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7 (수)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의료ㆍ병원

무지외반증의 모든것

국내 족부수술팀 무지외반증 비절개교정술로 치료부담개선 성공

연세건우병원 족부전담팀(박의현,주인탁,배의정,이호진,유태욱 원장)에서 최근 다시 한 번 진보된 술식을 통한 치료부담 개선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병원은 이미 지난해 62nd Annual Congress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와 국제족부학회(AOFAS) instride된 Korean foot and ankle society 모두 무지외반증 주제자로 선정되어 전 세계에 국내 무지외반증 수술에 우수성을 알린바 있다


중기 변형환자, 비절개 교정술로 진행

발은 매우 작은 공간에 수 많은 인대,신경,혈관조직이 있고, 무지외반증은 진행형 질환이기 때문에 주변조직 손상과 발균형 붕괴로 이어지기 전 수술치료가 중요하다. 다만 과거 무지외반증 수술은 이중절개를 통해 뼈만 깍아 봉합하던 방식 탓에 치료부담이 큰 수술로 여겼다.

그러나 지난 2011년 국제족부 SCI저널 FAI에 게재된 연세건우병원 족부의료진의 단일절개 만으로 뼈에 실금을 내어 내측으로 돌려 정렬을 잡아주는 복합교정술 논문을 통해 이제 정형외과 수술임에도 빠른 회복이 가능한 수술로 변모하였다.


박의현 병원장은 “복합교정술을 시행한 뒤 빠른회복 뿐 아니라 양측무지외반증 동시교정에도 성공했다. 다만 아쉬움이 남는 것은 무지외반증은 변형 각도에 따라 초기-중기-말기로 구분된다. 따라서 병기에 맞는 수술법에 대한 부분이었다.”고 말하며“이를 위해 나를 비롯한 세계 많은 족부의사들이 변형각도가 심하지 않은 중기환자에 술기 연구를 계속해왔다. 그 결과 최근2,3년간 국제SCI저널 FAI와 International Orthopaedics 과 같은 SCI저널에 꾸준히 M,inimally invasive surgery for hallux valgus 주제의 무봉합 비절개 교정술이 보고되었고, 임상예후도 우수하게 나타났다.”


수술적용 여부, 빠른 내원이 관건

이들이 시행하는 수술의 장점은 수술 후 꿰매는(봉합)과정이 없는 비절개 수술이란 점이다. 따라서 절개부위 회복을 위한 치료지연 및 수술 후 흉터에 대한 미용적 부담이 크게 개선되었다. 다만 수술을 바란다면 변형이 더 진행되기 전 병원을 찾아야 한다. 현재 비절개 수술 가능환자는 변형각도가 25도 내외 중기 환자만 가능하다. 따라서 보다 적은 부담으로 무지외반증 치료를 바란다면 변형이 더 진행되기 전 해당수술이 가능한 족부의사가 있는 족병원을 찾길 바란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식약처, 디지털의료기기 관련 가이드라인 6종 제·개정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 소속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원장 강석연)은 「디지털의료제품법」 하위규정 시행에 따라 디지털의료기기 관련 가이드라인 1종을 제정하고 5종을 5월 7일 개정했다고 밝혔다. 주요내용은 디지털의료기기소프트웨어 특성을 반영한 허가신청서, 첨부서류 등 작성 방법을 안내하고, 인공지능·가상융합기술 등이 적용된 디지털의료기기에 대해 ▲제품 분류 판단기준과 흐름도 정비 ▲기술별 제품 사례 안내 ▲허가 제출자료의 범위 정비 및 작성방법 예시 등이다. 붙임 가이드라인 제·개정 주요 내용 구분 제목 목적 주요사항 제정 디지털의료기기소프트웨어 허가 심사 가이드리인 독립형디지털의료기기소프트웨어의 허가·심사 시 기술문서·첨부자료 작성방법 등 제시 ① 독립형 디지털의료기기소프트웨어 관련 형태적·기능적 특성에 따른 안내 ② 독립형 소프트웨어 신청서 작성방법 및 예시, 성능평가 지표(AUC,민·특이도) 등 제시 ③ 「디지털의료제품 허가·인증·신고 심사 및 평가 등에 관한 규정」에 따른 첨부서류 안내 개정 의료기기 소프트웨어 허가 심사 가이드리인 내장형 소프트웨어의 허가·심사 시 기술문서·첨부자료 작성방법 등 제시 기존 내장형·독립형 소프트웨어 관련 포괄적 내용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여럿이 자는 환경에서도, ‘내 숨소리’로 ..."수면 상태 분석한다" 분당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윤인영 · 이비인후과 김정훈 교수 연구팀이 에이슬립 홍준기 CTO 연구팀과 공동으로 ‘여럿이 함께 수면하는 환경에서도 각 개인의 숨소리를 분리해 개인별 수면 단계를 정확히 구분’하는 인공지능(AI) 모델의 성능을 검증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수면다원검사는 수면의 질과 구조를 정밀하게 평가하는 표준검사다. 하지만 여러 센서를 부착해야하는 불편함, 높은 비용으로 인해 일상적으로 반복 측정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웨어러블 기기와 수면 측정 애플리케이션이 주목 받고 있지만 그 정확도는 아직 수면다원검사의 수준에는 미치지 못하는 실정이었다. 또한, 기존의 수면 분석 기술들은 대부분 혼자 수면하는 환경을 기준으로 설계돼있어 실제처럼 두 명 이상 수면하는 경우에는 숨소리, 뒤척임, 코골이 등 타인의 소음으로 인해 개인별 수면 상태를 정확하게 분석하기는 어려웠다. 이에, 연구팀은 숨소리만으로 수면 단계(▲깨어있음 ▲렘(REM) 수면 ▲얕은 수면 ▲깊은 수면)를 예측하는 AI 모델을 개발, 공동 수면 상황에서도 개인마다의 수면 단계를 정확하게 분류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팀은 성인 44쌍(총 88명)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