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19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기본분류

해 외직구 다이어트.성기능 식품에서 의약 · 마약성분 검출

5 년간 위해성분 검출 89.9% 증가 , 다이어트 · 성기능 개선 제품 최다

최근 해외직구를 통한 식품 구매가 급증하는 가운데 이들 제품에서 위해성분이 다수 검출되어 소비자 안전이 위협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최보윤 의원 ( 국민의힘 ) 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제출받은 ' 해외직구식품 위해성분 검출 현황 자료에 따르면 해외직구식품 구매 건수는 2019 년 약 1,375 만 건에서 2023 년 약 2,292 만 건으로 5 년 새 67% 증가했다 이에 따라 위해성분 검출 건수도 2020 년 148 건에서 2023 년 281 건으로 크게 늘어났다 .

 

위해성분별로는 2020 년부터 2024 년 8 월까지 총 1,230 건의 위해성분이 발견되었으며 그 중  의약성분 * 이 496  (40.3%) 으로 가장 많았고  식품 사용불가 원료 등이 441  (35.9%),  식품공전 부정물질 및 유사물질 262  (21.3%),  마약성분 34  (2.8%) 순이었다 .

한 개 제품에서 마약성분 의약성분 그 외 원료 · 성분이 함께 확인된 경우 마약성분 의약성분으로 분류

 

제품 종류별로는  그 외 효능 · 효과 표방제품 등  을 제외하면  다이어트 효과 표방제품에서 가장 많은 412  (33.5%) 의 위해성분이 검출되었으며  성기능 효과 표방제품 192  (15.6%),  근육강화 효과 표방제품 152  (12.4%) 순으로 나타났다 .

 

제조국별로는 미국산 제품이 전체 검출 건수의 80.9% 인 995 건을 차지해 압도적으로 많았으며 태국 31  (2.5%), 튀르키예 26  (2.1%) 등이 뒤를 이었다 .

 

한편 식약처의 해외직구식품 검사 규모는 2023 년 기준 3,100 건에 불과해 해외직구 규모에 비해 매우 적은 수준이었다 .

 

최보윤 의원은 " 해외직구 제품의 경우 소비자에게 직접 배송되는 특성상 국내에서의 관리가 어려워 위해성분 포함 여부를 정확히 파악하기 어렵다 "  , " 식품의약품안전처는 해외직구식품에 대한 검사 건수를 대폭 확대하고 이를 위한 예산과 인력을 시급히 증원해야 한다 " 고 지적했다 .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요양병원, 자정노력으로 質 높아졌다고 하지만...1등급 2년 연속 받은 곳 경기.경상권 집중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강중구, 이하 심사평가원)은 6월 19일 요양병원 2주기5차(2023년) 적정성 평가결과를 심사평가원 누리집 및 모바일 앱을 통해 공개한다. 심사평가원은 요양병원형 일당정액제 특성 상 발생 가능한 의료서비스 과소제공으로 인한 의료 질 저하 방지 및 자율적 질 향상 유도를 위해 2008년부터 요양병원 입원급여 적정성 평가를 실시해왔다. 이번에 공개하는 2주기5차 평가는 2023년 7월부터 12월까지의 요양병원 입원진료분에 대해 전국 1,325개소를 대상으로 실시했으며, 평가지표(13개)는 전 차수와 동일하다. 평가결과, 종합점수는 평균 77.9점으로 전 차수 대비 0.5점 상승했으며, 전체 요양병원 중 52.8%가 평가등급 1, 2등급을 획득했다.(1등급 233개소, 2등급 451개소) 1등급을 받은 요양병원은 233개소이며, 이 중 2회 연속 1등급을 받은 요양병원은 129개소로 권역별로는 경기권, 경상권, 전라권 순으로 많았다. 평가지표는 요양병원 입원 환자 수 대비 전문 인력의 비율을 평가하는 ‘구조영역’과 요양병원 환자의 의료서비스를 평가하는 ‘진료영역’으로 나눠진다. '구조영역’의 평가지표 대부분은 전 차수와 유사한 수준으로 유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