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백경란 청장)는 8월 17일 0시 기준으로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469명(전일 대비 94명 감소), 사망자는 42명(전일 대비 5명 증가)으로 누적 사망자는 25,752명(치명률 0.12%)이라고 밝혔다.재원중 위중증 환자 중 60세 이상은 419명(89.3%), 사망자 중 60세 이상은 38명(90.5%)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8월 2주(8.7.~8.13.) 보고된 사망자 330명 중 50세 이상은 316명 (95.8%)이었으며, 이들 중 백신 미접종 또는 1차접종자는 105명(33.2%)으로 백신 미접종자 또는 1차접종자에서의 치명률이 높다. ‘4차접종 완료’를 통해 사망 위험은 ‘미접종군’에 비해 96.3%, ‘2차접종 완료군’에 비해 80.0%, ‘3차접종 완료군’에 비해 75.0% 감소하였다. 6월 3주차 기준, 60대 이상 전체 인구 중 예방접종력별 연령표준화 사망률은 미접종군 2.7명(100만 인일당), 3차접종 완료군 0.4명(100만 인일당), 4차접종완료군 0.1(100만 인일당)으로 나타났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180,236명, 해외유입 사례는 567명이 확인되어, 신규 확진자는 총 180,803명이며,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백경란 청장)는 8월 16일 0시 기준으로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563명(전일 대비 42명 증가), 사망자는 37명(전일 대비 13명 감소)으로 누적 사망자는 25,710명(치명률 0.12%)이라고 밝혔다. 재원중 위중증 환자 중 60세 이상은 495명(87.9%), 사망자 중 60세 이상은 36명(97.3%)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8월 2주(8.7.~8.13.) 보고된 사망자 330명 중 50세 이상은 316명 (95.8%)이었으며, 이들 중 백신 미접종 또는 1차접종자는 105명(33.2%)으로 백신 미접종자 또는 1차접종자에서의 치명률이 높다. '4차접종 완료’를 통해 사망 위험은 ‘미접종군’에 비해 96.3%, ‘2차접종 완료군’에 비해 80.0%, ‘3차접종 완료군’에 비해 75.0% 감소하였다. 6월 3주차 기준, 60대 이상 전체 인구 중 예방접종력별 연령표준화 사망률은 미접종군 2.7명(100만 인일당), 3차접종 완료군 0.4명(100만 인일당), 4차접종완료군 0.1(100만 인일당)으로 나타났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83,665명, 해외유입 사례는 463명이 확인되어, 신규 확진자는 총 84,128명이며,
국립보건연구원(원장 권준욱) 국립감염병연구소(소장 장희창) 국가병원체자원은행(은행장 김성순)은 보건의료 및 의・과학 분야 감염병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해 ‘국내 의과학 교육용 참조 균주’를 8월 22일부터 무상 분양한다고 밝혔다. 무상 분양되는 실습 교육용 참조 균주는 관련 대학들의 미생물 실습에 이용되는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Acinetobacter baumannii) 등 35종 39주이며, 국가병원체자원은행 누리집에서 확인 가능하다.분양 대상 기관(대학) 및 기간은 아래와 같으며, 동일 대학이라도 단과 대학별로 분양이 가능하다. - 의・과학 교육용 참조균주 목록 (35종 39주) 무상 분양을 위한 사전 신청은 한 달(’22. 8. 16.(화) ~ 9. 16.(금)) 간 진행하며, 병원체자원 활용계획에 강의계획을 첨부하면 된다.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백경란 청장)는 8월 15일 0시 기준으로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521명(전일 대비 9명 증가), 사망자는 50명(전일 대비 7명 감소)으로 누적 사망자는 25,673명(치명률 0.12%)이라고 밝혔다.재원중 위중증 환자 중 60세 이상은 457명(87.7%), 사망자 중 60세 이상은 48명(96.0%)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8월 2주(8.7.~8.13.) 보고된 사망자 330명 중 50세 이상은 316명 (95.8%)이었으며, 이들 중 백신 미접종 또는 1차접종자는 105명(33.2%)으로 백신 미접종자 또는 1차접종자에서의 치명률이 높다. ‘4차접종 완료’를 통해 사망 위험은 ‘미접종군’에 비해 96.3%, ‘2차접종 완료군’에 비해 80.0%, ‘3차접종 완료군’에 비해 75.0% 감소하였다. 6월 3주차 기준, 60대 이상 전체 인구 중 예방접종력별 연령표준화 사망률은 미접종군 2.7명(100만 인일당), 3차접종 완료군 0.4명(100만 인일당), 4차접종완료군 0.1(100만 인일당)으로 나타났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61,682명, 해외유입 사례는 396명이 확인되어, 신규 확진자는 총 62,078명이며, 총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백경란 청장)는 8월 14일 0시 기준으로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512명(전일 대비 43명 증가), 사망자는 57명(전일 대비 10명 감소)으로 누적 사망자는 25,623명(치명률 0.12%)이라고 밝혔다.재원중 위중증 환자 중 60세 이상은 450명(87.9%), 사망자 중 60세 이상은 52명(91.2%)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8월 1주(7.31.~8.6.) 보고된 사망자 209명 중 50세 이상은 201명 (96.2%)이었으며, 이들 중 백신 미접종 또는 1차접종자는 68명(33.8%)으로 백신 미접종자 또는 1차접종자에서의 치명률이 높다. ‘4차접종 완료’를 통해 사망 위험은 ‘미접종군’에 비해 96.3%, ‘2차접종 완료군’에 비해 80.0%, ‘3차접종 완료군’에 비해 75.0% 감소하였다.6월 3주차 기준, 60대 이상 전체 인구 중 예방접종력별 연령표준화 사망률은 미접종군 2.7명(100만 인일당), 3차접종 완료군 0.4명(100만 인일당), 4차접종완료군 0.1(100만 인일당)으로 나타났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119,143명, 해외유입 사례는 460명이 확인되어, 신규 확진자는 총 119,603명이며,
