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5월 7일 0시 기준으로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419명, 사망자는 83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3,289명(치명률 0.13%)이라고 밝혔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39,574명, 해외유입 사례는 26명이 확인되어 신규 확진자는 총 39,600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17,504,334명 (해외유입 32,147명)이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 중 60세 이상 고위험군은 8,864명(22.4%)이며, 18세 이하는 7,262명(18.4%)이다. 5월 7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39,574명이며(최근 1주간 일 평균 38,059.1명), 수도권에서 18,094명(45.7%) 비수도권에서는 21,480명(54.3%)이 발생하였다.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5월 6일 0시 기준으로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423명, 사망자는 48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3,206명(치명률 0.13%)이라고 밝혔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26,686명, 해외유입 사례는 28명이 확인되어 신규 확진자는 총 26,674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17,464,782명 (해외유입 32,118명)이다.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 중 60세 이상 고위험군은 5,587명(20.9%)이며, 18세 이하는 5,242명(19.6%)이다. 5월 6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26,686명이며(최근 1주간 일 평균 38,588.6명), 수도권에서 10,917명(40.9%) 비수도권에서는 15,769명(59.1%)이 발생하였다.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5월 5일 0시 기준으로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441명, 사망자는 79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3,158명(치명률 0.13%)이라고 밝혔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42,273명, 해외유입 사례는 23명이 확인되어 신규 확진자는 총 42,296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17,438,068명 (해외유입 32,090명)이다.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 중 60세 이상 고위험군은 9,304명(22.0%)이며, 18세 이하는 7,809명(18.5%)이다. 5월 5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42,273명이며(최근 1주간 일 평균 41,994.3명), 수도권에서 18,902명(44.7%) 비수도권에서는 23,371명(55.3%)이 발생하였다.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5월 3일 0시 기준으로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417명, 사망자는 49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3,007명(치명률 0.13%)이라고 밝혔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51,086명, 해외유입 사례는 45명이 확인되어 신규 확진자는 총 51,131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17,346,753명 (해외유입 32,041명)이다.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 중 60세 이상 고위험군은 10,552명(20.7%)이며, 18세 이하는 10,156명(19.9%)이다. 5월 3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51,086명이며(최근 1주간 일 평균 48,120.9명), 수도권에서 23,033명(45.1%) 비수도권에서는 28,053명(54.9%)이 발생하였다.
질병관리청(청장 정은경)은 지난 2일의과학적 근거 기반의 만성질환 예방관리를 강화하기 위한 협력체계를 구축하고자 대한의학회(회장 정지태)와 업무협약식을 진행하였다. 이번 업무협약으로 의과학적 근거에 따른 진료지침뿐 아니라 국민의 수요에 기반한 검증된 건강 및 질병정보 제공·확산 등 국내 만성질환 예방관리 역량 강화에 협력할 예정이다.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5월 2일 0시 기준으로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461명, 사망자는 83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2,958명(치명률 0.13%)이라고 밝혔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20,058명, 해외유입 사례는 26명이 확인되어 신규 확진자는 총 20,084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17,295,733명 (해외유입 31,997명)이다.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 중 60세 이상 고위험군은 3,746명(18.7%)이며, 18세 이하는 4,567명(22.8%)이다. 5월 2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20,058명이며(최근 1주간 일 평균 52,302.9명), 수도권에서 8,902명(44.4%) 비수도권에서는 11,156명(55.6%)이 발생하였다.
질병관리청(청장 정은경) 국립보건연구원(원장 권준욱)은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에서 확보한 국민건강영양조사 및 한국인 유전체역학조사사업 약 5만 명분의 인체자원을 5월 2일부터 국내 연구자들에게 공개한다고 밝혔다. 국민건강영양조사를 통해 수집되는 인체자원은 매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 공개 시점에 맞추어 당해년도 인체자원을 공개하고 있으며, 이번에 공개하는 인체자원은 2020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참여자 중 인체유래물 기증에 동의한 6,231명분의 혈청과 4,308명분의 DNA 및 혈장을 포함한다. 또한, 국민건강영양조사 6기(2013~2015년) 참여자 약 8천 2백여 명의 한국인칩 유전체정보와 추가 혈액분석 정보 26개 변수를 공개한다.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사업 도시기반 코호트 약 2만 8천명분에 대한 추가 혈액분석 정보 12개 변수도 함께 공개한다. 국민건강영양조사 및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사업 인체자원은 국립보건연구원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을 통해 분양하며, 신청 접수는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 누리집(https://www.nih.go.kr/biobank)에서 가능하다.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5월 1일 0시 기준으로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493명, 사망자는 81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2,875명(치명률 0.13%)이라고 밝혔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37,741명, 해외유입 사례는 30명이 확인되어 신규 확진자는 총 37,971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17,275,649명 (해외유입 31,941명)이다.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 중 60세 이상 고위험군은 9,324명(24.7%)이며, 18세 이하는 6,876명(18.2%)이다. 5월 1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37,741명이며(최근 1주간 일 평균 54,341.7명), 수도권에서 15,796명(41.9%) 비수도권에서는 21,945명(58.1%)이 발생하였다.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4월 30일 0시 기준으로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490명, 사망자는 70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2,794명(치명률 0.13%)이라고 밝혔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43,274명, 해외유입 사례는 12명이 확인되어 신규 확진자는 총 43,286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17,237,878명 (해외유입 31,941명)이다.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 중 60세 이상 고위험군은 10,869명(25.1%)이며, 18세 이하는 7,435명(17.2%)이다. 4월 30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43,274명이며(최근 1주간 일 평균 58,188.9명), 수도권에서 18,757명(43.3%) 비수도권에서는 24,517명(56.7%)이 발생하였다.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4월 29일 0시 기준으로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526명, 사망자는 136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2,724명(치명률 0.13%)이라고 밝혔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50,538명, 해외유입 사례는 30명이 확인되어 신규 확진자는 총 50,568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17,194,616명 (해외유입 31,928명)이다.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 중 60세 이상 고위험군은 11,600명(23.0%)이며, 18세 이하는 8,748명(17.3%)이다. 4월 29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50,538명이며(최근 1주간 일 평균 92,882.3명), 수도권에서 37,720명(46.5%) 비수도권에서는 43,323명(53.5%)이 발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