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에스티(대표이사 사장 김민영)와 미국 신약개발 자회사 뉴로보 파마슈티컬스는 오는 23일부터 26일까지 미국 샌디에이고 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되는 제83회 미국 당뇨학회(ADA,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에서 비만치료제 ‘DA-1726’ 관련 2건의 포스터 발표 및 구두 발표를 한다고 14일 밝혔다. 미국 당뇨학회는 세계에서 가장 권위있는 당뇨병 관련 국제학회로 동아에스티와 뉴로보 파마슈티컬스는 포스터 및 구두 발표로 DA-1726의 전임상 연구 데이터를 발표한다. DA-1726은 Oxyntomodulin analogue(옥신토모듈린 유사체) 계열의 비만치료제로 개발중인 신약 후보물질이다. GLP-1 수용체와 글루카곤 수용체에 동시에 작용해 식욕억제와 인슐린 분비 촉진 및 말초에서 기초대사량을 증가시켜 궁극적으로 체중 감소와 혈당 조절을 유도한다. 2건의 포스터 및 구두 발표를 통해 비만 동물 모델에서 GLP-1 유사체인 세마글루타이드(semaglutide) 대비 우수한 체중감소 효과를 확인했고, 에너지 대사에 관여하는 지표들의 개선이 관찰되었음을 공개할 예정이다. DA-1726은 지방분화를 유도한 세포에서 글루카곤 수용체 작용에
MSD는 12일(미국 동부시각 기준) 자사 보도자료를 통해 한미약품이 기술 수출한 ‘에피노페그듀타이드’에 대한 최신 소식을 업데이트했다. 에피노페그듀타이드는 인슐린 분비 및 식욕억제를 돕는 GLP-1 수용체와 에너지 대사량을 증가시키는 글루카곤 수용체를 동시에 활성화하는 이중 작용제로, 지난 2020년 8월 MSD로 라이선스 아웃됐다. 우선 MSD는 오는 6월 21일부터 24일까지 오스트리아 빈에서 개최되는 유럽간학회(EASL, European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the Liver)에서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NAFLD)을 가진 성인 환자에서 에피노페그듀타이드를 평가한 임상 2a상 결과를 구두로 발표한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MSD는 최근 미국 FDA가 비알코올성 지방간염(NASH) 치료제로서 에피노페그듀타이드를 패스트트랙 대상 품목으로 지정했다고 발표했다. NASH는 염증과 간 손상을 동반하는, 보다 심각한 형태의 NAFLD이다. 패스트트랙 지정은 중증질환 치료제 등 중요 분야 신약을 환자에게 조기 공급하기 위한 목적으로 FDA가 후보 물질의 개발을 촉진하고 검토 속도를 가속하기 위해 시행하는 절차다. 현재까지 NASH 적응
지엔티파마(대표이사 곽병주)는 알츠하이머 치매, 루게릭병 등 퇴행성 뇌질환 치료제로 개발 중인 ‘크리스데살라진’의 제조방법과 결정형 특허를 미국, 일본, 캐나다, 브라질, 이스라엘 등 5개국에 각각 출원했다고 12일 밝혔다. 또한 안정성, 용해도, 흡수성이 개선된 크리스데살라진 경구용 약학 조성물에 대한 우선권 특허를 국내에 출원했다.퇴행성 뇌질환은 노화와 더불어 신경세포가 점진적으로 사멸하면서 나타나는 난치성 질환으로, 활성산소와 염증이 뇌에 쌓이면서 발생한다. 크리스데살라진은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항산화작용과 염증인자인 PGE2 생성을 차단하는 소염작용을 동시에 보유한 다중표적 신약 물질이다. 크리스데살라진은 알츠하이머 치매, 루게릭병, 파킨슨병 동물모델에서 뇌신경기능의 장애를 현저하게 줄이는 효과가 규명됐다. 특히 알츠하이머 치매와 유사한 인지기능장애증후군을 앓는 반려견이 크리스데살라진을 성분으로 한 ‘제다큐어’를 4주 이상 복용하면 인지기능과 사회활동이 뚜렷하게 개선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제다큐어는 지난 2021년 2월 국내 최초로 농림축산검역본부로부터 동물용의약품 합성신약 품목허가를 받아 1,500여개 동물병원에서 판매되고 있으며 재구매율이 60%를
