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20~30대 청년층 당뇨병 환자가 급증하며 ‘청년 당뇨’가 새로운 사회적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에 따르면 20대 당뇨병 환자는 최근 5년 새 약 50% 가까이 증가했다. 전문가들은 젊은 층에서 발병하는 당뇨병은 중장년층보다 진단 시점의 중증도가 높고 합병증 위험이 커 주의가 필요하다고 경고한다.
에이치플러스 양지병원 내분비내과 윤태관 전문의는 “청년 당뇨병 환자의 가장 큰 특징은 진단 시점부터 당화혈색소(HbA1c)가 높고, 지방간·고지혈증 등 대사질환을 이미 동반한 경우가 많다는 점”이라며 “진단 시 중증도가 훨씬 심각하다”고 전했다.
청년 당뇨병이 더 위험한 이유는 ‘합병증 노출 기간’ 이 길기 때문이다. 20대에 당뇨병 진단을 받으면 60대에 발병한 환자보다 더 오랜 기간 고혈당 상태에 노출돼, 망막병증·신장병증·심근경색·뇌졸중 등 합병증 위험이 크게 높아진다. 실제 청년 당뇨 환자의 75%는 고콜레스테롤혈증을, 35%는 고혈압을 동반하는 등 ‘대사증후군형 당뇨’ 양상을 보인다.
청년 당뇨병 급증의 가장 큰 원인은 불규칙한 식습관과 정제당 과다 섭취다. 배달 음식, 편의점 간편식, 액상과당이 들어간 고당도 음료 섭취가 급증하면서 인슐린 저항성과 췌장 기능 저하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설탕과 밀가루 중심의 식습관이 청년층 당뇨 증가의 핵심 요인이며 스트레스와 불규칙한 식사시간도 혈당 조절을 어렵게 만든다.
문제는 조기 진단이 쉽지 않다는 점이다. 제2형 당뇨병은 초기 증상이 거의 없고, 피로감이나 체중 변화를 단순한 과로나 스트레스로 생각해 방치하기 쉽다. 한 국가건강검진 제도가 20~30대 고위험군을 충분히 선별하지 못하는 사각지대가 존재한다.
최근 인기를 끌고 있는 ‘제로 슈거(Zero Sugar)’ 식품도 맹신은 금물이다. 제로 제품에도 말티톨 같은 당알코올이 포함돼 있어 혈당을 올릴 수 있으며 건강식품으로 착각해 과다 섭취하면 오히려 식습관이 무너질 우려가 있다.
청년 당뇨병 환자의 낮은 치료 순응도 역시 문제다. 평생 약을 먹어야 하는 부담감, 바쁜 사회생활과의 충돌, 직장 내 눈치 등으로 치료를 중단하는 사례가 많다.
윤태관 전문의는 “청년 당뇨는 개인의 의지 부족이 아니라 급변한 사회 환경이 만든 사회적 질환”이라며“모바일·웨어러블 기반의 맞춤형 관리 시스템과 연속혈당측정기(CGM) 보험 확대 등 현실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끝으로 “당뇨병은 증상 없이 다가오는 ‘조용한 살인자’”라며 “증상이 없어도 정기적으로 혈당 검사를 받고 조기에 관리하는 것이 합병증을 예방하는 최선의 방법”이라고 당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