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9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고려대 안산병원 송주현 교수, 대한응급의학회 2021 추계학술대회 우수구연상 수상

“원내 감염병 환자 빅데이터를 사용하여 개발된 머신 러닝 모델이 기존의 다변수 모델에 비해 우월한 사망 예측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점 밝혀”


고려대 안산병원 응급의학과 송주현 교수가 대한응급의학회 2021 추계학술 대회에서 우수구연상을 수상하였다.


온라인으로 개최된 이번 학술대회에서 총 200여 편의 구연 발표가 경합한 가운데 우수 구연으로 선정됐으며 수상 연구는 "응급실 내 감염병 환자 빅데이터를 활용한 머신 러닝 기반의 예후 예측 모델 개발"로서, 고려대 안산병원 의생명연구센터의 연구 지원 및 한국연구재단의 기금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다.


송 교수는 2020년 대한응급의학회 추계학술 대회에서 국내 코로나 확진자 관련 연구로 최우수구연상을 수상한데 이어 올해 또 다시 우수구연상을 수상하였다.


이번 연구는 "응급실 내 감염병 환자에서 높은 젖산 레벨, 정상 범위에서 벗어난 헤모글로빈/헤마토크릿/적혈구 수, 낮은 알부민, 60세 이상의 고령 등이 인공 지능 기반의 사망 예측에 있어 가장 중요한 변수들이며, 원내 감염병 환자 빅데이터를 사용하여 개발된 머신 러닝 모델이 기존의 다변수 모델에 비해 우월한 사망 예측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점을 밝혀냈다.


송주현 교수는 "병원에 내원하는 다양한 감염병 환자에서 환자 중증도를 조기에 분류하고 정확한 예후 예측을 하는 데 있어 머신 러닝 모델이 뛰어난 성능을 보였다"며 "실제 여러 병원의 다양한 임상 환경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으로 전향적(Prospective)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생명을 위협하는 뇌혈관 질환, 조기 예방과 정확한 치료가 답이다 뇌혈관 질환은 뇌로의 혈액 공급이 원활하지 않거나 뇌혈관이 파열되는 등의 문제로 인해 발생하는 질환들을 의미한다. 일반인들은 이러한 문제를 머리 쪽 문제로 인식하며 큰 걱정과 두려움을 느끼지만, 사실 뇌졸중, 뇌출혈, 뇌경색 등 익숙한 질환을 포함한다. 뇌혈관 질환은 크게 뇌출혈과 뇌경색으로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이 두 질환은 치료 방법이 매우 다르기 때문에 신속하고 정확한 진단이 필요하다. 뇌출혈은 뇌혈관이 파열되어 뇌 안으로 출혈이 발생하는 상태를 말한다. 반면, 뇌경색은 뇌혈관이 막혀서 뇌조직에 산소와 영양 공급이 중단되는 상태를 의미하며, 주로 혈전이 형성되어 혈관을 막는 경우에 발생한다. 이러한 혈전은 심장에서 생기는 경우도 있으며, 경동맥이나 다른 뇌혈관에서의 동맥경화증으로 인해 떨어져 나오는 경우도 흔하다. 이는 하수구 막히는 것에 비유할 수 있다. 하수구도 이물질이나 석회화 된 부분이 막히면 배출을 못 시키듯, 뇌혈관도 막히면 혈전을 제거해야만 원활한 뇌신경 작용과 반응이 일어나는 것이다. 모든 허혈성 뇌경색 환자에게 혈전 제거술을 시행하지는 않는다. 혈전이 있는 위치, 예상되는 뇌허혈 범위, 증상이 발생한 시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