보건복지부 보건산업정책국 첨단의료지원관일반직고위공무원 박 금 렬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 연구기획조정부장에 보함.2022. 8. 12. 질병관리청서기관 강 차 원종합상황실장에 보함.2022.8.17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백경란 청장)는 8월 13일 0시 기준으로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469명(전일 대비 16명 증가), 사망자는 67명(전일 대비 9명 증가)으로 누적 사망자는 25,566(치명률 0.12%)이라고 밝혔다. 재원중 위중증 환자 중 60세 이상은 413명(88.1%), 사망자 중 60세 이상은 62명(92.5%)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8월 1주(7.31.~8.6.) 보고된 사망자 209명 중 50세 이상은 201명 (96.2%)이었으며, 이들 중 백신 미접종 또는 1차접종자는 68명(33.8%)으로 백신 미접종자 또는 1차접종자에서의 치명률이 높다. ‘4차접종 완료’를 통해 사망 위험은 ‘미접종군’에 비해 96.3%, ‘2차접종 완료군’에 비해 80.0%, ‘3차접종 완료군’에 비해 75.0% 감소하였다. 6월 3주차 기준, 60대 이상 전체 인구 중 예방접종력별 연령표준화 사망률은 미접종군 2.7명(100만 인일당), 3차접종 완료군 0.4명(100만 인일당), 4차접종완료군 0.1(100만 인일당)으로 나타났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124,112명, 해외유입 사례는 480명이 확인되어, 신규 확진자는 총 124,592명이며,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백경란 청장)는8월 12일 0시 기준으로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453명(전일 대비 35명 증가), 사망자는 58명(전일 대비 1명 감소)으로 누적 사망자는 25,499명(치명률 0.12%)이라고 밝혔다. 재원중 위중증 환자 중 60세 이상은 393명(86.8%), 사망자 중 60세 이상은 53명(91.4%)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8월 1주(7.31.~8.6.) 보고된 사망자 209명 중 50세 이상은 201명 (96.2%)이었으며, 이들 중 백신 미접종 또는 1차접종자는 68명(33.8%)으로 백신 미접종자 또는 1차접종자에서의 치명률이 높다. ‘4차접종 완료’를 통해 사망 위험은 ‘미접종군’에 비해 96.3%, ‘2차접종 완료군’에 비해 80.0%, ‘3차접종 완료군’에 비해 75.0% 감소하였다. 6월 3주차 기준, 60대 이상 전체 인구 중에 예방접종력별 연령표준화 사망률*은 미접종군 2.7명(100만 인일당), 3차접종 완료군 0.4명(100만 인일당), 4차접종완료군 0.1명(100만 인일당)로 나타났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128,250명, 해외유입 사례는 464명이 확인되어, 신규 확진자는 총 128,714명이며
질병관리청(청장 백경란)은 「2021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원시자료」를 8월 12일(금)부터 질병관리청 누리집*을 통해 대국민 공개한다고 밝혔다. 질병관리청은 2008년부터 지역사회건강조사*를 통해 시‧군‧구 단위의 건강통계 및 지역 간 비교통계를 생산하여, 지자체가 지역보건의료 계획을 수립하고 평가하는데 활용하도록 원시자료를 매년 공개해 왔다. 2021년에도 코로나19 관련 문항을 포함하여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감염병 유행상황에서의 지역사회 건강문제를 확인하는데 의미있는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지역 간 건강격차를 파악하기 위한 건강조사‧연구‧행정 관련 분야 자료를 시·군·구별로 정리한 ‘지역사회 건강결과 및 건강 결정요인 데이터베이스(DB)’를 매년 수집 및 최신화하여 누리집에 공개하고 있다. 주요 건강관련 지표를 인포그래픽으로 시각화하여 시‧군‧구 단위 건강 프로파일을 구축하였으며, 이는 지역사회건강조사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백경란 청장)는 8월 11일 0시 기준으로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418명(전일 대비 16명 증가), 사망자는 59명(전일 대비 9명 증가)으로 누적 사망자는 25,441명(치명률 0.12%)이라고 밝혔다.재원중 위중증 환자 중 60세 이상은 361명(86.4%), 사망자 중 60세 이상은 53명(89.8%)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8월 1주(7.31.~8.6.) 보고된 사망자 209명 중 50세 이상은 201명 (96.2%)이었으며, 이들 중 백신 미접종 또는 1차접종자는 68명(33.8%)으로 백신 미접종자 또는 1차접종자에서의 치명률이 높다. ‘4차접종 완료’를 통해 사망 위험은 ‘미접종군’에 비해 96.3%, ‘2차접종 완료군’에 비해 80.0%, ‘3차접종 완료군’에 비해 75.0% 감소하였다. 6월 3주차 기준, 60대 이상 전체 인구 중 예방접종력별 연령표준화 사망률은 미접종군 2.7명(100만 인일당), 3차접종 완료군 0.4명(100만 인일당), 4차접종완료군 0.1(100만 인일당)으로 나타났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136,719명, 해외유입 사례는 522명이 확인되어, 신규 확진자는 총 137,241명이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