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7 (일)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의료기기ㆍ건강식품ㆍ화장품

국내 의료기기 생산실적 7조원 돌파...치과용임플란트, 다초점인공수정체 수요 증가

수출‧입도 전년대비 각각 8.9%, 13.3%씩 증가...국내 의료기기 산업,생산‧수출‧수입 전반 성장세 뚜렷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이의경)는 ‘19년 국내 의료기기 생산실적이 7조 2,794억원으로 `18년(6조 5,111억원) 대비 11.8% 증가하였다고 발표하였다.


의료기기 생산실적은 최근 5년간 해마다 평균 9.8%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는 ‘19년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인 2.0%를 약 5배 상회하는 수준이다. 

수출‧입 또한 전년대비 각각 8.9%, 13.3%씩 증가하여 국내 의료기기 산업이 생산‧수출‧수입 전반에 걸쳐 성장세에 있는 것으로 나탔다.국내 의료기기 시장규모는 ‘19년 7조 8천억원으로 지난 5년간 연평균 10.3%씩 확대되고 있다.


< 연도별 의료기기 생산실적 및 시장규모 >



의료기기 생산 품목별로는 치과용임플란트*(1조 3,621억), 범용초음파영상진단장치*(4,706억), 성형용 필러(2,435억) 순이었으며, 상위 10개 품목이 전체 생산의 41.1%(2조 9,953억)를 차지하였다.  

전년대비 생산액 증가율이 가장 높은 품목은 치과용전산화단층촬영장치*(75.3%)와 치과용임플란트(26.9%)이며,  특히 치과용임플란트는 3년 연속 생산 1위를 차지하였는데 이는 인구 고령화와 건강보험 적용 확대에 따른 것으로 분석됩니다. 
  

의료기기 수출 품목 1위는 범용초음파영상진단장치(5,615억)가 3년 연속 차지하였고, 다음으로 치과용임플란트(3,640억), 성형용 필러(2,549억) 순이었다. 


수출액 증가율 1위 품목은 치과용임플란트(33.9%)였으며, 중국, 독일, 루마니아에 수출이 증가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국가별 수출액은 중국 7,152억원, 미국 6,756억원, 독일 2,763억원 순이었다.


수출 상위 15개 국가 중 아랍에미리트(161.1%↑), 베트남(35.8%↑), 프랑스(24.6%↑)에 진단용X선 촬영장치, 개인용온열기, 유전자검사시약 등 의료기기 수출이 크게 증가하였다.

의료기기 수입 품목 1위는 3년 연속 ‘매일착용 소프트콘택트렌즈’ (1,771억)가 차지하였다.


전년에 이어 다초점인공수정체(73.8%)의 수입 증가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백내장 수술환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등 사회 고령화에 따른 영향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체외진단용 시약의 ‘19년 생산액은 3,780억원, 수출액은 5,012억원으로 전년대비 각각 9.2%, 3.1% 감소하였으며 수입액은 5,128억원으로 11% 증가하였다.


이번 실적은 코로나19가 발생하기 이전인 ‘19년 실적으로 코로나19 진단시약의 생산‧수입‧수출 실적이 반영되지는 않았다.


다만 작년 의료기기 총 생산액의 5.2%, 수출액의 11.6%를 차지하고, 고위험성감염체면역검사시약* 등이 2년 연속 생산‧수출액 상위 30위내 포진하고 있어 체외진단기기 분야의 성장 가능성이 이미 통계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20년 코로나19 체외진단용 시약의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체외진단용 의료기기의 안전성 확보와 국제경쟁력 강화를 위해「체외진단의료기기법」이 제정되는 등 체외진단용 시약 분야는 지속적으로 규모가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식약처는 작년 「의료기기산업 육성 및 혁신의료기기 지원법」(의료기기산업법), 「체외진단의료기기법」 제정을 통해 의료기기산업 육성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였다.


올해 의료기기산업법 과 체외진단의료기기법 본격 시행을 통해 우수한 의료기기의 신속한 제품화를 지원하고 국민 건강 증진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1. 연도별 생산·수출·수입실적 총괄 현황

 

1-1) 연도별 생산실적

(단위: 개소, %, , 백만원)

구분

업체수

품목수

운영인원

생산금액

현황

증감률

현황

증감률

현황

증감률

현황

증감률

2015

2,992

7.4

13,424

5.1

47,802

16.5

5,001,618

8.6

2016

2,943

1.6

14,071

4.8

52,253

9.3

5,603,064

12.0

2017

3,283

11.6

14,855

5.6

57,595

10.2

5,823,155

3.9

2018

3,425

4.3

15,082

1.5

61,464

6.7

6,511,135

11.8

2019

3,570

4.2

15,705

4.1

64,470

4.9

7,279,384

11.8

업체수 : 제조업체 중 생산실적을 보고한 업체

 

