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14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비바 쿼드 엑스티,급여인정 국내 본격 출시

다양한 경우의 수를 가진 심부전에 폭넓게 대응하도록 설계

메드트로닉코리아(대표: 허 준)는 만성 심부전 환자를 위한 4전극 방식(quadripolar)의 심장 재동기화 기기(이하 CRT)인 비바 쿼드 엑스티 (VivaTM Quad XT)가 건강보험 급여를 인정(보건복지부고시 제2014-31호)받았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국내 시장에는 이달부터 본격 출시된다.

CRT는 만성 심부전 환자를 위한 이식형 의료기기로, 환자의 심장에 연결된 전극을 통해 심장율동을 감지하고 섬세한 전류자극을 통해 심기능의 정상화를 돕는다. 이번에 보험급여를 인정받은 비바 쿼드 엑스티는 리드선에 각 4개의 전극을 적용해, 가능한 심장율동 감지 및 전류자극의 폭을 넓힌 것이 특징이다. 

심장의 부위별로 전류적 특성이 각기 다른데, 심부전 환자의 경우 그 양상이 보다 복잡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CRT가 환자의 율동 유형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어야 최적화된 전류자극 전달이 가능하다. CRT는 심장율동 부전의 양상을 양쪽 심실 혈관 내에 자리잡은 리드선의 전극이 읽어 들여 본체에서 적절한 전류자극을 발생시킨다. 

이번에 출시되는 비바 쿼드 엑스티의 경우 전극의 수가 4개로 늘어남은 물론 업계 최다인 총 16개에 달하는 환자 율동의 경우의 수에 대응하도록 설계됐다. 이 제품은 이 16개의 경우의 수 가운데 심부전 환자를 위한 최적의 전류 자극방향을 2~3분만에 자동으로 찾아 주는 전용 프로그램(Vector ExpressTM)을 사용할 수도 있다.

메드트로닉의 새로운 4전극 CRT는 그 외에도 몇 가지 특장점을 지니고 있다. 세 종류에 달하는 다양한 리드선을 적용할 수 있어 환자별로 다른 해부학적 특성이나 심혈관의 크기 및 굴곡에 대응이 가능하다. 또한 네 개의 전극 모두를 통해 미량의 약물을 방출해 전극이 연결된 심장 조직의 작은 상처가 보다 빨리 아물고 해당 부위에서의 율동 감지와 측정값이 장기적으로 안정화되도록 돕는다. 

또한 CRT의 경우 종종 전극이 횡경막을 자극하는 신경에 원치 않는 신호를 전달해 흘역(딸꾹질) 등 부작용이 발생하기도 하는데, 비바 쿼드 엑스티는 특수한 전극 디자인을 적용해 이를 최소화하는데 주안점을 뒀다.

비바 쿼드 엑스티는 기존의 비바 제품군과 마찬가지로, 이식환자가 느낄 수 있는 이물감을 최소화하도록 디자인되었다. 비바 출시 이전의 직사각형 모양의 각진 CRT에 비해 이식 부위에 느껴지는 피부 압박감을 30퍼센트 가량 줄인 메드트로닉의 인체공학적 곡선 디자인(PhysioCurve ®)이 그것이다.

메드트로닉코리아의 심장리듬질환 부문을 총괄하는 김상욱 이사는 “보다 많은 만성 심부전 환자들이 심장재동기화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진일보한 CRT 제품을 국내에 소개하게 되어 기쁘다”면서 “비바 쿼드 엑스티는 단순한 질병 치료와 생명 유지를 넘어, 환자의 불편을 최소화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려는 메드트로닉의 제품 개발 방향성이 그대로 녹아 든 제품”이라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난치성 역류성 식도염 기능내시경으로 정확한 진단 후 맞춤형 치료 필요 차 의과학대학교 강남차병원(원장 노동영) 조주영 교수팀(조주영, 김성환, 이아영)은 국내 최초로 기능 내시경을 도입해 역류성 식도염을 정확히 진단하고, 약제 복용에도 증상이 지속되는 ‘난치성 위식도 역류질환’에 스트레타 고주파 시술, 역류방지 점막절제술 (ARMS), 역류방지 점막소작술 (ARMA) 등의 개인 맞춤형 치료를 제공한다. 역류성 식도염은 대부분 약물로 어느 정도 치료가 가능하지만, 일부 환자에게서 고용량의 약물치료에도 혹은 장기간 약물 복용에도 증상 호전이 명확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증상이 있다고 약물 복용을 장기간으로 지속할 경우 위축성 위염, 철분결핍, 장의 미생물 감염 위험, 골절의 위험이 높아진다. 약물치료 외에 역류성 식도염 치료법으로 위저부 주름술(Fundoplication)과 같은 수술적 치료부터 자기장 괄약근 강화술 (LINX), 메디거스 초음파 내시경 자동봉합기 등과 같은 내시경적 치료 등 여러 방법들이 지속적으로 고안되고 있다. 하지만 치료를 받은 환자들 중 62%는 11-13년 후 재발하거나, 역류성 식도염으로 진단되었지만 약물치료에도 호전이 되지 않는 경우에 실제 다른 질환으로 진단되는 경우가 15%나 된다. 강남차병원 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