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2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웃음의 효능,스트레스 완화하고 우울감 낮춰

웃음은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력을 높인다. 2020년 7월 스위스 바젤 대학 연구팀이 성인 41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 따르면, 웃음은 피로∙두통∙불안 등 스트레스로 인한 부정적인 영향을 감소시킨다. 또한 웃음은 스트레스 호르몬 ‘코르티솔’을 억제하는 효능이 있다. 과도한 스트레스로 코르티솔 수치가 높아지면 면역력∙기억력 저하, 고혈압, 당뇨 등 크고 작은 질병의 원인이 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웃음은 정신건강에 큰 도움이 된다. 웃으면 세로토닌, 도파민 같은 우울감을 줄이는
신경 전달 물질이 생성돼 우울증에 걸릴 확률을 낮춘다. 웃음의 과학적 효능을 고려해보면 ‘웃으면 복이 온다’는 말과 더불어 ‘웃음이 만병통치약’이라는 말 또한 어느 정도 진실인 셈이다. 

웃음의 신체적∙정신적 장점에도 불구하고 마음껏 웃지 못하는 사람들이 있다. 팔자주름 때문에 콤플렉스를 느끼는 경우다. 팔자주름은 대표적인 표정 주름으로 웃거나 말할 때 입 주위가 팔(八)자 모양으로 움푹 패는 것을 말한다. 깊은 팔자주름은 노안의 대표적인 특징이라 많은 사람이 팔자주름을 꺼린다. 일부는 팔자주름을 예방하기 위해 웃음을 자제하기도 하지만 사실 팔자주름은 웃음이 아니라 노화에서 비롯된다. 

깊은 팔자주름의 주범은 노화 현상으로 탄력을 잃고 처진 볼이다. 볼살을 붙잡아주는 유지 인대가 느슨해졌기 때문에 볼살이 늘어져 접히는 것이다. 유지 인대는 피부와 지방을 지탱하는 역할을 한다. 유지 인대가 팽팽할 때는 피부와 지방을 제자리에 붙잡아두지만, 나이가 들면 노화와 중력으로 인해 느슨해지며 피부가 탄력을 잃는다. 이밖에도 자외선으로 인한 피부 손상, 수분 부족, 잘못된 수면 자세나 습관 또한 팔자주름을 짙게 하는 원인이다. 

한 번 생긴 주름을 되돌리는 것은 쉽지 않기 때문에 주름이 생기기 전 미리 예방해야 한다. 자외선은 팔자주름뿐만 아니라 다양한 얼굴 주름의 공통적인 원인으로 꼽힌다. 자외선 차단제를 꾸준히 발라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것이 좋다. 또 물을 많이 마시고 수분크림을 발라 피부에 수분을 공급하는 것도 좋은 예방법이다. 엎드려 자는 자세나 턱을 괴는 습관을 지양하고 바른 생활 습관을 유지해야 한다. 

아직 주름이 깊지 않다면 필러 시술을 고려해볼 수 있다. 팔자주름의 푹 꺼진 부분에 필러를 주입해 주름을 완화하는 방법이다. 주름이 깊어 필러로 효과를 보는데 한계가 있다면 실리프팅 시술을 시도할 수 있다. 피부 아래 의료용 실을 삽입해 처진 피부를 끌어올리고 피부 탄력을 강화하는 시술이다. 전반적인 피부 탄력이 떨어진 중노년층이라면 안면거상술이 한 가지 방법이 될 수 있다. 안면거상술은 귀 뒤쪽이나 두피를 절개해 조직을 박리하여 피부와 근육을 당겨 고정하고, 남은 피부 일부를 절제하는 수술이다. 얼굴 전체를 끌어올려 효과가 오래간다. 

성형외과전문의인 반재상 대표원장은 “많은 사람들이 팔자주름의 원인을 웃음이라고 생각하는데 오히려 웃음은 얼굴 근육을 강화해 피부 탄력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된다”며 “팔자주름은 노화로 인한 피부 탄력 저하가 주된 원인이기 때문에 보다 전문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힙하게, 감도 높게! MZ세대 일상에 스며드는 ‘요즘 캠페인’ 최근 유통업계를 중심으로 MZ세대의 라이프스타일에 자연스럽게 스며드는 ‘생활 밀착형’ 캠페인이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 단순한 광고가 아닌, 일상 속에서 브랜드를 자연스럽게 경험하게 하려는 움직임이 늘고 있는 것이다. 특히 트렌드에 민감한 젊은 세대와의 접점을 넓히기 위해, 감각적이면서도 실용적인 캠페인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제품만을 강조하던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 계절감과 공간, 그리고 체험 요소들을 유기적으로 결합해 소비자와의 심리적 거리를 좁히고자 하는 전략이 눈에 띈다. 무엇보다 주목할 점은 오프라인 공간의 적극적인 활용이다. 팝업스토어나 전시 등 오프라인 현장에서 브랜드를 노출시키면서, 자연스럽게 인지도를 높이고 캠페인 효과를 극대화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MZ세대의 일상에 감각적으로 스며든 브랜드들의 캠페인 사례를 함께 살펴보자. ■ 동아제약 파티온, 대학 축제 현장에 뜬 트러블 케어 순찰대 과제와 시험, 잦은 음주 등으로 피부 고민이 많아지는 대학생들에게 다가가기 위해 동아제약의 트러블 케어 브랜드 파티온은 대학 축제 시즌을 활용한 오프라인 캠페인을 진행한다. 캠퍼스 스쿨어택 형식으로 기획된 ‘트러블 최강 순찰대전’ 캠페인은, 홍익대학교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