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아스트라제네카(대표 리즈 채트윈)는 4월 1일부터 COPD * 환자에 대한 심비코트 (부데소니드/포르모테롤) 치료 보험급여가 기존 FEV1 (1초간 강제호기량)값이 예상 정상치의 50% 이하에서 FEV1 60%이하인 환자로 확대되었다고 밝혔다.
세계만성폐쇄성폐질환기구(GOLD) 가이드라인은 심비코트와 같은 흡입형 스테로이드(ICS)가 COPD 급성 악화 빈도수를 줄이는 데 FEV1 값이 예상 정상치의60% 미만에서 효과가 있다고 (Evidence A) 권고하고 있으며, 국내 진료지침 역시 FEV1이 정상 예측치의 60% 미만이거나 지난 1년 동안 2회 이상 급성악화가 있었거나 입원할 정도로 심한 악화가 있었던 환자(COPD 진료 지침 다군)에서 ICS/LABA복합제의 사용을 1차 치료로 권장하고 있다.
심비코트는 2003년 국내에서COPD 적응증을 획득 , 한 이래, 이번 급여 확대를 통해 FEV1 60% 이하인 COPD 환자에 대한 접근성을 높일 수 있게 되어, 보다 많은 COPD 환자에게 증상 완화 및 악화 예방을 위한 치료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급여 확대와 관련해 인제대학교 서울백병원 호흡기내과 염호기 교수는 “심비코트는 FEV1이 50%보다 높은 환자가 포함된 3개의 논문(Szafranski (2003) , Calverley(2003) , CLIMB(2009) )을 합하여 사후 분석한 결과 moderate COPD 환자군에서 첫 번째 악화 발생까지의 시간이 위약군 대비 57% 낮았다(hazard ratio 0.43, p=0.002). , ”며 “심비코트 급여 확대는 FEV1 <60% 미만 환자의 치료시 약제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게 되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COPD 환자에 있어 폐렴은 환자가 중환자 치료로 가게 하는 등 상당히 큰 부담인데, 심비코트는 타 약제와 달리 폐렴발생을 증가시키지 않으므로 재정적인 절감은 물론 환자의 삶의 질에 기여하는 등 혜택이 클 것” 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