1-2) 연도별 수출실적

(단위: 개소, %, , 천달러, 백만원)

구분

업체수

품목수

운영인원

수출금액(천달러)

환산금액(백만원)

현황

증감

현황

증감

현황

증감

현황

증감

현황

증감

2015

849

4.4

5,844

8.6

25,852

13.2

2,710,715

5.2

3,067,147

13.0

2016

886

4.4

5,908

1.1

28,049

8.5

2,918,523

7.7

3,386,946

10.4

2017

931

5.1

6,505

10.1

29,099

3.7

3,164,210

8.4

3,578,215

5.6

2018

979

5.2

6,692

2.9

31,732

9.0

3,610,213

14.1

3,972,317

11.0

2019

1,003

2.5

7,208

7.7

34,876

9.9

3,709,929

2.8

4,324,479

8.9

업체수 : 제조업체 중 수출실적을 보고한 업체

한국은행 2018년 평균환율 1,165.65

1-3) 연도별 수입실적

(단위: 개소, %, , 천달러, 백만원)

구분

업체수

품목수

운영인원

수입금액(천달러)

환산금액(백만원)

현황

증감

현황

증감

현황

증감

현황

증감

현황

증감

2015

2,308

6.3

27,259

6.3

22,777

12.9

2,944,056

0.9

3,331,170

6.5

2016

2,078

10.0

25,800

5.4

25,632

12.5

3,151,367

7.0

3,657,161

9.8

2017

2,257

8.6

28,814

11.7

30,650

19.6

3,495,526

10.9

3,952,881

8.1

2018

2,413

6.9

28,531

1.0

34,858

13.7

3,888,991

11.3

4,279,057

8.3

2019

2,508

3.9

29,257

2.5

37,893

8.7

4,159,915

7.0

4,849,005

13.3

업체수 : 수입업체 중 수입실적을 보고한 업체

한국은행 2019년 평균환율 1,165.65

 

2. 연도별 국내 의료기기 시장규모

(단위: 백만원, 천달러, %)

구분

생산

수출

수입

무역수지

시장규모

2015

5,001,618

3,067,147

(2,710,715)

3,331,170

(2,944,056)

264,023

(233,341)

5,265,641

2016

5,603,064

3,386,946

(2,918,523)

3,657,161

(3,151,367)

270,215

(232,844)

5,873,279

2017

5,823,155

3,578,215

(3,164,210)

3,952,881

(3,495,526)

374,665

(331,316)

6,197,820

2018

6,511,135

3,972,317

(3,610,213)

4,279,057

(3,888,991)

306,739

(278,778)

6,817,874

2019

7,279,384

4,324,479

(3,709,929)

4,849,005

(4,159,915)

524,526

(449,986)

7,803,910

해당연도 평균 환율을 적용하여 원화로 계산하였으며, ( )은 천달러 단위임

3. 품목별 상위 10위 생산·수출·수입 현황

3-1) 생산실적 상위 10위 품목 현황

(단위 : 백만원, %)

순위

품목명

생산금액

비중

1

치과용임플란트고정체

984,234

13.5

2

범용초음파영상진단장치

470,607

6.5

3

치과용임플란트상부구조물

377,930

5.2

4

조직수복용생체재료

243,548

3.3

5

매일착용소프트콘택트렌즈

241,248

3.3

6

치과용임플란트시술기구

177,741

2.4

7

치과용전산화단층촬영엑스선장치

157,399

2.2

8

의료영상획득장치

143,146

2.0

9

개인용온열기

103,968

1.4

10

개인용체외진단검사시약

95,455

1.3

2,995,276

41.0

3-2) 수출실적 상위 10위 품목 현황

(단위 : 천달러, %)

순위

품목명

수출금액

비중

1

범용초음파영상진단장치

481,711

13.0

2

치과용임플란트고정체

224,962

6.1

3

조직수복용생체재료

218,659

5.9

4

매일착용소프트콘택트렌즈

186,762

5.0

5

개인용체외진단검사시약

132,863

3.6

6

치과용전산화단층촬영엑스선장치

111,364

3.0

7

의료영상획득장치

96,140

2.6

8

고위험성감염체면역검사시약

91,182

2.5

9

치과용임플란트상부구조물

87,333

2.4

10

개인용온열기

82,409

2.2

1,713,385

46.0

3-3) 수입실적 상위 10위 품목 현황

(단위 : 천달러, %)

