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1 (금)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학술·좌담회,심포지엄

한국로슈, 혈액암 전문의 대상 RISE 심포지엄 성료

한국로슈(대표이사  호리지) 지난 23, 24 양일간 혈액암 최초의 이중특이항체인 ‘컬럼비(성분명글로피타맙)’ ‘룬수미오(성분명모수네투주맙)' 임상적 가치를 조명하고 로슈의 혈액암 분야 리더십을 제고하는 RISE(Roche Initiated Scientific Exchange) 심포지엄을 개최했다고 26 밝혔다.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미만성 거대 B세포 림프종(Diffuse Large B Cell Lymphoma, 이하 DLBCL) 소포성 림프종(Follicular Lymphoma, 이하 FL) 중심으로 혈액암 최신 치료 전략이 공유됐다.

첫날에는 삼성서울병원 혈액종양내과 김석진 교수(대한혈액학회 차기 이사장) 화순전남대학교병원 혈액내과 양덕환 교수(대한혈액학회 림프종연구회 위원장) 좌장을 맡았다. ▲DLBCL 대한 미충족 수요  환자 치료 여정(Patient Journey and Unmet Needs in DLBCL) 주제로 발표한 김석진 교수는 DLBCL 진행이 빠르고 재발  불응  예후가 좋지 않다며컬럼비는 재발성  불응성 DLBCL 환자 대상 NP30179 임상에서 완전관해율(CR) 40%(61/155 [95% CI: 32-48]), 전체반응률(ORR) 52%(80/155 [95% CI: 44-60])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서울대학교병원 혈액종양내과 고영일 교수와 가톨릭대학교 여의도성모병원 혈액내과 전영우 교수는 각각 ▲새로운 치료법을 통한 3 치료 이상의 미만성 거대 B세포 림프종 최적화 관리 전략(Optimizing +3L DLBCL Management With Emerging Therapies), ▲DLBCL 임상 이해를 위한 주요 평가 변수(Endpoints of Interest in Interpreting Clinical Trials of DLBCL) 주제로 발표에 나섰다고영일 교수는 재발성 또는 불응성 DLBCL 기대여명이 3~4개월에 불과한 치명적인 질환으로컬럼비는 임상적 유용성을 바탕으로 투약기간이 최대 12 주기( 8.3개월동안 고정돼 치료 불확실성을 낮춘 효과적인 치료 옵션이라고 설명했다이어 전영우 교수는 전체생존기간(OS) 입증이 까다롭고 장기간 임상이 필요한 혈액암에서, PFS24(치료  24개월 동안 무진행 생존), EFS24(치료  24개월 동안 무사건 생존 적절한 신약 가치 평가를 위한 평가 지표 탐색의 필요성과 DLBCL 1 치료에서 폴라이비의 역할을 강조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분당서울대병원 세쌍둥이 35주 자연분만 성공 분당서울대병원은 세쌍둥이(삼태아) 임신을 35주 3일까지 유지한 뒤 자연분만으로 삼형제를 출산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분만은 대량수혈이나 자궁동맥색전술 등 조치없이 안전하게 이뤄졌으며, 세 아기 모두 2kg 이상의 건강한 상태로 태어나 출산 3일 만인 31일 산모와 함께 건강하게 퇴원했다. 삼태아 임신은 임신 주차가 지날수록 자궁이 빠르게 한계치에 도달하며 조산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은 대표적인 고위험 임신이다. 조기진통이나 자간전증(임신중독증)과 같은 심각한 임신합병증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출산 시기가 빨라 미숙아가 태어날 확률이 높다. 산모 역시 출산 시 대량출혈·양수과다·자궁무력증 등 위험한 상황에 노출될 수 있어 매우 전문적인 관리가 요구된다. 이러한 삼태아 임신은 출산 시기가 너무 이르면 폐 기능, 체온 조절 능력 등이 충분히 발달되지 않아 아기가 인큐베이터 치료를 받아야 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반대로 지나치게 늦으면 자궁 과팽창과 태반 기능 저하 등으로 산모와 태아가 모두 위험해진다. 따라서 임산부와 태아의 상태를 정밀하게 분석해 최적의 출산 시기를 결정하는 것이 삼태아 분만의 핵심이다. 산모 하나정 씨(33세)가 분당서울대병원 산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