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3 (토)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무언가로 얻어맞은 것처럼 극심한 통증 동반 두통..."뇌 질환의 전조증상일 수 있어"

최윤호 가톨릭대 인천성모병원 뇌병원 신경과 교수 “두통 지속되거나 일상생활에 영향을 미칠 정도로 빈번하다면, 전문의를 찾아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아야 ”

1월 23일은 대한두통학회가 지정한 두통의 날이다이는 “1주일에 2일 이상 두통이 있다면 3개월 안에 병원을 찾아야 한다는 의미로두통의 중요성과 올바른 관리법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해 제정됐다최윤호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뇌병원 신경과 교수의 도움말로 두통에 대해 알아본다.

 

두통은 현대인의 건강과 삶의 질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문제다가벼운 두통으로 시작해 몇 시간심지어 며칠 동안 지속되거나 극심한 통증으로 일상생활이 마비되는 경우도 있다어떤 두통은 적절한 치료를 통해 쉽게 완화될 수 있지만치료 시기를 놓치거나 잘못된 대처를 하면 만성화되거나 더 큰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최윤호 가톨릭대 인천성모병원 뇌병원 신경과 교수는 두통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흔한 증상 중 하나로많은 사람들이 이를 단순한 통증으로 여겨 무시하거나 진통제로 해결하려는 경향이 있다며 그러나 두통은 단순히 불편함을 넘어 심각한 질환의 신호일 수 있는 만큼 올바른 이해와 관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가장 흔한 오해는 두통을 뇌가 아픈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이다그러나 아이러니하게도 뇌 자체는 통증을 느끼지 못한다두통은 뇌를 둘러싼 뇌수막혈관근육신경 분지 등이 자극을 받아 발생하고이런 신호가 중추신경계로 전달돼 머리가 아프다고 인지되는 것이다.

 

두통은 크게 특별한 원인이 없는 일차성 두통과 특정 질환이 원인이 되는 이차성 두통으로 나뉜다일차성 두통은 전체 두통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긴장형 두통편두통군발두통 등이 여기에 포함된다긴장형 두통은 스트레스나 과로로 인해 목덜미와 어깨 근육이 긴장하면서 발생하고주로 머리가 무겁고 조이는 듯한 느낌을 동반한다반면 편두통은 심장이 뛰는 것 같은 박동성 통증이 특징으로한쪽 머리가 욱신거리거나 속이 울렁거리는 경우가 많다.

 

군발두통은 비교적 생소한 유형이지만 극심한 통증과 함께 결막 충혈눈물콧물 등이 동반된다주로 특정 계절이나 시간대에 반복적으로 나타나고통증이 시작되면 눈 주위가 충혈되고 눈물콧물코막힘과 같은 증상이 동반된다.

 

이차성 두통은 뇌 질환외상감염 등 병적인 원인이 있는 경우를 말한다특히 갑작스럽고 극심한 두통이 발생하거나 기존과 다른 양상의 두통이 점차 심해진다면 뇌종양뇌수막염뇌출혈 같은 중대한 질환일 수 있다신속한 진료가 필요하다두통과 함께 편마비발음 장애의식 변화와 같은 신경학적 증상이 동반되거나 구역질과 구토가 지속된다면 응급 상황일 가능성이 크다.

 

최윤호 가톨릭대 인천성모병원 뇌병원 신경과 교수는 무언가로 얻어맞은 것처럼 극심한 통증의 두통은 뇌 질환의 전조증상일 수 있기 때문에 즉시 응급실을 찾아야 한다며 만성두통 환자도 평소와 다른 양상의 두통이 갑자기 느껴진다면 병원을 찾아 원인을 확인하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두통을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해서는 생활 습관의 개선이 필요하다충분한 수면규칙적인 운동스트레스 관리 등 기본적인 건강 관리가 도움이 된다편두통의 경우 특정 음식이나 환경이 유발 요인이 될 수 있는 만큼 초콜릿치즈 등 유발 가능성이 있는 음식은 피하는 것이 좋다요가명상 같은 스트레스 완화 활동은 긴장성 두통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군발두통 환자는 흡연과 음주를 삼가는 것이 필수적이다.

 

최윤호 가톨릭대 인천성모병원 뇌병원 신경과 교수는 두통은 흔하지만때로는 심각한 질환의 신호일 수 있다며 특히 두통이 지속되거나 일상생활에 영향을 미칠 정도로 빈번하다면전문의를 찾아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소아암·희귀질환 환자,11,822명 진단, 5,512명 치료, 29,379건의 코호트 데이터 등록 “저는 곤충학자가 되는 게 꿈이에요. 어느 날 사슴벌레를 보았는데, 그때부터 곤충의 매력에 빠졌어요. 어린이날에는 동생과 함께 커다란 테라리움을 만들고 싶어요.” 11살 김현우 군(가명)은 자신의 꿈을 향해 한 걸음씩 나아가고 있다. 최근 만성골수성백혈병을 진단받고 치료제를 사용하며 외래 추적 관찰을 받고 있는 현우 군은 이건희 소아암·희귀질환 극복사업을 통해 소아 혈액암 환자들의 진단과 치료 향상을 위한 유전체 분석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이를 통해 그는 자신의 치료에만 그치지 않고, 다른 환자들에게도 도움이 될 치료 플랫폼 확장에 기여하고 있다. 현우 군은 아픔에서 멈추지 않으며 성장하고, 꿈을 향해 끊임없이 나아가고 있다. 현우 군처럼, 병마와 싸우면서도 자신만의 꿈을 키워가는 많은 어린이들이 있다. 이러한 어린이들에게 뜻깊은 어린이날을 선물하기 위해 서울대어린이병원 소아암·희귀질환지원사업단(단장 최은화)은 5월 2일, 서울대어린이병원 CJ홀에서 ‘우리들은 자란다’ 행사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어린이의 건강한 성장을 바랐던 고(故) 이건희 회장의 유지를 이어 받아, 소아암 및 희귀질환 환자들에게 희망을 전하기 위해 진행됐다. 사업단은 이번 행사에서 핵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