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6 (화)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의료ㆍ병원

포경수술이 발기부전의 원인?

과도한 스트레스, 음주, 흡연 등 다른 원인 찾아야

남성이라면 포경수술과 발기부전에 대한 상관관계를 생각하기 마련. 특히 발기부전을 겪는 남성 중 일부는 "포경수술 때문에 발기부전이 온 것은 아닐까?"하고 의문을 품기도 한다. 포경수술 시 포피를 제거하여 신경이 둔해져 발기부전으로 이어진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에서 비롯된 것이다.


포경수술은 포피가 귀두를 과도하게 덮고 있어 분비물이 배출되지 않을 때 시행하는 수술이다. 귀두와 포피 사이에는 ‘구지’란 분비물이 발생한다. 만약 포피가 귀두를 과도하게 덮고 있을 경우 구지 등 분비물이 배출되지 않아 위생적으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포경수술을 실시하게 되는 것이다.


아담스비뇨기과 이무연 원장은 "포경수술은 자연적으로 포경이 어려운 경우, 발기 시 귀두가 완전히 노출되지 않은 경우, 구지 등 분비물이 쌓여 염증을 일으키는 경우 효과적인 해결 방법이 될 수 있다."며 "일부 발기부전 증상을 보이는 남성이 포경수술을 원인으로 여기기도 하는데 이는 잘못된 상식"이라고 전했다.


포피를 잘라냈다고 하여 발기력이 저하된다는 것은 의학적으로 근거가 분명치 않은 사실이다. 발기는 음경 안에 위치한 음경해면체, 요도해면체에 혈류가 증가하면서 나타나는 증상이다. 발기는 대뇌 속에서 발생한 성충동 등에 의해 시작되어 척수 아래에 위치한 발기중추를 자극하는 원리로 이루어진다. 특히 발기 신경은 직장, 방광, 요도, 전립선, 정낭 등에 분포해 있다. 따라서 포피를 잘라낸다고 하여 발기부전이 나타난다는 것은 잘못된 상식인 셈이다.


만약 발기부전 증상이 지속적으로 나타난다면 다른 원인을 생각해보아야 한다. 과도한 스트레스, 음주, 흡연, 불규칙한 생활 습관 등 여러 문제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해보아야 하는 것. 발기부전을 효과적으로 치료하기 위해서는 비뇨기과 전문의를 통해 정밀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효과적이다.


비뇨기과전문의인 이무연 원장은 "간혹 포경수술 중 포피를 절단할 때 귀두가 손상되어 발기부전으로 나타나는 경우도 있지만 이는 매우 드문 사례"라며 "포경수술과 발기부전은 직접적인 연관이 없으므로 발기부전 증상이 나타났다면 비뇨기과 전문의를 통해 진료를 받아보는 것이 최우선"이라고 전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그린제약,의약품 제조업자 등의 준수사항 위반 으로...다수 품목 행정 조치 받아 그린제약(충북 음성 소재)이 의약품 제조업자 등 준수사항 위반으로 다수의 품목이 1개월 제조업무정지 및 과징금 처분을 받았다. 과징금 처분.14,100,000원이 부과된 제품은 '그린관장약(농글2025'으로 그린제약의 효자 품목으로 알려지고 있다.제조업무정지 1개월(2025. 4. 28. ~ 2025. 5. 27.) 대상품목:은 그린나잘스프 레이모이쳐액(옥시메타졸린염산염), 그린오피에이액(오토프탈알데하이드), 그린클로르헥 시딘크림(클로르헥시딘글루콘산염액), 그린포비돈브러쉬액(포비돈요오드), 그린포비돈세 정액(포비돈요오드), 그린포비돈스틱스왑(포비돈요오드) 그린포비돈요오드액, 그린헥시디 놀액, 그린헥시디놀액2%, 그린헥시가글액0.12%(클로르헥시딘글루콘산염액), 그린헥시 딘브러쉬액(클로르헥시딘글루콘산염액), 그린헥시딘세정액4%(클로르헥시딘글루콘산염 액), 그린헥시딘스틱스왑액, 그린헥시딘액 5%(클로르헥시딘글루콘산염액), 아나프리스프 레이, 아크원팁스왑액(살리실산) 등이다. 식약처에 따르면 그린제약은 "약사법 제38조 제1항 및 의약품 등의 안전에 관한 규칙제48조제9 호가목[별표1]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등을 위반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 홈페이지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