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3 (토)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진캐스트, 삼성서울병원과 폐암 조기 진단 임상 연구

1B~3A 단계 비소세포폐암 환자 대상 액체 생검 실용 가능성 확인

액체 생검(생체 검사) 암 진단 진캐스트(대표 백승찬)는 삼성서울병원 흉부외과 폐식도외과 분과 김진국 교수팀과 함께 비소세포폐암 조기 진단을 위한 임상 연구를 시작한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진캐스트의 ADPS 기술을 적용한 액체 생검 EGFR 검사 결과가 종양 조직 DNA에 대한 EGFR 검사 결과를 대변할 수 있는지를 평가한다. 특히 임상 병기 1B~3A 단계에 해당하는 초기 환자를 대상으로 액체 생검의 조기 진단에 대한 임상 효능을 확인하는 데 의의가 있다.

지금까지 폐암 환자에 적용된 액체 생검의 임상적 효능은 대부분 혈액을 통해 온몸으로 전이된, 즉 혈액에 여러 종양 세포 편린이 내포된 폐암을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됐다. 하지만 혈액으로 전이된 병소가 없기에 절제 수술을 할 수 있는 폐암 환자의 수술 전 EGFR 유전자 돌연변이 검출 능력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그만큼 이에 대한 연구가 어렵기 때문이다.

최근 세계적으로 절제 가능한 조기 폐암에서 수술 전 EGFR 억제제 투여 연구 가능성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수술 전 EGFR 억제제 투여가 일찌감치 종양 전이를 막고, 종양 크기를 줄여 수술을 가능하게 만들면서 실질적인 생존율을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수술 전에는 약물 투여가 수월하다. EGFR 억제제를 쓰려면 EGFR 유전자 돌연변이 진단이 먼저 이뤄져야 하는데 전통적인 조직 검사는 폐암의 위치나 특성상 위험성이 높거나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

ADPS 기술을 적용한 액체 생검으로 조기 비소세포폐암 조기 환자를 진단할 수 있다는 임상 효능이 증명되면 초기 환자에게 EGFR 억제제 투여에 대한 연구가 더 활성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소아암·희귀질환 환자,11,822명 진단, 5,512명 치료, 29,379건의 코호트 데이터 등록 “저는 곤충학자가 되는 게 꿈이에요. 어느 날 사슴벌레를 보았는데, 그때부터 곤충의 매력에 빠졌어요. 어린이날에는 동생과 함께 커다란 테라리움을 만들고 싶어요.” 11살 김현우 군(가명)은 자신의 꿈을 향해 한 걸음씩 나아가고 있다. 최근 만성골수성백혈병을 진단받고 치료제를 사용하며 외래 추적 관찰을 받고 있는 현우 군은 이건희 소아암·희귀질환 극복사업을 통해 소아 혈액암 환자들의 진단과 치료 향상을 위한 유전체 분석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이를 통해 그는 자신의 치료에만 그치지 않고, 다른 환자들에게도 도움이 될 치료 플랫폼 확장에 기여하고 있다. 현우 군은 아픔에서 멈추지 않으며 성장하고, 꿈을 향해 끊임없이 나아가고 있다. 현우 군처럼, 병마와 싸우면서도 자신만의 꿈을 키워가는 많은 어린이들이 있다. 이러한 어린이들에게 뜻깊은 어린이날을 선물하기 위해 서울대어린이병원 소아암·희귀질환지원사업단(단장 최은화)은 5월 2일, 서울대어린이병원 CJ홀에서 ‘우리들은 자란다’ 행사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어린이의 건강한 성장을 바랐던 고(故) 이건희 회장의 유지를 이어 받아, 소아암 및 희귀질환 환자들에게 희망을 전하기 위해 진행됐다. 사업단은 이번 행사에서 핵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