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8 (수)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우리나라 국민 1,100만명, 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중 한 가지 이상 치료 중

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진단자는 계속 느는데 지속적인 치료 비율 낮아… 3대 만성질환 아우르는 체계적인 관리 필요

대한고혈압학회(이사장 조명찬), 대한당뇨병학회(이사장 박경수), 한국지질동맥경화학회(이사장 김효수)는 18일 우리나라 3대 만성질환인 ▲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의 유병 규모와 치료 현황을 요약한 공동 팩트 시트(fact sheet)를 공개했다.


이번 팩트 시트는 3개 학회가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와 국민건강보험 빅데이터를 활용해 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의 유병 및 관리 실태를 분석한 것으로, 적극적이고 체계적인 만성질환 관리의 필요성을 일깨우기 위해 제작되었다. 팩트 시트는 ▲ 3개 만성질환 중 동반 치료자  현황과 ▲각 질환 별 유병 규모 및 치료 현황 분석 내용으로 구성돼 있다. 각 질환별 팩트 시트는 추후 각 학회의 춘계 학술대회에서 순차적으로 발표될 예정이다. 


팩트 시트에 따르면 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중 하나라도 치료를 받은 적이 있는 사람은 2016년 약 1,127만 명으로, 2006년 약 622만 명 대비 10년 사이 2배 가까이 증가했다.  2016년 기준 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중 두 개 이상을 치료 받고 있는 사람이 약 539만 명이었으며 그 중에서 고혈압과 이상지질혈증을 치료 받는 경우가 약 262만 명으로 가장 많았다. 세 가지 만성질환을 모두 치료하고 있는 사람도 약 141만 명에 달했다. 


연도

전체 치료자 ()

1 질환

치료자 ()

2 질환

치료자 ()

3 질환

치료자 ()

2006

6,220,068

4,321,394

1,556,110

342,564

2007

6,721,887

4,516,242

1,776,943

428,702

2008

7,207,866

4,718,190

1,981,021

508,655

2009

7,822,943

4,952,756

2,258,231

611,956

2010

8,323,036

5,121,336

2,495,511

706,189

2011

8,800,172

5,294,062

2,707,975

798,135

2012

9,315,874

5,416,331

2,976,701

922,842

2013

9,740,878

5,514,053

3,200,588

1,026,237

2014

10,120,016

5,543,079

3,422,226

1,154,711

2015

10,591,558

5,661,880

3,661,353

1,268,325

2016

11,274,430

5,879,830

3,987,589

1,407,011


[1] 3 만성질환 약물 치료 현황 (2006~2016)


3개 학회의 팩트 시트 제작에 참여한 연세의대 예방의학교실 김현창 교수는 “한국인의 3대 만성질환으로 꼽히는 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은 각종 중증 질환(심뇌혈관질환 및 치매)의 선행질환이며, 사망에까지 이를 수 있는 심각한 질환”이라며 “특히 많은 만성질환자들이 두 가지 이상의 만성질환을 동시에 앓고 있어, 각 질환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더불어 국가 차원의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예방•관리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 국내 고혈압 유병자 천만 명 돌파, 그러나 절반은 여전히 혈압 조절 안돼
국민건강영양조사의 2016년 고혈압 유병률 을 우리나라 전체 인구에 적용한 결과, 고혈압 유병인구가 1,100만명이 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그런데 실제 고혈압으로 진단 받은 사람은 약 890만 명이었고, 그 중 약 92%(약 820만 명)가 1회 이상 약물을 처방 받아 당뇨병(76%) 및 이상지질혈증(61%)보다 치료율이 높았다. 하지만 꾸준히 치료를 받은 사람 은 2016년 기준 약 573만 명(전체 유병자의 64%)에 불과했다.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추정하는 고혈압 조절률이 44%에 불과한 이유도, 고혈압을 가지고 있는 사람의 대부분 약물 치료는 받지만 치료 지속율이 낮아서 많은 사람들이 혈압 조절에 실패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연도

