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14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서울대치과병원 개원 100주년 기념식 성료

서울대치과병원(병원장 이용무)은 지난 14일(월) 오후 4시 30분, 병원 8층  한화 홀에서 서울대학교치과병원 100주년, 특수법인 20주년 기념식을 진행하고 새 비전과 미션을 선포했다.

이날 기념식에는 유홍림 서울대총장(병원 이사장)과 권호범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원장, 전임 병원장 및 전임 학장 등을 비롯한 100여명의 인사가 참석했다. 

이용무 병원장은 기념사에서 “경성치과의학교 부속의원으로 시작한 이래 100년이라는 긴 세월 동안, 우리나라 치의학 발전에 기여해 온 서울대학교치과병원의 역사를 모두 함께 기념하고 있다. 앞으로도 서울대학교치과병원은 무한한 가능성을 품고 미래로 나아갈 것이며 그 중심에 있는 교직원 여러분의 헌신과 열정이 병원의 미래를 만들어 나가는 원동력이 될 것이다.”라고 강조했다.

한편 서울대치과병원 100주년과 특수법인 20주년을 맞이하여 그 동안의 대내외 환경 변화에 따른 방향성을 점검하고, 병원의 장기적인 발전을 위한 새로운 비전과 미션을 선포했다. 

100주년을 맞이하여 새롭게 수립한 미션은 ‘서울대학교치과병원은 치의학의 새로운 미래를 열고, 더 건강한 세상을 만든다.’로 선포하였다. 비전은 △따뜻한 인성과 최고의 실력을 겸비한 글로벌 인재를 양성한다. △최상의 연구 성과로 세계 치의학의 지평을 넓힌다. △환자를 최우선으로 생각하는 가장 신뢰받는 치과병원이 된다. △사회적 포용을 실천하여 건강한 변화를 이끈다. △사람 중심의 조직문화로 열린 소통과 협력 문화를 공유한다이며, 특히 병원의 모든 구성원이 참여하여 새로운 100년을 위해 서울대치과병원이 나가야 할 방향성을 함께 수립한 것에 의미가 있다. 

한편, 서울대치과병원은 치의학 임상교육을 위해 설립된 1924년 경성치과의학교 부속의원을 거쳐 1946년 국립서울대학교 치과대학 부속병원으로 개원하였고, 1978년 서울대학교병원으로 통합되었다가 2004년 서울대학교치과병원으로 독립하여 특수법인을 출범하였다. 지난 20년간 환자 맞춤형 진료 서비스를 제공하고, 보건복지부 중앙장애인구강진료센터 운영을 통해 장애인 구강건강의 컨트롤타워로 역할을 하고 있다. 또, 국내외 의료진에 대한 교육 및 연수를 통한 인재 양성, 치의생명과학분야 연구 등을 통해 공공의료를 선도하는 국가중앙치과병원으로 위상을 제고하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난치성 역류성 식도염 기능내시경으로 정확한 진단 후 맞춤형 치료 필요 차 의과학대학교 강남차병원(원장 노동영) 조주영 교수팀(조주영, 김성환, 이아영)은 국내 최초로 기능 내시경을 도입해 역류성 식도염을 정확히 진단하고, 약제 복용에도 증상이 지속되는 ‘난치성 위식도 역류질환’에 스트레타 고주파 시술, 역류방지 점막절제술 (ARMS), 역류방지 점막소작술 (ARMA) 등의 개인 맞춤형 치료를 제공한다. 역류성 식도염은 대부분 약물로 어느 정도 치료가 가능하지만, 일부 환자에게서 고용량의 약물치료에도 혹은 장기간 약물 복용에도 증상 호전이 명확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증상이 있다고 약물 복용을 장기간으로 지속할 경우 위축성 위염, 철분결핍, 장의 미생물 감염 위험, 골절의 위험이 높아진다. 약물치료 외에 역류성 식도염 치료법으로 위저부 주름술(Fundoplication)과 같은 수술적 치료부터 자기장 괄약근 강화술 (LINX), 메디거스 초음파 내시경 자동봉합기 등과 같은 내시경적 치료 등 여러 방법들이 지속적으로 고안되고 있다. 하지만 치료를 받은 환자들 중 62%는 11-13년 후 재발하거나, 역류성 식도염으로 진단되었지만 약물치료에도 호전이 되지 않는 경우에 실제 다른 질환으로 진단되는 경우가 15%나 된다. 강남차병원 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