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결핵협회(회장 경만호, 이하 협회)는 코로나19가 한창이던 2020년 「사각지대 결핵예방 및 지원」 사업을 통해 노인·노숙인 15만여 명을 대상으로 검진을 실시, 총 119명의 결핵환자를 발견했다.
협회는 2019년 질병관리청과 노인결핵검진 시범사업을 통해 사업의 타당성을 검토하고, 2020년 전국 19만 명의 취약계층 노인을 대상으로 본격적인 사업을 추진하여 134,478명을 검진, 98명의 결핵환자를 발견했다. 코로나19 확산 속에서도 목표의 70% 이상 검진을 실시하여 얻은 결과인 만큼 의미가 크다.
국내 연령별 결핵환자 분포를 살펴보면 전체 결핵환자 중 65세 이상이 49.1%에 달할 정도로 결핵환자의 노인 분포가 높은 편이다. 특히 결핵균에 감염되면 면역력이 저하될 경우 언제든 발병할 수 있는 호흡기 감염병이어서 노인층 결핵관리가 향후 국내 결핵퇴치사업의 성공 여부를 판가름할 것으로 보인다.
협회는 거리노숙인, 시설노숙인, 쪽방거주자, 무자격체류자 등 22,000명을 목표로 사업을 실시한 결과, 대상자의 71%에 해당하는 15,777명을 검진하였으며 21명의 결핵환자를 발견했다. 이는 인구 10만 명당 133.1명에 해당하는 수치다. 노숙인, 쪽방촌 거주자 등 사회‧경제적 취약계층은 일반인에 비해 결핵 유병률이 높으며 결핵검진의 사각지대에 놓여있다. 특히 질병예방에 대한 인식이 낮고 의료이용 접근성이 떨어져, 결핵발병 및 관리 고위험군에 속하지만 치료 비순응자가 많아 결핵관리가 어려운 상황이다. 이에 대한 보완책으로 협회는 발견된 환자 21명 전원에 대해 치료병원 및 쉼터 연계, 원격 화상 복약관리 등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사각지대 결핵문제를 해소하고자 했다.
한편 협회는 「시니어 결핵환자 복약지원」사업을 통해 전국 41명의 취약계층 결핵환자를 관리했다. 본 사업은 2016년부터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지정기탁사업으로 서울 및 경기도 일대에서 추진해왔으며, 사업의 효과성을 인정받아 2020년 7월부터 전국으로 사업을 확대했다.
의료수급권자, 독거노인, 노숙인 결핵환자 등 65세 이상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매일 화상카메라를 통해 복약 확인, 정기적으로 유선을 통해 안부를 확인하고, 월 80% 이상 복약확인 시 환자의 영양상태 및 수요를 고려하여 맞춤형 식료품, 생필품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거동불편자의 진료동행, 주거환경 개선, 지역사회 일자리사업 연계 등 추가적 생활지원을 실시하여 매년 성과를 나타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