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2 (수)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질병관리청

코로나19 유행 후... 신체활동, 정신건강, 만성질환 모두 악화

신체활동, 아침결식, 정신건강(우울감, 스트레스), 당뇨병 관리지표 코로나19 유행 기간(’20-’21)에 지속적으로 악화되는 추세
개인위생, 비만, 고혈압 진단 경험은 코로나19 유행 첫해인 ‘20년에 개선되었다가 ‘21년에는 소폭 악화

질병관리청(청장 정은경)은 4월 27일(수) 지역사회건강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코로나19 유행 전후(2019~2021년)의 주요 건강행태와 만성질환 지표 분석 결과를 발표하였다고 밝혔다.


코로나19 유행 전후(2019-2021년) 성인(만 19세 이상)의 주요 건강행태와 만성질환 지표를 분석한 결과, 일부 건강행태 지표와 정신건강, 당뇨병 관리지표가 지속적으로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중등도 이상 신체활동 실천율은 ’19년 24.7%에서 ’20년 19.8%로 크게 감소(4.9%p)하였고, ’21년 다시 소폭 감소(0.1%p)하여 19.7%로 나타났다.아침결식 예방인구 비율은 ’19년 53.4%에서 ’20년 51.5%로 감소(1.9%p)하였고, ’21년 50.0%로 감소(1.5%p)하였다.

 
우울감 경험률은 ’19년 5.5%에서 ’20년 5.7%로 소폭 증가(0.2%p)하였다가 ’21년 6.7%까지 증가(1.0%p)하였고, 스트레스 인지율은 ’19년 25.2%에서 ’20년 26.2%로 증가(1.0%p)하였고, ’21년에도 그 수준이 유지되었다. 


당뇨병 진단 경험률(30세 이상)은 ’19년 8.0%에서 ’20년 8.3%로 증가(0.3%p), ’21년 다시 8.8%로 증가(0.5%p)한 반면, 당뇨병 진단경험자(30세 이상)의 치료율은 ’19년 91.9%에서 ’20년 91.5%로 감소(0.4%p)하였고, ’21년 다시 91.2%로 소폭 감소(0.3%p)하였다.

개인위생과 비만, 고혈압과 같은 만성질환은 코로나19 유행 첫해인 2020년에 개선되었다가, 2021년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외출 후 손 씻기 실천율은 ’19년 85.5%에서 ’20년 97.6%로 크게 증가(12.1%p)하였다가, ’21년에는 94.5%로 감소(3.1%p)하였으며,

비누, 손 세정제 사용률도 ’19년 81.3%에서 ’20년 93.2%로 크게 증가(11.9%p)하였다가, ’21년에는 89.3%로 감소(3.9%p)하였다.

비만율(자가보고)은 ’18년 31.8%에서 ’20년 31.3%로 소폭 감소(0.5%p)하였다가, ’21년에는 32.2%로 증가(0.9%p)하였다.

 
고혈압 진단 경험률(30세 이상)은 ’19년 19.4%에서 ’20년 19.2%로 소폭 감소(0.2%p)하였다가, ’21년에는 20.0%로 다시 증가(0.8%p)하였다.




반면, 코로나19 유행 첫해인 2020년에 악화되었다가, 2021년에 코로나19 유행 전 수준으로 회복 또는 개선된 것으로 나타난 지표는 걷기실천율과 건강생활 실천율이었다.걷기실천율은 ’19년 40.4%에서 ’20년 37.4%로 감소(3.0%p)하였다가, ’21년에 다시 40.3%로 증가(2.9%p)하였고, 건강생활실천율도 ’19년 28.4%에서 ’20년 26.4%로 감소(2.0%p)하였다가, ’21년에는 29.6%로 증가(3.2%p)하였다.


일부 건강행태와 고혈압 관리는 코로나19 유행 전부터 2021년까지 지속적으로 개선되는 경향을 보였다.
현재흡연율은 ’19년 20.3%에서 ’20년 19.8%로 감소(0.5%p)하였고, ’21년에 19.1%로 더욱 감소(0.7%p)하였으며,남자 현재흡연율도 ’19년 37.4%에서 ’20년 36.6%, ’21년에는 35.6%까지 감소(1.0%p)하였다.월간음주율은 ’19년 59.9%에서 ’20년 54.7%로 크게 감소(5.2%p)하였고, ’21년에 53.7%까지 감소(1.0%p)하였다.고혈압 진단 경험자(30세 이상)의 치료율은 ’19년 91.7%에서 ’20년 93.1%로 증가(1.4%p)하였고, ’21년에 93.3%로 소폭 증가(0.2%p)하였다.

