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생·전공의들의 복귀 과정에서 제기된 특혜 논란에 대해 교육부가 “학생들의 상처를 보듬어야 할 때”라고 밝힌 데 대해, 서울시의사회가 환영의 뜻을 전하며 정부의 전향적인 조치를 촉구했다.
서울특별시의사회(회장 황규석)는 28일 성명을 통해 “교육부의 입장 표명은 단순한 행정절차가 아닌, 지난 1년 6개월간 상처를 입은 교육 현장을 복원하려는 공감의 결단”이라며 “교육의 연속성과 의료시스템 회복의 관점에서 협조를 아끼지 않겠”고 밝혔다.
앞서 교육부는 이날 브리핑에서 의대생 복귀와 관련한 특혜 논란에 대해 “학생들의 상처를 보듬고 교육의 방향을 정해야 할 시점”이라고 입장을 밝혔다.
서울시의사회는 “학생 복귀는 단순히 수업을 재개하는 차원이 아니라, 교육과 수련 체계를 회복하는 중요한 첫걸음”이라며 “의대 교육과 전공의 수련의 일관성과 연속성이 국민 건강권 보장과 직결된다는 점에서 책임있는 행정”이라고 평가했다.
의사회는 이어 “형식적인 복귀가 아닌 실질적인 교육 효과를 보장하기 위한 학사 운영 계획이 필요하다”며 “교육의 질을 해치지 않도록 교육부와 각 대학이 긴밀히 협의하고 점검 체계를 강화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또한 “정당한 사유로 복귀하지 못한 휴학생, 유예된 전공의 등도 포용할 수 있는 공정하고 탄력적인 복귀 방안이 필요하다”며 “이는 교육 형평성과 사회 통합의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의사회는 이번 교육부 결정이 단발적인 조치로 끝나지 않도록 정부와 국회가 구조적이고 지속 가능한 지원을 마련해야 한다는 점도 덧붙였다. 특히 “의과대학 커리큘럼의 일관성 확보와 전공의 수련 연계에 대한 장기적 플랜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