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2 (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분당서울대병원, 특발성 평발 환자 대상 ‘종골 연장술’, ‘종골 정지술’ 치료 효과 비교 연구

정형외과 성기혁 교발팀, 두 수술법 모두 발 아치 교정 및 삶의 질 향상에 효과 확인

분당서울대병원 정형외과 성기혁 교수 연구팀이 소아 특발성 평발 환자를 대상으로 대표적인 두 수술법인 ‘종골 연장술’과 ‘종골 정지술’의 치료 효과와 수술별 특성 차이를 비교 분석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특발성 평발은 특별한 외상이나 질병 없이 성장기 아동에게 발생하는 발 모양의 변화를 말한다. 발바닥 아치가 무너지고 발이 안쪽으로 꺾이는 구조적 이상이 나타나며, 체중이 실리면 통증, 보행 이상 등을 유발할 수 있다. 대부분은 깔창 착용이나 스트레칭 운동과 같은 보존적 치료로 증상이 완화되지만, 증상이 지속되거나 변형이 심한 경우에는 수술을 고려하게 된다.

대표적으로 시행되는 ‘종골 연장술’은 뒷꿈치뼈(종골)를 절골한 뒤 뼈를 이식해 아치를 복원하는 수술로, 한 번의 수술로도 지속적인 교정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다른 수술법인 ‘종골 정지술’은 나사 1개를 삽입해 평발을 교정하는 방식으로, 보다 간단한 수술이 가능하다는 점이 특징이다. 두 수술 모두 평발 교정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실제 환자 데이터를 바탕으로 두 수술법의 치료 결과를 비교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이에, 연구팀은 두 수술법의 치료 결과를 비교하기 위해 2003년부터 2022년까지 평발 교정 수술을 받은 10~14세 소아 환자 127명(총 223족)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수술 전후의 발 모양과 기능 변화를 확인하고자 방사선 사진과 삶의 질 평가 설문(OAFQ)을 통해 분석하고, 회복 기간과 합병증 발생 여부를 함께 비교했다.

연구 결과, 두 수술법 모두 평발을 교정하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두 환자군 모두에서 발 아치와 정렬을 나타내는 방사선 사진 수치들이 수술 후 크게 개선됐으며, 삶의 질 평가에서도 신체 기능, 학교생활 및 놀이, 정서적 측면, 신발 착용 등 모든 영역에서 점수가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회복 속도에서는 두 수술법 간 차이가 있었다. 종골 정지술을 받은 환자군은 체중 부하가 가능해 정상적으로 보행하기까지 평균 17.6일이 걸렸고, 종골 연장술을 받은 환자군은 평균 42.9일로 회복 속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종골 정지술을 받은 환자군에서 절골부의 불유합(뼈가 붙지 않는 상태) 등 주요 합병증의 발생 비율이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연구팀은 종골 정지술의 경우 수술 후 약 3년이 지나 발 성장이 마무리되는 시점에, 삽입한 나사를 제거하는 추가 수술이 필요하다는 점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골 정지술은 절개 범위가 크지 않아 회복이 빠르고, 주요 합병증 위험이 비교적 낮다. 교정 효과 또한 안정적으로 유지돼 소아 평발 환자에게 우선적으로 고려해볼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성기혁 교수는 “이번 연구가 소아 평발 환자의 상태에 따라 보다 적절한 수술법을 선택하는 데 실질적인 근거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며, “향후에는 특히 종골 정지술 환자에서 나사 제거 이후의 발 정렬 유지 여부 등 장기적인 예후를 확인하는 연구를 이어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연구는 세계적으로 권위 있는 미국족부족관절학회(American Orthopaedic Foot & Ankle Society) 공식 학술지 ‘Foot & Ankle International’에 게재됐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건강검진 결과 ‘심장이상 소견’ 무시하지 마세요.” “건강검진 결과 ‘심장이상 소견’ 무시하지 마세요. 심장 건강, 정확히 알고 지키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부천세종병원(병원장 이명묵) 장덕현 과장(심장내과)은 “증상이 없는데 건강검진에서 심장에 문제가 있다고 얘기를 들으면 당황하기 마련”이라며 “심장에 문제가 있음에도 증상이 없는 경우가 있는 만큼, 건강검진 결과 ‘심장 이상 소견’이라고 나왔다면 속히 전문의를 찾아 정확한 진단을 받아야 한다”고 12일 이같이 밝혔다. 건강검진에서 발견하는 심장 이상은 대표적으로 ▲혈압 이상 ▲흉부 방사선 이상(X-ray 촬영 후 심장이 커져 있는 것을 발견) ▲심전도 이상 ▲관상동맥(심장동맥) 칼슘 컴퓨터단층촬영(CT) 이상 등이 있다. 건강검진 결과, 이 같은 심장 이상 소견이 있을 경우 심장내과 진료를 받도록 권고하고 있다. 문제는 괜찮은 건지, 정밀검사가 필요한 건지 환자가 헷갈려 한다는 것이다. 망설이다 보면 결과적으로 의료기관 방문이 늦어지게 되고, 심하게는 제때 치료할 시기를 놓치게 되는 경우까지 발생한다. 반대로 정밀검사 후 정상으로 결과가 뒤바뀌는 경우도 있다. 건강검진 결과 이상 소견이 나왔다면, 조건 없이 심장내과 진료를 받아야 하는 이유다. ■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