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15 (일)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국회

공공기관,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 참여율 저조

문정림 의원, 복지부 부처간 협조 강화, 한국장애인개발원 우선구매 교육 참가 독려해야

문정림 의원(보건복지위원회, 새누리당 비례대표)은 한국장애인개발원으로부터 제출받은 2014 국정감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한국장애인개발원이 지난 2011년부터 보건복지부로부터 위탁받아 시행 중인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 구매제도의 준수율이 매우 낮고, 구매교육 참가율도 저조한 것으로 드러나, 중증장애인생산품 구매제도 활성화를 위한 한국장애인개발원의 교육 참여 독려와 보건복지부의 부처간 협조 강화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 구매제도는 장애인의 자활·자립을 도모하기 위해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 특별법에 따라, 국가, 지방자치단체 및 공공기관이 보건복지부장관으로부터 지정을 받은 생산시설에서 생산된 제품 및 동 생산시설에서 제공되는 노무용역 등의 서비스를 각 기관별 총 구매액의 1% 이상 구매토록 하는 제도이다.
 
그러나 문정림 의원의 검토 결과,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 특별법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2013년 공공기관의 중증장애인생산품 평균구매율은 0.72%에 그쳤고, 중소기업제품 구매촉진 및 판로지원에 관한 법률 제2조에 따라 중증장애인생산품을 우선구매토록 되어있는 391개 공공기관 중 47%인 185개 기관만이 우선구매비율 1%를 지킨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농협과 수협의 경우 제도 시행 후 3년간 우선구매비율이 0%였다[표1][표2].
 
또한 2013년 국가기관의 중증장애인생산품 평균구매율은 0.62%로 공공기관 평균구매율보다 낮았다. 법에서 규정한 1% 우선구매비율을 지킨 국가기관은 27개에 불과해 50%의 국가기관이 이를 지키지 못했다. 국가기관은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에 따라, 각 공공기관의 적정성과 집행실태 등을 확인·점검하도록 되어 있어, 공공기관보다 법률을 준수해야 할 책임이 더 크다[표3]. 더욱이, 각 중앙행정기관의 지휘·감독, 정책을 조정하는 국무조정실의 우선구매비율은 0.5%로 54개 국가기관 중 42위를 기록했다. 2013년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율이 가장 높았던 국가기관은 중앙선거관리위원회로, 7.13%의 구매비율을 기록했다.
 
한편, 한국장애인개발원은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 특별법에 따라, 보건복지부의 위탁을 받아 중증장애인생산품의 구매를 촉진하기 위한 교육을 각 공공기관의 구매담당자 등에게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2014년 구매담당자 교육에 참석한 국가기관 우선구매담당자는 전체 참석자의 5.9%에 불과했고, 참석율은 지난 3년간 지속 하락하고 있었다[표4].
 
문정림 의원은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 제도는 판로확보가 어려운 중증장애인 생산품의 판로 확보를 국가가 지원하고 중증장애인 생산품의 판매를 촉진하여, 중증장애인의 직업재활을 돕고, 나아가 국민경제발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며 “그러나 대표적 사회취약계층인 중증장애인의 인간다운 생활을 보장하고 자활을 적극 도와야 할 국가기관이 이를 방기함은 물론, 법도 지키지 않고 있다는 사실이 이번 국정감사를 통해 드러나 매우 실망이다”라고 말했다.
 
이어서 문정림 의원은 “특히 국가기관의 구매담당자 교육 참석율이 매우 저조한 점은 해당 국가기관 뿐만 아니라, 주무부처인 복지부와 위탁 기관인 한국장애인개발원이 먼저 반성해야 할 점”이라며 “구매담당자 교육 미참석에 대한 제재 규정 신설 검토, 한국장애인개발원의 참석 독려 방안 마련, 복지부의 유관부처간 협조 강화 등 법령 개선을 통한 우선구매제도의 준수율 향상 방안은 물론, 현 시스템 내에서 즉시 개선할 수 있는 방안 모두를 적극적으로 강구하라”고 촉구했다.


 
[1] 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 실적 현황
 

기관명2013년 구매실적
구매총액구매실적구매 비율
총 계41,285,396,466295,835,5110.72
국가기관 합계6,448,236,57540,144,4420.62
지자체합계
(지방공기업포함)
11,955,000,91584,422,9350.71
교육청 합계5,400,455,20836,813,9650.68
공기업 등 합계14,571,876,028122,983,5140.84
기타공공기관 합계2,845,018,02911,039,6860.38
기타 특별법인 합계64,809,711430,9690.66
총 기관 수 391구매비율
1% 이상 기관
185
(47%)

<문정림 의원실이 한국장애인개발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재구성>
 
[2] 우선구매제도 시행 후 3년간 구매실적이 0%인 공공기관
(단위 : 천원, %)

기관명2011 구매실적2012 구매실적2013 구매실적
구매총액구매실적구매비율구매총액구매실적구매비율구매총액구매실적구매비율
농업협동조합중앙회---------
수산업협동조합중앙회---------