고혈압 진단자 ()

약물 치료자 (%)

지속 치료자 (%)

2006

5,417,165

92.4

45.2

2008

6,231,677

92.1

54.8

2010

7,031,206

92.3

58.3

2012

7,725,562

93.5

62.0

2014

8,262,337

93.0

64.7

2016

8,921,829

92.1

64.3

[표2] 고혈압 진단 및 약물 치료 현황 (2006년~2016년)


대한고혈압학회 조명찬 이사장은 “고혈압이 뇌졸중, 심장마비 등 생명을 위협하는 질병을 초래할 수 있다는 인식은 어느 정도 형성돼 있지만, 고혈압 관리를 위해 지속적인 치료가 필수적이라는 것에 대한 인식은 여전히 낮다”며 “합병증 발생과 사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치료를 통한 혈압 관리가 중요하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 당뇨병 진단자 10년 사이 두 배로 증가, 지속 치료자는 절반 수준
대한당뇨병학회에 따르면 국내 당뇨병 유병인구 는 약 502만 명에 달하며, 실제로 당뇨병으로 진단 받은 사람 또한 2006년 약 223만 명에서 2016년 약 428만 명으로 10년 사이 두 배 증가했다. 그러나 당뇨병으로 진단 받은 사람 중 지속적으로 약물 치료를 받은 경우는 234 만 명(전체 진단자의 55%)에 불과했다.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추정하는 2016년 당뇨병 조절률(당화혈색소 6.5%미만)이 32.9%에 불과한 이유는 낮은 투약 지속성으로 인한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당뇨병으로 진단 받은 사람의 대부분(85%)이 고혈압이나 이상지질혈증을 동반하고 있어 종합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대한당뇨병학회 박경수 이사장은 “최근 당뇨병에 대한 경각심이 많이 높아졌는데 당뇨병 인구는 빠른 속도로 늘어나고 있다."고 강조하며 “적극적인 혈당 관리로 합병증을 예방하고 평생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식사, 운동 등 생활습관의 개선과 함께 꾸준한 약물 치료가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연도

당뇨병 진단자 ()

약물 치료자 (%)

지속 치료자2 (%)

2006

2,230,368

76.5

38.0

2008

2,555,340

78.1

48.3

2010

2,953,737

78.0

50.0

2012

3,383,668

77.8

53.2

2014

3,776,381

76.8

53.9

2016

4,277,280

76.1

54.8


[표3] 당뇨병 진단 및 약물 치료 현황 (2006년~2016년)


3대 만성질환 중 이상지질혈증 진단자 최다, 그러나 치료제 지속 복용 비율은 최저
한국지질동맥경화학회에 따르면 2016년 이상지질혈증으로 진단 받은 사람은 약 1,079만 명으로 3대 만성질환 중 가장 많았다. 또한, 2006년부터 10년 사이 이상지질혈증 진단자 수는 약 3.2배 증가해, 고혈압 1.6배, 당뇨병 1.9배에 비해 가장 높은 상승폭을 보였다.  한편 2014-2016년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이상지질혈증 유병률 을 우리나라 전체 인구에 적용한 결과 이상지질혈증 유병인구는 약 1,395만 명으로 추정되어, 전체 이상지질혈증 유병자 중 300만 명 이상은 아직 진단을 받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3대 만성질환 중 이상지질혈증으로 진단 받은 사람이 가장 많음에도 불구하고, 2016년 이상지질혈증 치료를 위해 지속적으로 치료 받은 사람은 전체 진단자의 약 3분의 1(약 363만 명)로 3대 만성질환 중 가장 낮아, 꾸준한 약물치료를 통한 콜레스테롤 수치 관리의 필요성이 제기됐다. 한편,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추정하는 2016년 유병자 기준 고콜레스테롤혈증 조절률 은 약 41%에 불과해 전체 고콜레스테롤혈증 유병자의 절반 이상이 질병을 제대로 조절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도

