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전증지원센터는 지난 22일(화) 오후 3시부터 5시까지, 전국 유치원 및 초·중등 교직원을 대상으로 한 『유치원 및 아동청소년을 돌보는 교사를 위한 교육』을 온라인으로 개최하였다.
전국에서 총 368명의 교사들이 참여한 이번 교육은 뇌전증을 앓는 학생들의 학교 교사들에게 정확한 뇌전증 정보를 전달하고, 실제 상황에서 교사의 대응 역량을 높이기 위하여 마련되었다. 두 자녀 모두 소아 뇌전증을 앓고 있는 한 어머니가 초등학교와 유치원에 다니는 자녀들이 학교에서 뇌전증 발작을 하는 상황을 염려하며 뇌전증지원센터에 학교 교사들의 뇌전증교육을 간절한 요청한 것이 계기가 되었다. “아이가 발작을 했을 때 교사와 학교 친구들이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는 상황이 걱정 된다”며, 학교 현장에서의 뇌전증에 대한 낮은 이해와 실질적인 교육의 필요성을 호소했다. 이에 뇌전증지원센터는 즉시 논의에 착수, 교사들을 위한 뇌전증 교육을 기획하였다.
홍승봉 뇌전증지원센터장은 “이번 교육은 학교라는 일상 공간에서 소아청소년 뇌전증 학생들이 보다 안전하게 생활하고 학습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의미 있는 첫걸음이었다”며, “교사들이 발작이 발생할 때 당황하지 않고 올바르게 대응할 수 있는 준비만 되어 있어도 아이의 생명을 지키는 데 큰 힘이 된다”고 강조했다.
사전 설문조사에는 전국 각지에서 742명의 초중고, 유치원, 특수학교 교사들이 참여했으며, 응답자의 73.7%는 자신이 근무하는 학교에 뇌전증 학생이 있다고 답했다. 그러나 뇌전증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교사는 21%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나, 현장의 뇌전증 교육 수요가 절실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자유 의견으로 “소발작과 집중력 저하의 구별이 어렵다”, “실제 상황에서 활용 가능한 뇌전증 응급처치 매뉴얼이 필요하다”는 요구가 많았으며, “반에 뇌전증 학생이 없으면 교사 교육을 등한시하게 되는 현실을 바꾸기 위해 모든 교직원이 매년 필수로 이수해야 하는 뇌전증 교육이 되었으면 한다”는 제안도 있었다.
뇌전증 교육은 우리아이들병원 소아신경발달클리닉 은백린 교수가 맡아서 ▲소아 뇌전증의 이해와 치료, ▲교사를 위한 실질적 돌봄 가이드, ▲발작 시 응급대처법 등을 강의하고, 참여 교사들과의 활발한 질의응답을 통해 현장의 궁금증을 해소하는 시간을 가졌다. 교육 후 은백린교수와 홍승봉센터장이 현장 교사들의 질문에 답하였다.
교육 후 실시된 만족도 조사 결과(7/24기준, 응답자 171명), ‘교육 전반에 만족한다’는 응답이 99.4%, ‘학교 현장에서 실제로 도움이 될 것 같다’는 응답이 97.6%, ‘뇌전증 학생을 돌보거나 지원하는 데 자신감이 생겼다’는 응답이 92.9%로 나타나 이번 온라인 교육이 일선 교사들의 뇌전증에 대한 실질적인 이해와 역량 강화에 크게 기여했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참여자 건의사항으로 “매년 정기적으로 수강하고 싶다”, “반복 학습을 통해 실제 상황에서의 대처 능력을 키우고 싶다”, “교육 기회가 더 확대되길 바란다”, “훌륭한 강의였다, 후속 강의도 꼭 마련해달라”는 요청이 이어졌으며, “직무연수로 인정될 수 있다면 더 많은 교사들의 참여가 가능할 것”이라는 의견도 다수 접수되었다.
이번 교육은 담임교사, 보건교사, 특수교사, 학교 사회복지사 등 뇌전증 학생과 직접 마주할 가능성이 있는 다양한 교직원들이 함께 참여하여 교육의 실효성을 높였으며, 정기적인 교육 운영과 함께 직무연수로의 제도적 인정, 지속 가능한 연수 체계 마련의 필요성이 함께 제기되었다. 뇌전증지원센터는 향후 교육 내용을 더욱 강화하고, 현장 대응 자료 및 매뉴얼 개발, 후속 강의 기획 등을 통해 교사들의 실천적 뇌전증에 대한 대처 역량을 지속적으로 향상시키고 지원할 계획이다.
홍승봉(성대의대 명예교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