<문정림 의원실이 한국장애인개발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재구성>
 
 
[3] 2013년도 국가기관 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 실적 현황
(단위 : 천원, %)

 기관명2013년 구매실적
구매총액구매실적구매 비율
 국가기관 합계6,448,236,57540,144,4420.62
1중앙선거관리위원회4,293,894 306,261 7.13
2조달청3,253,768 130,374 4.01
3국가인권위원회4,402,770 99,560 2.26
4병무청20,102,000 376,130 1.87
5국회 국회도서관1,286,070 23,415 1.82
6대통령비서실10,229,560 179,774 1.76
7법제처10,114,373 169,302 1.67
8국세청133,259,556 2,153,462 1.62
9미래창조과학부270,705,489 3,841,969 1.42
10방송통신위원회2,709,196 38,507 1.42
11여성가족부14,803,761 199,900 1.35
12국회 국회예산정책처629,295 8,085 1.28
13환경부139,957,602 1,781,082 1.27
14산림청152,306,027 1,777,013 1.17
15국회 국회입법조사처474,790 5,509 1.16
16금융위원회6,500,768 75,202 1.16
17교육부42,206,742 481,175 1.14
18원자력안전위원회1,265,756 14,408 1.14
19국민권익위원회13,924,852 155,595 1.12
20국회 국회사무처13,977,426 157,147 1.12
21문화재청46,658,725 523,577 1.12
22보건복지부140,040,242 1,562,552 1.12
23감사원10,074,753 102,678 1.02
24중소기업청18,111,606 183,090 1.01
25대검찰청73,321,944 734,250 1.00
26해양경찰청143,588,528 1,438,517 1.00
27통계청34,469,947 341,513 0.99
28대법원62,681,277 561,126 0.90
29법무부148,068,310 1,271,960 0.86
30식품의약품안전처108,967,579 918,362 0.84
31농촌진흥청105,222,023 878,201 0.83
32고용노동부128,509,930 1,014,424 0.79
33특허청30,078,664 234,698 0.78
34소방방재청35,200,862 272,534 0.77
35관세청100,201,057 725,216 0.72
36농림축산식품부156,411,565 1,080,486 0.69
37산업통상자원부60,019,107 366,357 0.61
38기상청41,497,267 240,327 0.58
39문화체육관광부260,932,918 1,522,982 0.58
40공정거래위원회7,258,694 40,934 0.56
41국가보훈처38,970,737 217,310 0.56
42국무조정실11,279,918 56,014 0.50
43국방부908,260,375 4,575,969 0.50
44안전행정부400,826,963 1,995,852 0.50
45기획재정부72,795,457 268,076 0.37
46통일부31,778,734 115,524 0.36
47외교부98,098,500 312,730 0.32
48경찰청627,878,713 1,880,549 0.30
49방위사업청1,382,870,000 4,215,000 0.30
50국토교통부121,281,306 331,776 0.27
51헌법재판소6,211,747 12,042 0.19
52해양수산부107,075,279 142,841 0.13
53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83,190,153 33,105 0.04
54새만금개발청*   

 
*새만금개발청은 2013년 개청되어 해당년도 실적 없음
<문정림 의원실이 한국장애인개발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재구성>
 
 
[4] 최근3년간 중증장애인생산품 국가기관 구매담당자 교육 참석 비율
 

참석자()201220132014
전체 참석자수3,5823,2804,177
국가기관
우선구매담당자 참석자 수
255225246
전체 참석자 대비
국가기관 참석자 비율
7.1%6.9%5.9%

<문정림 의원실이 한국장애인개발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재구성>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난치성 역류성 식도염 기능내시경으로 정확한 진단 후 맞춤형 치료 필요 차 의과학대학교 강남차병원(원장 노동영) 조주영 교수팀(조주영, 김성환, 이아영)은 국내 최초로 기능 내시경을 도입해 역류성 식도염을 정확히 진단하고, 약제 복용에도 증상이 지속되는 ‘난치성 위식도 역류질환’에 스트레타 고주파 시술, 역류방지 점막절제술 (ARMS), 역류방지 점막소작술 (ARMA) 등의 개인 맞춤형 치료를 제공한다. 역류성 식도염은 대부분 약물로 어느 정도 치료가 가능하지만, 일부 환자에게서 고용량의 약물치료에도 혹은 장기간 약물 복용에도 증상 호전이 명확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증상이 있다고 약물 복용을 장기간으로 지속할 경우 위축성 위염, 철분결핍, 장의 미생물 감염 위험, 골절의 위험이 높아진다. 약물치료 외에 역류성 식도염 치료법으로 위저부 주름술(Fundoplication)과 같은 수술적 치료부터 자기장 괄약근 강화술 (LINX), 메디거스 초음파 내시경 자동봉합기 등과 같은 내시경적 치료 등 여러 방법들이 지속적으로 고안되고 있다. 하지만 치료를 받은 환자들 중 62%는 11-13년 후 재발하거나, 역류성 식도염으로 진단되었지만 약물치료에도 호전이 되지 않는 경우에 실제 다른 질환으로 진단되는 경우가 15%나 된다. 강남차병원 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