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병원운영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원장 김병관) 순환기내과 김학령 교수 · 공공의료사업단 이진용 교수(이상 보라매병원) · 서울대 보건학교실 김자연 교수 연구팀은 소득 수준이 낮을수록 변이형 협심증 으로 인한 사망 가능성이 높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변이형 협심증(variant angina)는 동양인에서 더 많이 발생하는 질환으로 심장에 혈액을 공급해 주는 관상동맥이 수축(경련)을 하면서 일시적 혈류 차단에 의해 흉통이 나타나는 질환이다.
연구팀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를 활용하여 2004년~2011년 동안 국내 병원에서 변이형 협심증 치료를 받은 환자 2,476명을 대상으로 사망한 환자와 관련이 있는 주요 원인을 분석했다. 각 환자별 5년간 추적 관찰 기간 동안 178명(7.2%)이 사망했고 그 중 95명(3.8%)이 심장 원인으로 사망했다. 분석 결과 ▲고령층 ▲ 고혈압 환자 ▲ 당뇨병 환자 ▲ 저소득층일수록 사망 확률이 높았으며, ▲고령층 ▲ 고혈압 환자 ▲ 저소득층일수록 심장 문제로 인한 사망 확률이 높았다.
연구를 주도한 순환기내과 김학령 교수는 “변이형 협심증 환자도 일반 협심증 환자와 마찬가지로 고혈압·당뇨 등 심혈관계 위험 관리에 신경써야 한다”며 “특히 이번 연구는 낮은 경제 수준이 변이형 협심증의 예후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최초로 규명하였으며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은 변이형 협심증 환자 수를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로써 주목할 가치가 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지난 4월 해외 유명 학술지인 Scientific Reports에 게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