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강중구)은 21일 2주기 1차 유방암·간암 적정성 평가결과(2023년 진료분)를 심평원 누리집을 통해 공개한다
암은 국내 사망률 1위의 사회적 관심이 높은 질환으로, 심평원은 2011년부터 암 적정성 평가를 시작했으며, 2022년 7월부터 기존 수술 중심 평가에서 암 진료 전반에 대한 환자 중심·성과 중심의 2주기 평가로 전환했다.
이번 2주기 1차 유방암·간암 적정성 평가결과는 앞서 진행된 대장암·위암·폐암 평가 결과와 같이 암 종별 공통지표와 특이지표를 평가하여 공개했다.
2주기 1차 유방암·간암 적정성 평가는 2023년 1월부터 12월까지 암 치료를 시행하고 진료비를 청구한 상급종합병원, 종합병원, 병원, 의원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평가지표는 총 8개로 암 환자 교육상담 등 환자 입장에서 필요한 진료 과정 지표와 수술 후 재입원율 등 치료 성과에 대한 지표를 포함했고, 말기 암 환자의 존엄한 임종과 관련된 사망 전 호스피스 상담과 중환자실 이용 등에 대한 지표도 모니터링했다.
2주기 1차 유방암 평가결과 전체 종합점수는 88.13점이며, 전체 평가기관 중 58.3%가 1등급을 획득했다.
<2주기 1차 유방암 종별 종합점수 및 1등급 기관수> | ||||
(단위: 점, 개소, %) | ||||
구 분 | 종합점수 | 전체 기관 | 1등급 기관 | |
전 체 | 88.13 | 139 | 81 | (58.3) |
상급종합 | 93.75 | 44 | 40 | (90.9) |
종합병원 | 88.00 | 82 | 41 | (50.0) |
병 원 | 61.92 | 7 | - | |
의 원 | 54.34 | 6 | - |
유방암 평가 등급 지역별 분포를 보면, 전국 총 81개의 1등급 기관 중 서울, 경기, 경상 지역이 다수를 차지했다.
2주기 1차 유방암 평가결과 1등급 기관 지역별 분포 현황
![]() |
|
간암 적정성 평가는 2주기 1차 평가지표 대부분을 신규 도입하여 수행한 첫 평가인 점을 고려하여 국가 단위 현황을 공개했다. 간암은 수술, 혈관 색전술 등 다양한 치료 방법이 적용되는 암종 특성을 반영하여 차기 평가 시 평가 방향 및 방법을 검토할 예정이다.
이번 평가는 수술 중심 평가에서 환자·성과 중심의 암 진료 전반 평가로 전환한 5대 암 2주기 1차 평가가 모두 완료됐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심평원은 1차 평가 결과를 토대로 보완이 필요한 지표는 의료현장의 의견을 충분히 수용하여 개선이 필요한 부분은 적극적으로 반영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