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2 (수)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대봉엘에스·유씨엘, 송도 ‘글로벌 뷰티 헬스 R&D 센터’ 착공 ..기대 되네

5일 안전 기원제 진행, 내년 완공...첨단 스마트 공장 및 원스톱 솔루션 구축으로 뷰티, 바이오 사업 성장 도모 ·
새로운 도약 위한 핵심 전략적 투자 ‘글로벌 선도 기업’ 성장 추진



화장품소재 및 원료의약품 전문기업 ‘대봉엘에스’와 화장품 ODM OEM 전문기업 ‘유씨엘’이 송도 ‘글로벌 뷰티 헬스 R&D 센터’ 건설 현장에서 지난 5일 안전 기원제를 개최했다.

이번 안전 기원제에는 박진오 대봉엘에스 대표이사, 이지원 유씨엘 대표이사, 이해광 P&K 피부임상연구센타를 비롯한 관계사 전임직원이 참석해 성공적인 완공을 기원했다. 송도 R&D 센터는 인천광역시 연수구 송도동 210-5번지에 연면적 29,226.97㎡, 지하 2층~지상 5층 규모로 들어서게 되며, 2025년 하반기에 입주할 예정이다.

첨단 스마트 공장 및 원스톱 솔루션 구축을 통해 뷰티 사업, 바이오 신소재 및 고기능성 상품 개발 확대와 혁신 클러스터를 통한 신사업 추진은 헬스 사업과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여 각 사업 분야의 성장을 촉진하고 경쟁력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최첨단 글로벌 R&D 센터는 Bio&Clean Beauty 신소재 및 제품 연구부터 개발, 생산까지 전 과정이 One Stop Solution이 가능하게끔 설계했으며, 판교의 유명한 NC소프트 R&D 센터를 담당한 설계사무소가 아름다움, 과학, 친환경이라는 3가지 요소를 조화롭게 담아 쾌적하고 창의적인 연구 환경을 제공할 예정이다.

이 센터는 미국의 FDA OTC(Over the Counter, 일반 의약품) 인증 및 의료기기 인허가를 받을 예정이며, 산학 오픈랩을 운영해 ‘NEW GLOBAL CITY’ 인천 뿐만 아니라 한국의 더마 및 안전한 고기능성 화장품, 의료기기 등을 전 세계에 알릴 수 있도록 계획하고 있다. 또한 해외에서 사옥 투어 요청이 많은 가운데 전과정을 투명하게 볼 수 있는 코스와 다양한 세미나를 개최할 수 있는 공간도 함께 구성되어 있다.

특히 R&D 센터는 임직원들이 연구 및 업무 능률 향상을 위해 최적의 공간으로 설계했다. 임직원들이 행복감을 느낄 수 있도록 인체공학적 공간 설계 및 쾌적한 사무 환경 구성은 물론 지역 컨셉과 어우러지는 외관, 경관을 조성한 글로벌 친환경 공간으로 조성한다. 또한 스마트 팩토리를 활용한 실시간 물류 정보 흐름, 미래형 자동화, ERP, PLM, MES 등 빅데이터 통합관리 시스템 운영할 계획이며 GMP 특화 및 외부 개방형 구조로 설계했다.

회사 관계자는 “송도 R&D 센터는 대봉엘에스, 유씨엘의 새로운 도약을 위한 핵심 전략적 투자이며, 뷰티&헬스 사업 분야 글로벌 선도 기업으로 성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라면서 “향후 인천과 한국의 Bio & Clean Beauty 화장품, 의료기기 등을 전 세계에 알리며 퀀텀 점프하는 동시에 글로벌 시장에서 다양한 성과를 달성할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전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질병관리청-대한천식알레르기학회,연구 협력 강화 업무협약 체결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대한천식알레르기학회(이사장 장안수)와 2025년 7월 2일(수), 알레르기질환의 효과적인 예방관리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한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알레르기질환의 발생·악화 요인 증가로 일상생활에서의 영향이 커지는 가운데, 정부와 전문기관의 협력을 통해 전문 지식에 기반한 교육·홍보, 연구 등을 강화하고, 국민의 건강 수준을 향상하기 위한 목적에서 추진되었다. 협약의 주요 내용은 ▲알레르기질환의 인식 제고와 예방관리를 위한 교육·홍보 활동, ▲의과학적 근거 기반의 교육 및 홍보자료의 개발과 활용, ▲알레르기질환 관련 정책 수립 및 개선을 위한 자문 제공, ▲알레르기질환 발생원인 규명 및 예방관리 기술 개발 등의 사항에 대해 적극적으로 협력 체계를 구축·운영하는 것이다. 특히, 양 기관은 협약 체결에 앞서 ‘2025 세계 알레르기 주간(6.29.~7.5.)’을 맞아, 아나필락시스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대처법을 주제로 한 교육 영상을 공동 제작하여 배포한 바 있다. 질병관리청과 대한천식알레르기학회는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정책 수립과 실행을 함께 추진할 계획이다. 알레르기질환에 대한 국민 인식 제고와 자가관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소이증, 3D프린팅 기술 활용..."귀 재건 수술법 개발" 소이증은 외이가 선천적으로 충분히 자라지 않아 귀의 모양이 작거나 형성되지 않는 질환이다. 신생아 7천~8천 명 중 한 명꼴로 발생하며, 선천성 안면기형에 속하는 질환이다. 대부분 한쪽 귀에서만 증상이 나타나지만, 전체 환자의 약 5%에서는 양측성으로 발생하기도 한다. 소이증은 태아가 자라면서 외이의 생성점에 이상이 생기며 발병한다. 단순히 외형의 문제에 그치지 않고 청력 손실로 이어지는 경우도 많다. 외이도 폐쇄나 중이 기형이 동반된 경우 소리를 듣는데 큰 어려움이 따르며, 아동의 언어 발달이나 사회성 형성에 부정적 영향을 끼칠 수 있어 조기 진단과 치료가 중요하다. 청력 손실이 동반된 소이증은 이비인후과 진료를 통해 청각재건수술 또는 보청기 이식이 필요하다. 외이도 성형술을 통해 막힌 외이도를 열거나, 골전도 보청기를 이식하는 방식이 주로 사용된다.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적합한 수술법이 선택되며, 지속적인 청각 재활을 통해 청력을 개선해야 한다. 귀의 형태에만 이상이 있는 경우에는 귀의 외형을 재건하는 수술이 시행된다. 환자의 가슴 연골을 떼어 귀 모양으로 조각하고 결손 부위에 이식하는 방법이 대표적으로 활용되며, 연골이 귀 모양을 만들 수 있을 정도로 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