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9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고려대 의대·교우회, '뜻 깊고 의미 있는' 장학증서 전달

학생 160명에게 5억 3천 2백여만 원 규모 장학금 수여

고려대학교 의과대학(학장 이홍식)과 고대의대 교우회(회장 나춘균)가 지난 27일 오후 7시 의과대학 320호 강의실에서 ‘2017학년도 2학기 장학증서 수여식’을 열었다.


박종웅 교무부학장의 개회사로 막을 연 이날 행사는 △의과대학장 축사 △교우회장 축사 △의과대학 장학증서 수여 △교우회 장학증서 수여 △폐회식 △만찬 순으로 진행됐다. 아울러 이홍식 의과대학장, 나춘균 의대교우회장, 박경아 여자교우회장을 비롯한 내·외빈과 장학생, 학부모 등 70여 명이 참석해 자리를 빛냈다.




이날 지급된 장학금은 △근현 장학금(1명) △여자교우회 장학금(1명) △미주교우회 장학금(3명) △김재각 장학금(1명) △차윤봉 장학금(1명) △전용혁 장학금(2명) △학부모회 장학금(2명) △릴레이 장학금(1명) △임창수 장학금(1명) △이규호 장학금(1명) △박흥찬 장학금 1명(1명) △정우 장학금(2명) △면학 장학금(3명) △학업보조 장학금(3명) △KUMC-SPIRIT 장학금(2명) △Medical Global Leadership 장학금(3명) △화이자 장학금(1명) △교우회 장학금(15명)으로 구성됐다. KUMC-Spirit 장학금을 받은 한 학생은 여름방학에 아프리카 짐바브웨와 말라위에 의료봉사를 다녀온 소감을 전했으며, Medical Global Leadership 장학금으로 미국 뉴올리언스 툴레인 메디컬센터에 다녀온 한 학생도 감상을 말하며 학교에 감사를 표했다.


이홍식 학장은 “대부분의 장학금 기탁자들은 본인 사정도 넉넉지 못하지만 경제적 이유로 학업을 중단해야 하는 학생들을 위해 흔쾌히 큰 금액을 쾌척해주신 분들”이라며, “우리 학교는 해외 임상실습이나 해외 봉사, 연구 활동에도 적극적인 지원이 있으니 수혜자가 더욱 늘길 기대하며, 단순한 장학금 수여에 그치지 않고 나눔의 정신을 후배나 사회에 전파할 수 있는 뜻깊은 경험이 되길 바란다“고 축하를 전했다.


나춘균 교우회장은 “오늘 전달하는 장학금은 여러 의미가 있지만 가장 큰 의미는 바로 우리 교우들의 학교와 후배에 대한 애정과 사랑”이라며, “우리 학생들이 학업에 정진해 후에 학교의 명예뿐 아니라 나 자신, 사회를 위해 뜻깊은 일을 하는 따뜻한 마음을 가진 의사가 되길 바란다”고 격려의 뜻을 전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강동경희대병원, 로봇 친화형 스마트병원 전환 본격화 강동경희대학교병원이 국토교통부가 주관하고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이 지원하는 『2025년 스마트+ 빌딩 핵심기술 개발사업』의 로봇 친화형 스마트병원 실증기관으로 최종 선정됐다. 이번 사업은 총사업비 203억 원 규모의 국가 대형 R&D 과제로, 강동경희대학교병원은 2026년부터 본격적인 실증연구에 착수한다. 사업은 로봇이 효율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최적의 건축 인프라를 구축하고, 이를 병원 및 공공시설에 적용해 실증하는 범부처 융합형 기술개발 프로젝트다. 병원 공간 내에서 로봇의 자율적 운영이 가능하도록 설계·시공·운영 기술을 통합하는 것이 핵심이다. 과제는 경희대학교 건축공학과 황경은 교수가 연구책임자로 참여해 병원·건축·로봇 산업 간 협업 기반 기술 통합을 주도하게 된다. 강동경희대학교병원은 이번 실증 과제에서 병원 본관을 대상으로, ▲자율주행 약품·검체 이송 로봇 ▲청소·방역 로봇 ▲안내 로봇 ▲폐기물 운반 로봇 등 총 6종의 로봇을 실제 병원 환경에 도입한다. 특히 병동의 좁은 복도, 환자와 보호자로 인한 혼잡, 엘리베이터 공유 등 다양한 물리적 제약 조건 속에서도 로봇이 원활히 작동할 수 있도록 공간 구조와 시스템을 최적화한다. 이를 통해 로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