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6 (화)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빙판길 넘어지고 두통‧어지럼증‧구역‧구토 증세 있으면 ...즉시 병원 찾아야

신속한 치료 놓이면 후유증 동반 , 수개월 후 반신마비‧보행,언어장애 생기면 ‘만성 경막하 출혈’ 의심

겨울철에는 빙판길에서 넘어지는 사고가 빈번히 일어난다. 보건복지부 자료에 따르면, 2011년~2015년 낙상으로 입원한 환자 중 다른 계절에 비해 겨울철 낙상사고 발생 비율이 11% 높았다. 낙상은 단순한 찰과상으로 끝날 수도 있지만 심하면 손목‧고관절‧척추 등의 골절로 이어질 수 있다. 심하게 미끄러져 머리를 다치는 경우도 종종 발생한다. 머리를 강하게 부딪히면 뇌진탕 증세인 두통, 어지럼증, 구토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보통 2주 내로 호전을 보이며 4주 정도면 대부분 회복되지만, 증상이 지속되면 뇌진탕 후 증후군을 의심해야 한다.

 

두통‧어지럼증 등 증상 있는데 검사 문제없으면 뇌진탕 의심

머리를 다쳐 발생하는 주요 급성 증상은 두통, 어지럼증, 구역, 구토 등이다. 낙상 후 이러한 증상이 있다면 병원에서 정확한 진단을 받아야 한다. 대부분의 경우 뇌진탕인 경우가 많은데, 뇌진탕은 뇌 구조의 이상은 없으면서 외부 충격으로 인해 일시적인 기능부전이 생기는 경우를 말한다. 강동경희대병원 신경외과 신희섭 교수는 “두부 외상 후 두통, 어지럼증, 구역, 구토 등의 증상이 있어 CT 또는 MRI 등의 영상 검사를 했는데 골절, 뇌출혈 등의 뚜렷한 이상 소견이 발견되지 않는 경우에 뇌진탕을 의심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일반적인 뇌진탕의 진단 기준

1) 두부 외상 후 의식은 비교적 명료하다.


2) 20분 미만의 의식 소실이 있다.

3) 마비 등의 국소의 신경학적 결손이 없다.

4) 외상 후 기억 소실이 24시간 미만이다.

뇌진탕이 의심이 된다면 CT만으로도 영상 검사는 충분한 경우가 대부분이며, MRI가 필요한 경우는 드물다.

 

뇌진탕, 2~4주 지나면 자연스럽게 회복 가능

많은 경우, 뇌진탕으로 인한 증상은 외상 발생 2주 전후로 호전을 보이기 시작해 4주 정도면 해소된다. 오랜 시간 지속되는 후유증을 남기는 경우는 드물다. 약물치료 및 물리 치료 등의 보존적 치료를 시행하면 일부 증상은 단기간에 호전될 수 있지만, 완전한 회복에는 기본적인 회복 기간(2주~4주)이 필요하다. 이 기간 동안 적극적인 치료를 시행하여 증상을 조절해야 회복기간을 단축시키고, 일상 생활로의 빠른 복귀가 가능하다.

 

증상 수개월 지속되면 ‘뇌진탕 후 증후군’ 가능성

환자에 따라 뇌진탕 증상이 몇 달씩 지속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경우를 ‘뇌진탕 후 증후군’이라고 한다. 두통, 어지럼증, 후경부 통증 등 뇌진탕 발생 시의 증상이 지속된다. 두통의 만성화, 전정기관 기능의 저하, 경추 근육의 경직 및 약화 등이 주요 이유이다. 이 외에도 통증이 지속됨에 따라 우울감, 불안장애를 호소하는 경우도 있으며, 지속적인 약물치료로 인한 소화 기능 저하가 동반되기도 한다. 드물게는 인지기능의 저하, 단기 또는 장기 기억의 저하를 보이는 경우도 있는데, 이것은 뇌의 기질적, 기능적인 문제로 인한 것일 수도 있지만 우울감, 집중력 저하로 인한 증상일 수도 있다.

 

가볍다고 방치하지 말고 증상 지속되면 병원 진료받아야

뇌진탕은 비교적 가벼운 두부 외상이다. 하지만 두통, 구역 등의 증상은 심하게 나타나고 때때로 길게 지속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머리를 다친 후 두통, 어지럼증, 구역, 구토 등의 증상이 발생하면 반드시 병원을 방문해 외상성 뇌 손상이 있는지 정확한 진단을 받아야 한다. 신희섭 교수는 “통증, 어지럼증 등 신체 증상에 대한 치료와 더불어, 우울, 불안감등에 대한 정신건강의학적인 접근이 동반되어야 하는 경우도 있다. 증상에 맞는 치료를 시행하여야 빠르고 완전한 회복을 얻을 수 있다.”고 당부했다.

 

‘만성 경막하 출혈’, 뇌졸중과 비슷하나 CT로 간단히 진단 가능

만약 낙상 후 별다른 증상이 없다가 수주~수개월 후 두통, 반신마비, 보행장애, 언어장애 등의 증상이 생기면 ‘만성 경막하 출혈’을 의심해야한다. 두부 외상 당시 매우 작은 혈관이 손상 받아 출혈이 생기면 두개강 내에 서서히 피가 고이게 된다. 어느 정도 피가 고일 때 까지는 증상이 없지만 어느 순간 갑자기 증상이 발생한다. 만성 경막하 출혈은 뇌졸중의 증상과 비슷해 오인하기 쉬우나 뇌전산화단층촬영(CT)만으로 간단히 진단이 가능하고 수술적 치료로 완치가 가능하다.

ㅡ외상 발생 후 이런 증상이 있으면 즉시 병원을 방문하자

 - 구역질, 구토를 동반하는 두통


- 의식이 혼미해지며 졸음이 오는 경우

- 의식을 잃는 경우

- 말이 어눌해진 경우

- 물체가 두 개로 보이는 경우

- 코나 귀로 맑은 액체나 피가 나오는 경우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그린제약,의약품 제조업자 등의 준수사항 위반 으로...다수 품목 행정 조치 받아 그린제약(충북 음성 소재)이 의약품 제조업자 등 준수사항 위반으로 다수의 품목이 1개월 제조업무정지 및 과징금 처분을 받았다. 과징금 처분.14,100,000원이 부과된 제품은 '그린관장약(농글2025'으로 그린제약의 효자 품목으로 알려지고 있다.제조업무정지 1개월(2025. 4. 28. ~ 2025. 5. 27.) 대상품목:은 그린나잘스프 레이모이쳐액(옥시메타졸린염산염), 그린오피에이액(오토프탈알데하이드), 그린클로르헥 시딘크림(클로르헥시딘글루콘산염액), 그린포비돈브러쉬액(포비돈요오드), 그린포비돈세 정액(포비돈요오드), 그린포비돈스틱스왑(포비돈요오드) 그린포비돈요오드액, 그린헥시디 놀액, 그린헥시디놀액2%, 그린헥시가글액0.12%(클로르헥시딘글루콘산염액), 그린헥시 딘브러쉬액(클로르헥시딘글루콘산염액), 그린헥시딘세정액4%(클로르헥시딘글루콘산염 액), 그린헥시딘스틱스왑액, 그린헥시딘액 5%(클로르헥시딘글루콘산염액), 아나프리스프 레이, 아크원팁스왑액(살리실산) 등이다. 식약처에 따르면 그린제약은 "약사법 제38조 제1항 및 의약품 등의 안전에 관한 규칙제48조제9 호가목[별표1]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등을 위반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 홈페이지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