순위

품목명

수입금액

비중

1

매일착용소프트콘택트렌즈

151,923

3.7

2

전신용전산화단층엑스선촬영장치

99,231

2.4

3

초전도자석식전신용자기공명전산화단층촬영장

98,220

2.4

4

관상동맥용스텐트

92,435

2.2

5

다초점인공수정체

89,706

2.2

6

인공신장기용혈액여과기

88,894

2.1

7

면역화학검사시약

76,166

1.8

8

일회용손조절식전기수술기용전극

70,970

1.7

9

인공무릎관절

68,167

1.6

10

안경렌즈

61,555

1.5

897,267

21.6

4. 국가별 상위 10위 수·출입실적 현황

4-1) 수출 상위 10개 국가 현황

(단위 : 억달러, %)

순위

국가

2018(순위)

2019

수출액(비중)

증감률

1

중국

5.65

(2)

6.14

(16.5)

8.7

2

미국

6.19

(1)

5.80

(15.6)

6.3

3

독일

2.57

(3)

2.37

(6.4)

7.8

4

일본

2.13

(4)

2.17

(5.8)

1.8

5

러시아

1.50

(6)

1.75

(4.7)

16.5

6

인도

1.51

(5)

1.47

(4.0)

2.7

7

베트남

0.80

(8)

1.02

(2.8)

28.1

8

이탈리아

0.76

(9)

0.75

(2.0)

0.7

9

브라질

0.73

(10)

0.75

(2.0)

3.6

10

아랍에미리트

0.30

(27)

0.74

(2.0)

146.4

10개국 합계(A)

22.14

22.96

3.7

전체(B)

31.64

36.10

2.8

비중(A/B)

70.0

63.6

 

4-2) 수입 상위 10개 국가 현황

(단위 : 천달러, %)

순위

국가

2018(순위)

2019

수입액(비중)

증감률

1

미국

18.18

(1)

19.40

(46.6)

6.7

2

독일

6.51

(2)

7.10

(17.1)

8.9

3

일본

3.79

(3)

3.88

(9.3)

2.3

4

스위스

1.7

(5)

1.81

(4.4)

6.9

5

중국

1.82

(4)

1.76

(4.2)

3.5

6

영국

0.71

(7)

0.83

(2.0)

16.5

7

프랑스

0.71

(6)

0.78

(1.9)

9.9

8

이탈리아

0.51

(8)

0.58

(1.4)

12.9

9

네덜란드

0.46

(11)

0.55

(1.3)

19.5

10

아일랜드

0.47

(10)

0.51

(1.2)

9.4

10개국 합계(A)

34.86

37.20

6.7

전체(B)

38.89

41.60

7.0

비중(A/B)

89.6

89.4

5. 생산 상위 10대 품목 중 수출 상위 10대 품목 현황(9개 품목 동일)

순위

생산

수출

1

치과용임플란트고정체

범용초음파영상진단장치

2

범용초음파영상진단장치

치과용임플란트고정체

3

치과용임플란트상부구조물

조직수복용생체재료

4

조직수복용생체재료

매일착용소프트콘텍트렌즈

5

매일착용소프트콘텍트렌즈

개인용체외진단검사시약

6

치과용임플란트시술기구

치과용전산화단층촬영엑스선장치

7

치과용전산화단층촬영엑스선장치

의료영상획득장치

8

의료영상획득장치

고위험성감염체면역검사시약

9

개인용온열기

치과용임플란트상부구조물

10

개인용체외진단검사시약

개인용온열기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의협 “허위 진단서 발급, 의료계 신뢰 훼손" 대한의사협회가 대구의 한 피부과 의원에서 발생한 '대규모 보험사기 사건'과 관련해, 해당 의사에 대한 강력한 대응 의지를 표명했다. 의협은 의료계 전체의 신뢰를 훼손하는 일탈 행위에 대해 단호한 처분과 함께 실질적 법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의협에 따르면, 해당 의원 원장 A씨는 2022년 1월부터 2023년 11월까지 약 2년간 미용 목적으로 내원한 환자 900여 명에게 백선·무좀 등의 피부질환을 진단받은 것처럼 꾸민 허위 진단서를 발급한 혐의를 받고있다. 경찰은 이를 통해 약 1만여 건의 허위 진단서가 작성됐고, 환자들이 청구한 보험금은 수원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경찰은 A씨와 직원 2명을 보험사기방지특별법 위반 등 혐의로 불구속 송치했다고 밝혔다. 의협은 성명을 통해 “의사는 국민의 생명과 건강을 책임지는 사명을 지닌 만큼 비윤리적 행동에 대해서는 엄격한 잣대를 적용해야 한다”며 “허위 진단서 발급은 의료법상 금지돼 있을 뿐 아니라 의료인의 기본 윤리의식을 저버린 중대한 범죄”라고 규정했다. 또한 의협은 해당 사건에 대해 전문가평가단 절차를 신속하고 공정하게 진행해 필요한 조치를 취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현행 법령상 의료인 단체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