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13 (금)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국회

한화, 두산, SK에 대한 국민연금 지분율 계속 증가

김성주의원,"시장질서 교란 기업에 응징은 커녕 면죄부" 국민연금 투자 제한 주장

최근, 경제민주화 문제, 재벌개혁 문제, 특히 국민연금의 사회책임투자, 주주권 행사문제가 큰 이슈로 떠오르고 있는 가운데, 시장을 교란시킨 재벌 기업에 대한 국민연금의 투자를 제한하는 등 주주의 권익보호에 앞장서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김성주의원(전주 덕진, 보건복지위원회)이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국민연금이 사회적 물의를 일으켰고, 시장 질서를 교란한 두산, 한화, SK 그룹 지분율을 증가 또는 유지시켜, 기업의 범죄적 행동을 용인하거나 조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벌 기업의 부도덕 행위와 국민연금의 지분율 변동

김성주의원실의 자료에 따르면, 2008년 8월 두산그룹이 횡령 및 배임 증권거래법 위반 혐의가 있었는데도, 국민연금의 지분율은 2008년 2분기 2.60%에서 3분기 2.86%로 증가했고, 2008년 4분기에는 6.4%까지 치솟고, 다시 감소세를 보이다가 2011년 2분기 1.50%까지 떨어졌다가 치솟기 시작해서 2011년 4분기에는 4.73%까지 증가했다.  

업무상 배임,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상 횡령등으로 기소된 바 있고, 2011년 11월 횡령의혹으로 조회공시를 요구했는데, 조회공시에 허위로 답해 불성실 공시법인으로 지정받은 SK그룹에 대한 연금의 지분율은 2009년 4분기 1.75%에서 증가해 20011년 4분기에 3.7%에 달했다.

한화그룹의 경우, 2008년 9월 보복 폭행사건으로 대표이사에서 물러났던 김승연 회장이 다시 대표이사로 복귀한 후, 2008년 3분기 3.57%에서 4분기 2.62%로 다소 떨어졌다가 폭등하기 시작해서, 2010년 4분기에는 7.42%에 달하고, 2011년 1월 30일 김승연 회장이 횡령 등 혐의로 불구속 기소되자, 지분율이 2011년  2분기 5.74%까지 떨어졌다가 다시 2011년 4분기에는 7.43%까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성주의원은 “미국 캘리포니아 공무원 연금(CalPERS)은 1987년부터 집중적으로 주주권을 행사할 대상회사 명단인 ‘포커스리스트(focus list)를 발표하고 있고, 증권집단 소송은 물론 주로 대표 원고로 참여해 주주의 권익 보호에 앞장서고 있다”고 말하고, 이어 “검찰의 기소만으로 해당 기업은 상장 폐지되거나 거래정지 대상이 될 수 있는데, 국민연금은 꾸준하게 이들 기업에 대한 지분을 증가시키거나 유지시킴으로써 부도덕한 기업의 주가폭락을 방어해주고 있고, 기업의 잘못된 행동에 면죄부를 주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성주의원은 “국민이 가입자인 국민연금의 사회적 성격을 고려한다면, 기업의 범죄적 행동과 같은 변칙과 반칙을 뿌리 뽑을 수 있는 제도적 개선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의약품 불법 유통 근절 될까?..식약처장 권한 강화 법 개정 추진 서영석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경기 부천시갑,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은 13일 국민 건강과 안전을 위해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이 불법 의약품 광고 삭제·차단과 위해 의약품의 통관 보류를 요청할 수 있도록 하는 「약사법 일부개정법률안」(이하 개정안)을 대표 발의했다. 최근 온라인 플랫폼과 SNS 등을 통해 검증되지 않은 의약품이 불법 광고로 소비자에게 노출되면서 부작용과 오남용 사례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서영석 의원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제출받은 ‘온라인 식·의약 불법 유통행위 실태조사’ 보고서(식약처 의뢰, 한국소비자연맹 수행)에 따르면, 2023~2024년 상반기 온라인상에서 의약품 불법 유통광고가 27,912건 적발됐으나 이렇게 적발된 불법 유통광고의 시정률은 58.3%에 그쳐 현행 제도의 사후적 대응이 한계를 보이고 있다. 더 심각한 것은 일부 업체가 동일 의약품을 반복적으로 불법유통 및 판매하며 제도의 사각지대를 악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현행법상 식약처장이 불법 의약품 광고에 대해 관계기관에 알릴 수 있도록만 규정하고 있으며, 삭제·차단을 직접 요청할 수 있는 법적 권한은 부여되어 있지 않다. 식약처는 방송통신심의위원회(방심위)와의 협약을 통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