안전성평가연구소(소장 정은주)는 정부가 추진하는 초격차 스타트업 1000+프로젝트 중 혁신분야 창업패키지 지원사업 바이오분야 참여기업의 글로벌 사업화 지원을 위해 재미한인제약인협회(KASBP. Korean American Society in Biotech and Pharmaceuticals. 회장 정승원)와 적극 협력키로 했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양 기관은 미국 보스톤에서 5일부터 나흘간의 행사로 개최되는 바이오USA 행사의 한국바이오스타트업 홍보관 개관의 사전 행사로 5일 현지에서 협약식을 개최했다고 덧붙였다. 2001년 5월에 설립된 KASBP는 현지 제약산업의 중심지인 보스턴, 샌프란시스코, 뉴저지를 비롯, 필라델피아, 코네티컷, 워싱턴 D.C., 일리노이,샌디에고에 총 8개의 지부를 둔 비영리단체로, 현지 바이오기업 및 제약기업 종사 한인 과학자는 물론 미국 FDA, 국립보건원(NIH) 등 미국 정부기관 근무자를 포함해 전체 2,300여 명의 회원을 확보하고 있다. KASBP는 생명과학 분야의 다양한 학술정보 교류와 협력 모색을 추구하며,회원간의 네트워크를 강화하기 위한 다양한 학술 활동을 주요 업무뿐만아니라 최근 들어서는 한국의 바이오테크, 제약회
넥스모스(공동대표 심정욱, 조강준)는 넥스모스가 개발한 DNA압타머 복합체인 신물질 NXP032가 혈관성 치매 동물모델에서 손상된 신경혈관을 완화하여 인지기능 개선효능 관련 경희대학교 김연정 교수팀과의 공동 논문이 세계적인 과학저널 네이처(Nature) 자매지인 사이언티픽 리포츠(Scientific Reports) 최신호에 게재되었다고 2일 밝혔다. ‘NXP032 혈관성 치매 동물모델에서 손상된 신경혈관을 완화하여 인지기능 개선 효능 발견’(NXP032 ameliorates cognitive impairment by alleviating the neurovascular aging process in aged mouse brain, 26 May 2023) 제목으로 지난 5월26일자 최신호 사이언티픽 리포츠에 게재된 이번 연구는 혈관성 치매 동물 (마우스)모델에 NXP032를 직접 경구 투여하여 진행되었다는데 의미가 있다. 경희대 김연정 교수 연구팀은 기존 연구에서도 NXP032의 비타민C 항산화 기능 향상을 통해 노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산화 스트레스의 효과적인 감소를 유도함으로써 인지장애 개선에 대한 가능성을 입증한 바 있다. 김연정 교수는 "현재 혈관성 치매
카이노스메드가 '2023 바이오 인터내셔널 컨벤션(BIO International Convention)'에 참가하여 KM-819의 기대감을 공유한다고 전했다 이번 컨퍼런스에서 카이노스메드는 자회사인 FAScinate와 함께 글로벌파마와 연구기관을 비롯해 여러 기관과 미팅을 갖고, 현재 미국과 한국에서 진행중인 파킨슨질환과 다계통위축증 임상 2상에 대해 설명하고 공동개발 등 차후 개발 계획에 대해 의논할 예정이다. 카이노스메드가 개발한 KM-819는 1) 신경세포 내 FAF1의 비정상적 활성 및 알파시누클레인 단백질의 비정상적 축적을 제거하여 도파민 신경세포를 보호하는 근본적 치료제인 first-in-class 약물이기 때문에 그동안의 약물들과는 다른 새로운 기전이라는 점과, 2) 파킨슨병 대상으로 미국 임상2상을 수행, 다계통 위축증 대상으로 한국 임상2상을 현재 수행하고 있는점, 3) 특히, 파킨슨병 대상의 미국 임상2상은 미국 자회사인 FAScinate가 글로벌 헬스케어 기업 로슈의 웨어러블 디지털 바이오마커 측정 디바이스를 접목한 프로토콜을 추진하고 있다는 점에서 다수 글로벌사 및 해외 기업들의 많은 관심을 받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오름테라퓨틱(대표 이승주)은 이번달 2일(현지시각)부터 5일간 미국 시카고에서 열리는 ASCO(미국임상종양학회)에서 ORM-5029의 임상 1상 시험에 대한 포스터를 게재한다고 2일 밝혔다. 이번 포스터 발표는 미국 임상이 진행 중인 캘리포니아대(UCLA) 데이비드 게펜 의과대학의 사라 허비츠(Sara A. Hurvitz) 교수(유방암 임상 연구 책임자)가 맡는다. 허비츠 교수는 ‘HER2 양성 유방암’ 항체-약물 접합체(ADC) ‘엔허투’(trastuzumab deruxtecan)와 1세대 HER2 ADC인 ‘캐싸일라’(trastuzumab emtansine)를 비교하는 DESTINY-Breast03 임상연구를 진행한 바 있다. 오름테라퓨틱은 ASCO에서 ‘HER2 발현 진행성 고형 종양 환자를 대상으로 HER2 표적 GSPT1 분해제인 ORM-5029에 대한 최초의 임상 1상 시험’의 디자인을 보여줄 예정이다. 지난해 10월, 첫 환자 투여가 시작된 이번 임상시험은 엔허투 등 기존 HER2 표적치료제에 재발하거나 불응하는 유방암 치료제 개발을 목표로, 유방암 환자 80여명을 대상으로 한다. 여기에는 UCLA를 비롯해, MD 앤더슨 암 센터(MD Ander
