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2 (토)

  • 맑음동두천 12.8℃
  • 맑음강릉 15.5℃
  • 맑음서울 14.2℃
  • 맑음대전 13.4℃
  • 맑음대구 15.4℃
  • 맑음울산 15.4℃
  • 맑음광주 14.8℃
  • 맑음부산 15.4℃
  • 맑음고창 14.1℃
  • 구름조금제주 15.5℃
  • 맑음강화 12.4℃
  • 맑음보은 13.1℃
  • 맑음금산 13.3℃
  • 맑음강진군 14.5℃
  • 맑음경주시 14.8℃
  • 맑음거제 12.4℃
기상청 제공

엎드린 자세, 척추 건강에 치명적

이불 밖은 위험하다는 나혼자 족, 겨울철 건강관리 필요

‘집순이’, ‘집돌이’를 자처하는 ‘나혼자 족’이 늘고 있다. 이들은 여가시간에 외출하기보다 실내에서 혼자만의 시간을 선호한다. 주로 침대에서 스마트폰을 보거나 노트북으로 밀린 드라마와 예능을 몰아보며 힐링 시간을 갖는다. 하지만 잘못된 휴식은 오히려 독이 되기도 한다.


엎드린 자세, 척추 건강에 치명적
잘못된 자세는 관절 통증을 유발하고 심하면 디스크로 악화된다. 특히, 엎드린 자세는 엉덩이와 등뼈가 위로 솟아 척추에 부담을 준다. 목에 부담이 없도록 낮은 베개를 사용하고 자세를 자주 바꿔 특정 부위에 부담이 가지 않도록 해야 한다.


경희대학교병원 재활의학과 전진만 교수는 “부적절한 자세가 장시간 지속되면 몸과 어깨가 뻣뻣해지기 쉽다”라며 “엎드려 자는 것보다 똑바로 자는 것이 좋고 옆으로 자는 자세가 편하다면 무릎 사이에 베게나 쿠션을 끼는 것이 척추 건강에 도움 된다”고 언급했다.


하루 종일 침대 속, 피부건조나 열성홍반 주의해야
전기장판을 장시간 사용하면 피부건조의 악화 또는 열성홍반 등의 위험에 노출된다. 높은 온도에 피부가 노출되면 피부가 건조해지고 그물모양의 홍반과 갈색반이 생기는 열성홍반이 발생할 수 있다.


경희대학교병원 피부과 신민경 교수는 “전기장판은 피부가 과도한 열에 노출되지 않도록 얇은 수건이나 이불을 깔고 사용하는 것이 좋다”라며 “온도는 저온으로 설정하고 잠을 잘 때는 타이머 기능을 활용해 장시간의 노출을 피해야한다”라고 밝혔다.


부족한 야외활동, 비타민D 부족해 골다공증 위험성 높아
골다공증은 뼈가 약해져 쉽게 부러지는 질환이다. 골다공증의 주요 원인은 비타민D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비타민D는 뼈에 도움을 주는 칼슘, 인산의 흡수를 촉진하고 면역기능을 조절한다.


부족하면 골다공증, 퇴행성관절염 등 근골격계 질환과 성장 저하, 구루병, 골연화증 등이 나타날 수 있다. 경희대학교병원 정형외과 강경중 교수는 “외부 활동과 일상생활이 제한적이면 비타민D 합성에 중요한 햇볕 노출량이 감소해 비타민D가 부족할 수 있다”라며 “하루 20분 정도 자외선을 쬐면 부족한 비타민D를 보충할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어두운 곳에서 스마트폰‧노트북 사용, 눈을 피로하게 만드는 조건
집중력을 높이기 위해 어두운 곳에서 스마트폰과 노트북을 사용하기 쉽다. 이는 오히려 눈을 가장 피로하게 만든다.


경희대학교병원 안과 진경현 교수는 “불을 다 끄고 어두운 상태로 스마트폰을 가까이 보는 것은 눈을 가장 피로하게 만드는 조건이다”라며 “글자가 작다고 스마트폰을 너무 가까이에서 보지 말고 글자 크기를 키우는 기능을 활용해 화면과 눈의 거리가 멀어지도록 해야 한다”라고 밝혔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유한재단, 제28회 ‘유재라봉사상’ 여약사부문 시상식 개최 유한재단(이사장 원희목)이 지난 20일 오후 서울 더플라자호텔에서 제28회 유재라봉사상 여약사부문 시상식을 개최했다. 한국여약사회(회장 이숙연)의 제34회 정기총회와 함께 개최된 이번 행사는 유한재단 원희목 이사장, 유한양행 조욱제 대표 등 관계자 및 내외빈이 참석했다. 유한재단 원희목 이사장은 “1990년에 설립해 창립 35주년을 맞은 한국여약사회는 국민의 보건 향상과 사회 안녕을 목표로 출범했다”며, “따뜻한 약손을 실천하는 어머니의 마음으로 국내외에서 사랑과 봉사, 헌신을 바탕으로 소명을 충실히 수행해 온 점에 깊이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 유재라봉사상 여약사부문 수상자 두정효 약사는 약사이자 사회복지사로서 20년 이상 약물 오남용 예방과 중독자 재활을 위해 헌신해 오셨다”며, “청소년 건강지킴이 또래리더 양성, 성교육 및 환경교육 활동을 통해 지역사회와 청소년의 건강한 회복을 묵묵히 실천해 오신 발걸음은 화려하지 않으나 깊고 단단하다. 누군가의 삶을 다시 일으키는 일은 가장 인간적인 일이며, 이는 바로 ‘조용한 사랑과 실천’을 남기고자 했던 유재라 여사의 정신과 맞닿아 있다”고 강조했다. 두정효 약사는 수상 소감을 통해 “대학 시절 농활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