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9 (화)

  • 맑음동두천 11.6℃
  • 맑음강릉 17.6℃
  • 맑음서울 13.7℃
  • 맑음대전 14.3℃
  • 맑음대구 16.2℃
  • 맑음울산 11.6℃
  • 맑음광주 15.2℃
  • 맑음부산 13.3℃
  • 맑음고창 9.9℃
  • 맑음제주 13.9℃
  • 맑음강화 9.1℃
  • 맑음보은 11.8℃
  • 맑음금산 11.6℃
  • 맑음강진군 12.0℃
  • 맑음경주시 13.5℃
  • 맑음거제 13.6℃
기상청 제공

/김희수총장 자서전/76/삼한갑족(三韓甲族) 광산김씨(光山金氏)의 위상

광산 김씨 일가를 위한 일이라면 모든 여력을 다 쏟아

나는 광산 김씨 문안공파 38세손으로 태어나 어릴 때부터 유교의 법도 아래 자라났으며 보학(譜學)의 중요성을 누누이 들어왔다. 이러한 환경은 나의 심중에까지 깊이 뿌리 내려 광산 김씨의 자손임을 항상 자랑스럽게 여겼고, 광산 김씨 일가를 위한 일이라면 내 모든 여력을 다하여 힘써왔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은 성씨가 金氏이고, 김씨는 모두 280여개의 본관이 있을 정도로 번창하다. 그 중에서도 광산 김씨 일가는 김씨의 대표적인 명문가 중의 하나이다.
우리 광산 김씨는 삼한갑족(三韓甲族)이라는 말을 자주 사용하는데 삼한은 마한, 진한, 변한및 신라, 고려, 조선의 삼조(三朝)를 가리키는 것으로 우리나라 역사 대대로 최고의 가문이라는 자부심과 자긍심이 담긴 뜻이다. 우리나라 역사 전 시대에 걸쳐 학문이나 관위(官位)에서 두드러진 조상을 둔 집안이 아니면 감히 삼한의 갑족, 벌족(閥族)이라는 말을 함부로 쓸 수가 없다.

 

평소 건강한 체질로 알려진 김희수총장이 생로병사의 비밀에 출연했다.


우리 일가는 신라 시대의 대보공(大輔公) 휘 알지(閼智)의 후손으로 신라 역대 56분의 왕 중에서 38분의 왕을 배출한 왕족이었다. 시조공 휘 흥광(興光) 은 왕자였으나, 장차 국난이 일어날 것을 미리 알고 경주를 떠나 광주의 서일동(지금의 담양군 평장동)에 은거하면서 시적(始籍)하게 되었다. 고려 시대에 정2품직인 평장사(平章事)를 많이 배출하여 마을 이름을 평장동(平章洞)이라 불렀다. 현재 담양군 평장동에는 시조공의 단소와 취사당 등 종중 건물이 들어서 있다.


고려조에 이르러는 문안공 휘 양감(良鑑)께서 동방 이학(理學)의 종사(宗師)로서 공맹(孔孟)의 사학(斯學)을 우리나라에 처음 도입하였으며 증직(贈職)을 제외한 현직의 정승 상신만 12분 이상 배출한 대단한 벌족이었다. 또한 고려가 멸망한 후 조선 건국에 참여하여 개국원종공신(開國原從功臣)이 된 휘 천리(諱 天理/一名 天利)와 아들 휘 희선(諱 希善) 이래로 새나라 조선의 조정에서 현달한 분들도 많지만 끝까지 절의(節義)를 지켜 두문동(杜門洞)으로 들어간 72현(七十二賢) 중에도 휘 승길(承吉), 휘 약시(若時), 휘 자진(子進) 등 3분이 있었다.


고려조에 벌써 드러난 가문이던 우리 광산 김씨는 조선조에 와서 더욱 크게 가문을 일으켰다. 삼한갑족 중 첫손을 꼽게 된 것도 조선조에서 이룩한 위대한 업적이 주가 되었는데, 총 265명의 문과 급제자를 배출하였으며, 상신이 5명, 대제학이 7명, 청백리가 4명, 왕비가 1명이 나왔으며, 특히 대제학 7명은 광산 김씨를 더욱 빛나게 했다. 한국 씨족 중 최고인 7대 제학(七大提學)으로 3대 대제학, 부자 대제학, 형제 대제학 등의 기록을 세웠다.


우리 일가가 3조(朝)를 통한 종합적 평가에서 명문거족(名門巨族)이며 갑족(甲族)인 이유를 요약한 글이 있어 여기에 적어본다.


첫째는, 대보공 김알지를 뿌리로 하고 신라 왕자 흥광을 시조로 하여 2000여 년 간을 연면(連綿)하게 계통을 유지해 왔다는 점이다.