신약 개발 등 혁신 바이오 기술로 중무장한 국내 바이오 유망창업기업들이 6월 미국 보스톤에서 개최되는 글로벌 바이오 최대 행사인‘바이오USA’에 본격 진격해 글로벌 시장 공략에 나선다. 바이오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인 안전성평가연구소(소장 정은주)와 (사)한국엔젤투자협회 등은 6월 5일부터 8일까지(현지시각)까지 미국 보스톤에서 개최되는‘2023 바이오USA’행사에 국내 유망 바이오창업기업 45개사가 참여해 글로벌 사업화를 위한 전시 홍보 및 네크워킹, 파트너링에 나선다고 2일 밝혔다. 바이오USA는 미국생명공학협회(Biotechnology Innovation Organization)가 매년 주최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바이오산업컨퍼런스로, 올해 행사에는 전 세계 65개국, 8,000여개 이상의 제약·바이오 기업이 참여해 기술 소개 및 비즈니스 파트너링을 진행할 예정이다. 바이오USA는 해마다 국내 제약 등 바이오기업들이 글로벌 사업화를 위해 가장 많이 참여하는 국제 행사로, 이번 행사에 참여하는 초격차 프로젝트 참여기업 등 국내를 대표하는 유망 바이오스타트업 역시 현장 프리젠테이션 등을 통해 회사 보유 기술 및 파이프라인을 적극 홍보하고, 글로벌 대형 제약사들과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KOSDAQ 288330)는 다음 달 미국에서 개최되는 ‘2023 바이오 인터내셔널 컨벤션(이하 ‘바이오 USA’)’에서 최신 사업 진전 내용을 소개하는 ‘발표 기업(presenting company)’으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바이오 USA는 60개 이상의 국가에서 1만 4천여 명의 제약∙바이오 산업 전문가들이 모여 혁신 신약 연구개발 성과를 공유하고 새로운 협력 기회를 모색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제약∙바이오 파트너링 행사로, 올해는 내달 5일부터 8일까지 나흘간 미국 보스턴에서 열린다.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는 현지시간 6일 오후 3시 15분에 업계 관계자 및 잠재적 파트너사 등을 대상으로 기업 소개 발표를 진행한다. 파벨 프린세브(Pavel Printsev) 사업개발 디렉터는 이번 발표를 통해 혁신 신약을 중심으로 한 회사의 사업 비전을 비롯하여, 폐암과 폐섬유증 영역에서의 최신 연구개발 현황 및 전망을 소개하게 된다. 특히, 최근 혁신 진단 기술을 인수하며 본격화한 신규 사업에 대해 글로벌 무대를 대상으로 최초로 선보인다. 특히, 혁신적인 신약 과제 및 기술에 대한 수요가 어느 때보다 높은 상황에서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는 글로벌 제약
미국 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입한 한미약품의 호중구감소증 치료 바이오신약 ‘롤론티스 프리필드 시린지주’의 차별화된 임상 근거가 지속적으로 축적되고 있다. 한미약품은 지난 19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2023 대한종양내과학회 위성 심포지엄(Satellite Symposium) 유방암 세션에서 한국인 및 아시아인 유방암 환자 대상의 임상 분석을 통해 롤론티스의 유효성과 안전성을 확인한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미국 FDA의 롤론티스 시판허가 근거가 된 글로벌 임상 3상에 대한 통합 및 사후 분석 결과로, 분당차병원 혈액종양내과 문용화 교수가 관련 내용을 발표했다. 문 교수는 롤론티스 3상 임상에서 국내 최다 피험자를 등록해 연구를 주도하는 등 한국과 미국에서의 시판허가에 기여했다. 이 세션의 좌장은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종양내과 박인혜 교수가 맡았다. 문 교수는 "항암치료 이후 발생할 수 있는 중증 호중구감소증의 기간(Duration of Severe Neutropenia, DSN) 및 호중구 수치의 회복 시간 등 다양한 평가지표에 대해 한국인, 아시아인을 포함한 모든 하위 집단에서 일관된 유효성을 확인했고, 전반적인 안전성 프로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