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9 (금)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크레스토, SATURN연구 결과 통해 죽상동맥경화증 효과 재확인

미국심장학회 발표, 관상동맥의 플라크 수치 감소 효과 우수

 아스트라제네카의 고지혈증 치료제 크레스토(성분명: 로수바스타틴)가 글로벌 임상인 SATURN (Study of Coronary Atheroma by InTravascular Ultrasound: Effect of Rosuvastatin Versus AtorvastatiN) 연구를 통해 죽상동맥경화증에 대한 효과를 재확인했다. 2011 미국심장학회(American Heart Association) 연례 학술대회에서 발표된 이번 연구에서 크레스토를 통한 적극적인 치료가 나쁜 콜레스테롤인 LDL-C 수치를 낮추고, 좋은 콜레스테롤인 HDL-C 수치를 높이며, 심장 혈관에 쌓이는 플라크(죽종)를 감소시키는 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관상동맥질환을 지닌 18-75세 남녀 환자 1,000여명을 대상으로 2년간 실시된 이번 연구에서 1차 유효성 평가 변수인 40mm이상의 목표관상동맥을 IVUS(IntraVascular UltraSound, 혈관 내 초음파)[1]로 측정한 죽종 용적 비율 변화량이 크레스토 40 mg혹은 아토바스타틴 80 mg으로 치료받은 결과 기준점 대비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가 나타났다. 크레스토 40mg의 투여가 아토바스타틴 80mg의 투여보다 수치상 더욱 큰 감소를 보였지만, 두 제제 간의 차이는 통계적 유의성에 이르지 못했다(-1.22% 대 -0.99%; p=0.17). 한편 TAV(Total Atheroma Volume, 총 죽종량)[2]의 변화량을 알아본 2차 유효성 평가 항목에서 크레스토는 아토바스타틴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6.39 mm3 대 -4.42mm3, p=0.01).

 

또한, 크레스토는 아토바스타틴과 비교하여 지질 수치 개선에 있어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우수함을 보여주었다. 크레스토는 아토르바스타틴보다 LDL-C 수치와 총 콜레스테롤 수치를 더 낮췄고, HDL-C 수치는 더 높였으며, 또한 관상동맥질환 환자의 LDL-C 목표 치료치인 70mg/dL미만인 환자 비율 역시 아토바스타틴보다 높았다.

 

 
  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 김효수 교수는 “SATURN 연구의 관전 포인트는 현존하는 최강 스타틴 요법인 크레스토40mg 과 리피토80mg을 2년간 투여하면서 관동맥 죽상경화병변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한 데 있다. 그 결과 LDL-C 감소효과와 HDL-C증가효과 모두 크레스토가 우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서 죽상종의 감축효과도 크레스토가 약간 우월한 것으로 드러났다. 한편 두 약제 모두 유의하게 죽상종의 감축을 실현하였다. 안전성에 대한 결과를 보자면, 최고용량을 1000여명에서 2년간 투여했지만, 심각한 부작용이 없었다는 결과는 이 들 약제의 안전성을 재확인해 주고 있다.”며, “SATURN연구를 계기로 지질치 관리의 의미와 가치가 바뀔 것으로 예상한다. 즉 죽상경화병변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는 것에서 한 발 더 나아가, 죽상종을 감축시킬 수 있다는 식으로 개념이 바뀔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SATURN은 104주 간 실시된 무작위, 이중맹검, 병행집단 설계, 다기관, 임상 3b 연구이며, 스타틴 제제에 대한 효능 및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해 고안된 광범위한 글로벌 임상시험 프로그램 GALAXY 연구 중 하나이다. 이번 결과는 <뉴잉글랜드의학저널(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온라인 판에 동시 게재됐다. 한편 크레스토는 콜레스테롤 조절, 심혈관 질환 위험 감소, 그리고 스타틴 중 유일하게 죽상동맥경화 진행 지연에 대한 적응증을 보유하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