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전근개파열은 어깨를 감싸는 힘줄이 손상되는 질환으로, 노화로 인한 퇴행성 변화와 반복적인 어깨 사용이 주요 원인이다. 기존에는 중장년층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았으나 최근에는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는 사람이 증가함에 따라 전 연령대에서 환자가 발생하고 있다.
실제로 테니스, 골프, 배드민턴 등 팔을 자주 사용하는 스포츠를 즐기거나, 무거운 물건을 반복적으로 드는 직업을 가진 20~40대에서도 회전근개파열 환자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교통사고나 낙상 등과 같은 외상, 잘못된 자세와 과도한 어깨 사용, 흡연과 같은 생활습관도 젊은 층에서 힘줄 손상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즉, 회전근개파열은 중장년층에만 국한된 질환이 아니라, 모든 연령대에서 주의가 필요한 어깨 질환이다.
회전근개파열의 증상은 오십견, 석회화건염, 목 디스크 등과 비슷해 쉽게 혼동될 수 있다. 모두 심한 어깨 통증을 유발할 수 있지만, 각 질환마다 증상의 양상이 다르다. 오십견은 수동적 운동 범위 제한이 심한 것이 특징이고, 목 디스크는 어깨를 넘어 팔 아래까지 이어지는 방사통이 동반된다. 반면, 회전근개파열은 팔을 들어 올리거나 돌릴 때 통증이 심하고, 근력 저하가 함께 나타날 수 있다. 이처럼 어깨 통증은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어 정확한 감별 진단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만약 어깨 통증이 2주 이상 지속된다면 단순 근육통이나 염좌로 여기지 말고 정형외과 전문의의 진료를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증이 있다면 정형외과 전문의 진료를 받아 초음파나 MRI 등 영상검사를 통해 정확한 원인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조기에 진단될 경우, 약물치료, 주사치료, 재활치료 등 비수술적 치료만으로도 충분히 호전될 수 있다. 수술이 필요한 경우에도 파열 크기가 작을 때 발견하면, 작은 절개만으로 시행하는 관절경 수술을 통해 통증과 흉터를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재파열의 위험도 낮아진다. 수술 후에는 어깨 보조기 착용과 재활운동 등 체계적인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특히 어깨 관절의 경직이나 재손상을 예방하려면 장기적인 재활과 꾸준한 운동 습관이 필수적이다.
회전근개파열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예방과 조기 진단이다. 평소 어깨 스트레칭과 회전근개 강화 운동을 꾸준히 하고, 무거운 물건을 들 때는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어깨를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직업군이나 스포츠를 즐기는 사람은 어깨 과사용을 피하고, 통증이 느껴질 경우에는 충분한 휴식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정형외과 이진혁 교수는 “어깨 통증이 2주 이상 지속된다면 방치하지 말고 정형외과 전문의의 진료를 받는 것이 좋다”며 “평소 자신에게 맞는 강도의 스트레칭과 근력 운동으로 어깨 건강을 지키는 습관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