이상지질혈증 진단자 ()

약물 치료자 (%)

지속 치료자2 (%)

2006

3,319,843

52.8

13.1

2008

4,353,029

56.7

19.2

2010

5,867,162

58.6

23.8

2012

7,240,921

59.2

27.7

2014

8,914,861

59.1

30.1

2016

10,787,188

61.2

33.7


[표4] 이상지질혈증 진단 및 약물 치료 현황 (2006년~2016년)


한국지질동맥경화학회 김효수 이사장은 “이상지질혈증을 가진 사람이 약물 치료를 지속하는 비율이 가장 낮다는 것은 그만큼 많은 사람들이 심뇌혈관질환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는 것”이라며 “학회 차원에서도 이상지질혈증 관리의 필요성과 예방 교육을 강화하고, 약물 치료 효과에 대한 인식 개선도 함께 도모하겠다”고 밝혔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질병관리청 감염병 실험실 운영 표준, 글로벌 확산 첫발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감염병 국가표준실험실 표준운영지침」(이하 「표준운영지침」) 및 「감염병 국가표준실험실 인정요건」(이하 「인정요건」) 국문판과 영문판을 질병관리청 누리집을 통해 공개한다. 이는 우리나라의 감염병 진단검사 실험실의 표준 운영체계를 널리 알려, 국제적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첫걸음이다. 질병관리청은 지난 2019년, ‘감염병 국가표준실험실 인정체계’를 도입하여 표준체계 운영 역량이 객관적으로 입증된 실험실을 ‘감염병 국가표준실험실’로 인정해왔다. 이러한 표준체계에 기반한 실험실 운영은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신속한 표준검사법 확보 등 위기 대응의 근간이 되었다. 이번에 공개된 「표준운영지침」은 국제 표준을 기반으로 하면서, 검사 질 관리, 위기 대응 등 공공 실험실의 특성을 반영했다. 특히, 검사의뢰부터 결과 회신까지의 모든 검사 과정에 대한 절차와 기준을 정하고, 검사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장비, 인력, 환경 등의 실험실 운영 전반에 대한 관리 기준과 절차도 체계화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인정요건」은 감염병 국가표준실험실 운영을 위한 필수 요건이며, 이는 질병관리청에서 표준실험실 인정을 위한 평가 기준으로 사용된다. 지침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난치성 이상운동질환, 새 치료 길 열려..."뇌심부자극기 이식 환자, 고집적 초음파 수술 가능"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신경외과 장진우 교수(사진) 연구팀이 세계 최초로 뇌심부자극기를 제거하지 않고 고집적 초음파 수술을 시행해 무도증 환자를 성공적으로 치료했다. 무도증은 얼굴, 팔, 다리 등 신체의 여러 부위에서 갑작스럽고 불규칙한 움직임이 발생하는 중증 이상운동질환이다. 유전성 신경질환이나 고혈당에 의한 당뇨병성 신경병증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악물 치료로 해결이 되지 않는 경우 뇌심부자극기를 이식해 치료를 시도하지만 뇌심부자극수술에도 반응이 없는 난치성 무도증 환자의 경우 다른 치료의 대안이 없었다. 최근, 고집적 초음파 수술이 새로운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지만, 아직까지 무도증 환자에서 수술 효과가 입증되지 않았고, 체내 이식된 뇌심부자극기의 금속 전극이 MRI 영상의 정확도를 떨어뜨리고 초음파 에너지 전달을 방해해 전극이 삽입된 상태에서 추가적 초음파 수술을 시도하는 것 자체가 금기시 여겨져 왔다. 장진우 교수팀은 2년 전 담창구(Globus Pallidus)에 미국 대학병원에서 뇌심부자극기를 이식했으나 치료 효과가 없었던 69세 무도증 남성 환자에게 뇌심부자극기의 제거 없이 이차 수술로 고집적 초음파 수술을 시행했다. 연구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