둘째는, 3세(世) 휘 길(佶)이 고려조 건국 공신으로 등장한 후 전·후기를 통하여 많은 명신들을 배출하여 민족 통일의 촉진, 문화 발전, 외침의 격퇴 등에 주도적 역할을 담당한 점이다.


셋째로, 조선조에 도덕과 학행이 뛰어난 분들이 많이 나와서 유학의 대통(大統)을 계승하고 나아가서는 예학의 태두(泰斗)로서 조선 사회의 생활 순화에 공헌하는 동시에 많은 선비들이 이 나라의 학문 발전에 전력했다는 점이다.


넷째로, 왜적의 침범과 병자호란 때에 나라를 지키다가 순절(殉節) 분사(焚死)한 선비와 왕의 난정(亂政)을 간(諫)하다가 낙향하면서도 지조를 지킨 선비들이 많았고 한편 효행과 부도(婦道)에서 뛰어난 분이 많았다.


다섯째로, 권세를 탐하거나 강자에 아첨하지 않고 언제나 공명정대하게 처신하고 지조를 지킨 의인이 많았을 뿐 아니라 특히 한말(韓末)과 왜정(倭政) 치하에서 유명 무명의 민족 독립 운동의 열사(烈士)도 적지 않았다는 점 등이다.


어릴 적부터 조상에 대한 계보와 혈통에 대해 많은 이야기를 들어왔고, 우리 집 대청에는 감실(龕室)까지 모셔져 있었기 때문에 나도 모르는 사이에 가문에 대한 긍지와 자부심이 심어졌을 것이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식약처,‘화장품 안전성 평가 제도 도입 지원사업’ 추진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우리나라 화장품 산업 특성을 반영한 체계적 지원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산업계의 화장품 안전성 평가제도 인식·준비 현황을 조사하고 제도 준비과정에서의 고충·지원 수요를 파악하기 위한 실태조사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이번 실태조사는 국내 화장품 업계의 안전관리 역량을 강화하고 K-화장품 수출 확대를 지원하기 위한 ‘화장품 안전성 평가제도 도입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된다. 아울러, 식약처는 지원사업을 통해 글로벌 규제*와 조화한 화장품 안전성 평가 제도 도입(’26년 예정) 및 단계적 시행을 앞두고, ▲평가자료 작성에 관한 맞춤형 컨설팅 제공 ▲평가제도 안내 및 애로사항 청취를 위한 업계 간담회 개최 등 업계 지원을 강화한다. 산·학·연 안전성 평가 전문가, 식약처, 협회 등 전문가 자문단을 구성하여 화장품 중소수출업체 등을 대상*으로 ▲안전성 평가자료 작성 요령 ▲평가자료 검토 ▲평가기술 자문 등 맞춤형 컨설팅을 제공할 계획이다. 또한 작년*에 이어 올해에도 지역 화장품 단체를 대상으로 제도 도입 계획 안내 등 안전성 평가 제도에 대한 산업계의 이해를 돕고 현장 의견 수렴을 위한 간담회를 개최한다.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단순 미용 아닌 기능적 문제 유발하는 ‘안검하수’...노화, 외상, 신경 마비 등 원인 일 수도 나이가 들면서 눈꺼풀이 처지고 시야가 좁아지는 느낌을 받는다면 ‘안검하수’를 의심해 볼 수 있다. 이는 단순한 미용 문제가 아니라 기능적인 문제로 일상생활에 불편을 주고, 심한 경우 시야 장애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 순천향대 부천병원 안과 장선영 교수와 ‘안검하수’에 대해 자세히 알아본다. 장선영 교수는 “안검하수는 윗눈꺼풀이 비정상적으로 처지면서 눈동자를 가리는 상태로, 위 눈꺼풀과 아랫눈꺼풀 사이 틈새의 높이가 짧아지는 것을 뜻한다. 선천적일 수도 있고 노화, 외상, 신경 마비 등으로 인해 후천적으로 생길 수도 있다”며 “노화로 인한 눈꺼풀 근육의 약화가 가장 흔한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그 외 ‘만성 진행성 외안근 마비’ 등 희귀 난치성 질환, 근무력증 등으로 인한 안검하수도 발생할 수 있다. 근무력증으로 인한 안검하수의 경우 보통 약물로도 치료가 가능하다. 안검하수가 있으면 눈이 작아 보이거나 피곤하고 졸려 보이는 인상을 줄 수 있으며, 시야가 가려져 눈을 제대로 뜨기 위해 이마에 힘을 주고 눈썹을 끌어올리는 등의 보상 행동이 나타난다. 눈꺼풀 피부가 늘어져 쳐져 가장자리 부분이 허물어 쓰라림을 호소하는 경우도 있다. 장 교수는 “눈꺼풀을 손으로 들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