정은경 청장은 “코로나19 유행이 지속되었던 지난 2년 동안 중등도 이상 신체활동 실천율 등 일부 건강행태와 정신건강, 당뇨병 관리지표의 지속적 악화추세를 확인했다”라고 밝히며,“코로나 유행이 지속되면서 걷기실천율, 건강생활 실천율이 코로나 이전 수준으로 회복되는 등 건강 유지 노력을 해 온 것으로 파악되었으나,”그럼에도 불구하고 “코로나 유행 시 나빠진 지표의 추가적 악화를 막기 위해서는 보건정책 수립과 시행에 중앙 및 지방정부의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다”라고 강조하였다.

또한 “질병관리청은 중앙 및 지방정부가 악화 지표에 대한 모니터링을 지속할 수 있도록 근거자료를 제공할 계획이다“라고 덧붙였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국내 폴리오백신 생산시설, 아시아 최초 세계 세 번째 WHO 밀폐인증 획득 질병관리청(청장 임승관)은 국내 폴리오백신 생산시설이 아시아 최초, 세계 세 번째로 세계보건기구(WHO)로부터 밀폐인증을 획득하였다고 발표하였다. 이번 한국의 폴리오 필수시설(LG화학 폴리오백신 생산시설)에 대한 WHO의 밀폐인증 획득은 폴리오백신 생산시설의 안전성뿐만 아니라, 국가 생물안전 관리 역량을 국제적으로 인정받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이는 폴리오바이러스 취급은 물론 향후 발생 가능한 위해성이 높은 신종 감염병 백신 개발·생산시설로서 활용될 수 있는 안전성과 위해관리 역량을 갖추었음을 의미한다. 세계보건기구는 세계폴리오박멸계획(GPEI)을 1988년부터 수립하고, 폴리오(소아마비) 박멸을 위해 국가별 광범위한 백신접종을 요구하고 있으며, 폴리오필수시설은 세계보건기구로부터 2026년까지 밀폐인증을 받도록 하고 있다. WHO 밀폐인증은 폴리오바이러스의 안전한 취급을 위한 밀폐시설 기준과 위해관리 체계를 평가하는 절차로, WHO 지침인 ‘글로벌행동계획 제4판, GAPIV’을 기반으로 이뤄지며, 생물위해 관리체계, 교육‧훈련, 보안, 물리적 밀폐, 비상대응계획 등 생물안전·생물보안 전 영역에 걸쳐 구성된 총 14가지 세부 기준을 모두 충족할 경우, 폴리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일산백병원 호스피스완화의료센터, 2025 호스피스의날 기념 캠페인 개최 인제대학교 일산백병원 호스피스완화의료센터(센터장 이언숙)는 10월 20일 ‘언제 호스피스에 가면 좋을까요?’를 주제로 ‘2025 호스피스의날 기념 캠페인’을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존엄한 죽음과 삶의 마무리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확산하고, 호스피스완화의료 이용 시기에 대해 함께 고민하기 위해 마련했다. 이날 캠페인에는 교직원 600여 명이 참여했으며, 참가자들은 △임종 직전 △암 진단 직후 △항암치료가 더는 가능하지 않을 때 △통증 조절이 어렵고 의식이 흐려질 때 등 네 가지 상황 중 언제 호스피스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한지 함께 생각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호스피스완화의료센터에서는 호스피스 이용에는 ‘정답’이 없지만, 가능한 한 이른 시점에서 상담을 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실제로는 항암치료가 더 이상 의미가 없을 때 호스피스 입원이 결정되는 경우가 많다. 이언숙 호스피스완화의료센터장은 “예전보다 많은 분들이 호스피스완화의료에 관심을 가지지만, 여전히 막연하게 받아들이는 경우가 많다”며 “이번 캠페인을 통해 환자와 가족, 교직원 모두가 ‘언제 호스피스를 이용하는 것이 좋은지’를 함께 고민하고, 존엄한 삶의 마무리에 한 걸음 더 다가가는 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