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비뇨의학과(과장 강성구)는 지난 7월 24일 로봇수술 3천례 달성 기념식을 가졌다. 비뇨의학과는 앞선 7월 17일에 로봇수술 누적 3천례를 달성했으며, 3천례 달성은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단일진료과로는 처음이다.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비뇨의학과는 2007년 7월 5일 첫 로봇수술을 시행한 이래 2019년 1,000례, 2023년 2,000례, 2025년 3,000례를 기록하며 짧은 기간 내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비뇨의학과 성장의 핵심에는 방광암·전립선암·신장암 등 고난도 영역에서 술기를 개척하고 축적한 로봇수술의 세계적 대가들이 있다.
강석호 교수는 ‘로봇 근치적 방광절제술 및 총 체내 요로전환술’을 아시아 최초로 성공시키고 최다 수술을 기록하며 방광암 로봇수술 표준 확립을 주도하고 있다. 강석호 교수는 고난도 방광암 수술을 처음부터 끝까지 로봇으로 시행하는 체계를 정착시켜 수술 완성도를 높였고, 환자 기능 보존과 합병증 감소 측면에서 가장 우수한 성과를 보고하고 있다.
강성구 교수는 전립선암 로봇수술 술기를 발전시키며 국제 학계에서 주목받아 왔으며, 세계 최고 권위의 로봇수술 교육기관인 미국 센트럴 플로리다대학병원 세계로봇수술연구소(GRI)의 명예교수로 활동하고 최근에는 국제 원격 생중계 수술을 통한 원격 지도를 펼치는 등 세계 의료진을 대상으로 로봇 술기를 전수하고 있다.
심지성 교수는 국내 최초로 여성 요실금 환자에게 로봇을 이용한 인공요도괄약근 이식술을 성공시키며 여성 비뇨기 기능재건 영역의 지평을 넓혔다. 박민구 교수는 AI 기반 자율주행 내시경 로봇을 신장결석 치료에 적용하고, 노태일 교수와 윤성구 교수 또한 고난도 방광암과 전립선암 수술을 집도하며 환자들에게 희망을 전하고 있으며, 로봇을 활용하여 환자들에게 최상의 치료경험을 전하기 위한 노력을 이어가고 있다.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비뇨의학과는 이번 3,000례 달성으로 고난도 종양 및 기능 보존 수술에서 선도적 위치를 공고히 하며, 차세대 로봇 시스템을 활용한 정밀치료와 국제 교육·연구 협력을 지속 확대해 나갈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