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3 (수)

  • 구름많음동두천 23.5℃
  • 구름많음강릉 12.9℃
  • 구름많음서울 22.3℃
  • 구름많음대전 23.0℃
  • 흐림대구 18.0℃
  • 구름많음울산 17.0℃
  • 흐림광주 21.0℃
  • 구름많음부산 16.3℃
  • 구름많음고창 19.3℃
  • 구름많음제주 18.6℃
  • 구름조금강화 19.9℃
  • 구름많음보은 22.2℃
  • 구름많음금산 22.8℃
  • 흐림강진군 17.0℃
  • 구름많음경주시 14.9℃
  • 구름많음거제 16.2℃
기상청 제공

서울대치과병원, 인체유래물은행-치의학 멀티오믹스센터 공동 심포지엄 성료

질병관리청 주관 인체자원은행 특성화 지원 사업 협력은행 4곳 모두 참가

서울대치과병원(병원장 이용무) 인체유래물은행은 지난 3월 14일(금) 오후 5시부터 8층 한화 홀에서 ‘인체유래물은행-치의학 멀티오믹스센터 공동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이번 심포지엄은 국립보건연구원 후원을 통해 진행됐으며 치의학 연구의 혁신을 위한 멀티오믹스를 기반으로 하는 임상중개연구를 활성화하고 최신 연구 동향을 공유하기 위해 마련됐다. 

서울대치과병원, 연세대치과병원, 사과나무치과병원, 부산대치과병원 등 질병관리청 주관 인체자원은행 특성화 지원 사업 4기(2021~2025년) 협력 은행들 뿐 아니라 치의학대학원 교수와 연구자들이 함께 참석하여 높은 관심을 보였다. 치의학 연구에 있어 멀티오믹스 기술은 유전체, 전사체, 단백질, 대사체 등 다양한 생물학적 데이터를 통합 분석하여 구강 질환의 원인 규명 및 정밀 의료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김선영 서울대치과병원 인체유래물은행장의 개회사로 시작한 심포지엄은 ▲임상중개연구를 위한 치의학 멀티오믹스센터의 활용(김진만 교수, 치의학 멀티오믹스 센터장/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마이크로바이옴 및 RNA 시퀀싱 기반의 세균-숙주 상호작용 연구(김진만 교수) ▲단백체 분석의 기본과 연구사례: MRONJ의 혈액마커 단백질 규명(박한검 교수,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단일세포 및 공간전사체의 임상중개연구 활용(김우진 교수,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구강 마이크로바이옴 데이터 플랫폼 구축(지 숙 교수, 아주대학교 치과병원) 등 최신 연구 발표로 진행되었다. 

김선영 인체유래물은행장은 “이번 심포지엄을 통해 치의학 연구자들이 멀티오믹스 기술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이는 앞으로의 연구에 임상 적용 가능성을 높이는 계기가 될 것이며 지속적으로  인체유래물은행과 치의학 멀티오믹스센터의 협력을 강화하여 연구자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해 나가겠다” 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