아세트산나트륨 용액주사제는 저나트륨 혈증의 예방 및 교정에, 브루가다 증후군 진단 및 응급 심장 부정맥 치료 등에 꼭 필요한 필수 의약품이다. 하지만 낮은 처방량과 시장규모로 인해 두 품목 모두 해외 제품 수입에 의존하는 상황이다. 이에 공급 차질 발생 시 신속한 대응이 어려워 국가 차원의 안정적 공급 관리가 필수적이다. 휴온스는 금번 과제를 통해 해당 품목들의 국내 생산기술을 확보하고 안정적인 공급망을 구축하는 국산화 전략을 추진한다. 이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